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3분기 GDP 6% 성장…27년만에 최저치

미중 무역전쟁 등으로 경제 하향 압력 커져

미중 무역전쟁이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경제가 더욱 침체되고 있다. 중국은 애써 의미를 축소하지만 경기 경착륙에 대한 우려가 중국을 넘어 세계로 확산하고 있다. 조기 무역전쟁 타결이 해법이지만 미국과 중국이 서로 셈법이 달라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18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3분기 GDP가 연간 6% 성장하여 예상했던 6.1%를 밑돌았고, 1992년 기록적인 수치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홍콩경제일보는 2019년 전 3분기 국내총생산이 연간 6.2%씩 증가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1분기 6.4%, 2분기 6.2%, 3분기 6% 각각 성장했다. 2019년 경제 성장 목표는 6~6.5%였다.

 

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3분기의 국민경제 운용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었지만, 현재 중국 국내외 경제 상황은 여전히 복잡하고 심각하며, 전 세계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있으며, 외부의 불안정한 불확실성이 많아져 중국 경제의 하향 압력이 크다고 한다.

 

중국 당국은 다음 단계로 경제성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경제운용을 합리적인 구간에서 더욱 두텁게하고, 개혁개방의 혁신을 향한 동력을 더욱 높여 국내 시장의 수요를 넓히고, 민생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투자와 소비를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