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0년 세계 정치 다극화...미국 패권 도전받는다

미국 힘 앞서지만 중국과 인도 등 부상

 미국의 패권이 조금씩 힘을 잃어가고 있다. 중국이 G2로 올라서고 인도도 조만간 세계 경제 3위가 되면서 미국의 아성을 조금씩 허물고 있다. 미국은 자국에서 셰일가스가 산출되면서 중동에서 서서히 발을 빼려는 모양새다. 미국이 세계 경찰국가 지위를 포기하면서 각국은 각자도생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각 국가 간의 냉전이 끝난 이후 국제정치 역량의 균형이 다시 깨지거나 깨지고 있다. 신흥 경제권과 지역 역량이 일어나고 있고 미국이 냉전 기간 동안 주도하여 수립한 국제 질서에 타격을 주었다.

 

 초조한 미국은 국제시장에서 정치 지위를 강화되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미국은 현재 세계에서 미국의 패권이 도전을 받고 있으며 패권을 지키기 위해서는 그에 도전하는 어떤 나라에도 반격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역량이 일어나 각국도 자기의 유리한 지위를 확보하고 자신에게 유리한 정치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신흥국과 발전국가 간 새로운 균형 구축 과정에서 국제사회가 이런저런 마찰을 빚는 것은 새로운 균형을 찾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은 크게 놀랄 필요는 없지만, 마찰과 충돌이 고조되지 않도록 조심하게 다루어야 한다.

 

 유엔은 여전히 세계 평화를 지키고 인류의 진보와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부문이다. 대국의 일방주의 때문에 유엔의 기능이 크게 약화됐지만 유엔은 기후변화, 반테러리즘, 핵확산 등 모든 분야에서 회원국들이 함께 국제정세를 논의하는 곳이다. 그러므로 유엔의 권위를 지키는 것이 더 중요했다.

 

 대국의 정책 변화는 국제정치의 발전에 큰 충격을 줄 것이다. 미국이 '대국 전략 경쟁'을 세우면서 중국과 러시아, 유엔 등과 대립적으로 생각해 국제정치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현재 중국이 제안한 '일대일로'가 전세계에서 칭찬을 받고 있다. '일대일로'를 통해 인류운명공동체를 구축하고 새로운 국제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국의 의도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