메뉴

마카오 관광객 전년比 9% 증가...반면 홍콩은 추락

지난해 처음으로 1억명 돌파…7년 연속 증가

 '반 송중 사태'로 홍콩 경제가 추락하고 있지만 마카오는 관광객이 늘면서 신바람이다. 관광객이 7년 연속 증가세를 기록한 가운데 지난해 처음으로 1억명을 돌파했다.

 

 마카오 특구 정부는 지난 1일 지난해 마카오의 출입국 총인원 및 입국 관광객 수가 신기록을 갱신했다고 발표했다. 2019년 1년간 마카오 총 출입국 수는 1억9400명으로, 2018년의 1억7400만명보다 9% 늘었다. 7년 연속 증가세다.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각 출입국 항구 중 관샤 항구(关闸口岸)가 가장 높았다. 이 항구는 연간 1억4500만명의 출입국자 수를 기록, 전년에 비해 약 8% 상승하여 2019년 전체 출입국 인원수량의 75%를 차지하였다. 이 중 2019년 12월 28일 출입국 인원이 48만4000명에 달해 관샤 항구의 당일 신기록을 세웠다.

 

 또한 홍콩 강주아오대교 개통 이후 승객량이 상승해 2019년 연간 출입국 인원수량은 1330만 명으로 마카오 전체의 7%를 달했다. 홍콩 강주아오대교 항구의 하루 최고 출입국 기록은 7만8000명으로 마카오의 두 번째 큰 출입국 항구가 됐다.

 

 마카오 방문 관광객은 2018년의 3580만명보다 10% 가량 늘어난 3940만명을 기록했다. 중국 대륙 여행객들이 대부분으로 약 2800만명에 달했다. 홍콩 및 대만은 2,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뒤를 이어 한국, 필리핀, 일본, 미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인도, 싱가포르, 호주 순이었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