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웨이 스마트폰 업계 리더 도약

P20프로 등장 이후 디자인·컬러 등에서 애플·삼성에 영향

16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环球时报)는  폰아레나(PhoneArena) 기사를 인용해 화웨이가 휴대전화 산업의 혁신적인 리더인 애플과 삼성의 라이벌로 떠오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몇 년 전만 해도 화웨이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은 미약한 존재였고, 화웨이가 애플과 삼성을 모방하려는 것으로 보는 이들이 많았다. 그러나 이런 상황은 2018년 초 화웨이가 P20 Pro를 출시하면서 완전히 바뀌었다. 화웨이는 그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스마트폰 업계를 선도해 왔다.

 

기사는 삼성 갤럭시노트10의 트리플 카메라 디자인이 화웨이P20 Pro에서 아이디어를 받았고, 아이폰11과 구글 픽셀4도 화웨이 메이트 20 Pro에서 나왔다고 강조했다.

 

플래그십을 위해 3개의 센서가 포함된 카메라를 장착한 주류 브랜드로는 화웨이가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화웨이와  경쟁하기 위해, 삼성은 결국 갤럭시S10에 3개의 포스트 카메라를 장착했다.

 

기사는 또한 애플과 삼성 두 회사 모두 화웨이와 유사한 사각형 카메라 모듈을 채택했으며, 사각형 디자인은 비교적 절충된 디자인이라 공간을 아낀다고 보도했다.

 

스마트폰 빠른 충전을 위해 화웨이가 노력해 온 것도 삼성과 애플의 관심을 끌고 있다.

 

삼성의 최신 플래그십 제품은 수년 전 선보인 15W 급속충전 기술을 지원하지만, 조만간 대규모 업그레이드가 예상된다. 구체적으로는 8월초 갤럭시노트10 출시에 따라 삼성이 새로운 45W 급속충전 대체품을 발표함으로써 화웨이와 직접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애플도 아이폰11에 18W 급속충전을 탑재할 예정이다.

 

휴대전화 색상의 경우 화웨이가 P20 Pro 시리즈에 오로라 그라데이션을 선보여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는데, 삼성 갤럭시노트10도 그라데이션 디자인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화웨이의 경쟁력은 폴더블폰에서 두드러졌다. 고동진 삼성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일 “신형 폴더블폰 갤럭시폴드가 준비가 부족할 때 출시했다”고 인정했다.

 

이와 관련해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화웨이가 애플을 제치고 삼성에 이어 세계 2위의 휴대전화 제조업체가 됐다고 보도했다. 화웨이의 메이트X는 폴더블폰 분야에서 삼성의 '최대 위협'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중국기업의 압박으로 삼성은 충분한 테스트를 거치지 않고 서둘러 갤럭시폴드를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