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알리바바 브랜드 가치 전 세계 7위

아마존,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비자 등 미국기업 강세

알리바바의 전 세계적인 브랜드 가치가 지난해보다 2단계 오른 7위를 기록했다. 중국 내에서는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다.

14일 소후뉴스에 따르면 미국 뉴욕에서 발표된 BrandZ 톱100에서 아마존이 1위를 차지했고, 애플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비자, 페이스북, 알리바바 등의 순을 나타났다.

 

알리바바의 브랜드 가치는 최근 1년 간 16%가 상승해 1312억달러를 기록했다. 글로벌 100위권에 든 중국 기업으로는 텐센트, 차이나모바일, 중국공상은행, 마오타이, 핑안, 화웨이, 중국건설은행, 바이두, 징둥, 디디추싱, 샤오미, 메이투완이 꼽혔다.

 

알리바바 그룹의 각 업무는 코업으로 이루어진다. 코스코와 스타벅스, 마이크로소프트 등 20여개 브랜드가 티몰 플래그십 스토어에 오픈하였고, 클라우드 컴퓨팅, 물류, 금융, B2B, 디지털 마케팅, 경영 측에도 전반적인 협력을 이루었다.

 

그 중에 알리 클라우드는 SAP, 지멘스, 보다폰, 에센저 등과 클라우드 분야에서 협력을 이루었고, 차이냐오는 아디다스, 나이키, 로레알 등의 브랜드에 스마트 공급 체인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가오더는 도요타와 BMW, 벤츠 등의 브랜드에 내비게이션과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알리바바는 애플과 삼성, 아마존, 맥도날드, KFC 등의 브랜드에 디지털 컨버전스 마케팅을 제공하였다. 1688는 디즈니의 IP 파생상품 개발과 생산을 협조하였고, 딩딩은 기업 디지털화 운영 플랫폼으로서 디디추싱 등 기업의 업무소통과 사무협동을 지원하였다.

 

The Store WPP의 CEO이며 BrandZ EMEA와 아시아 지역 수석인 데이비드 로스(David Roth)는 “올해 브랜드 가치 성장의 이면에는 브랜드가 단일 제품, 서비스 제공이라는 본래의 기능을 뛰어 넘어 고도의 전복적 생태를 제공하는 새로운 시대으로 전환하였다”며 “브랜드는 이런 모델의 가치를 이해하고 미래가 성공할 수 있는 길을 만들고 품어야 한다”고 말했다.

 

칸타 브랜드 글로벌 디렉터인 도렌 왕(Doreen Wang)은 “브랜드 카테고리와 구역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며, 기술의 유창성 때문에 아마존과 구글, 알리바바 같은 브랜드들은 여러 소비자의 접촉점을 뛰어넘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논평했다. 그는 “업계의 서비스 산업은 브랜드 성장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한다”며 “아시아 등 지역에서는 이러한 전복적인 생태가 활발히 발전하고 있으며, 이 지역들에서 소비자들은 점점 더 기술적으로 구동되고 있고 브랜드는 이미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모든 면에 통합되어 있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