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TV 시장 경기 하락세 끝없어...'판매가격 하락세 계속'

중국 TV 시장 경기 하락세가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 올해 전망 역시 좋지 않아 기업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중국 리서치업체 차이나마켓모니터(China Market Moniter) 통계에 1분기 중국 TV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분기 대비 4.1%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액은 15.7%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더 심각한 것은 TV 판매 단가가 끝없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TV 평균 가격이 1분기 기준 3000위안(약 50만 9천 원)을 밑도는 가격을 보였다. 이 같은 가격 인하는 대화면 제품 가격의 빠른 하향세로 이어지고 있다.

 

50만 원은 그간 TV 평균가 '최저선'이었지만 올해 1분기에 이마저도 무너졌다.

 

차이나마켓모니터에 따르면 1분기 온라인에서 판매된 TV 평균가는 이미 2000위안(약 33만 9천 원)에 가까워졌으며, 실제 8주째 온라인 TV 평균가는 2006위안을 기록했다.

 

전반적 시장 움직임으로 봤을 때 TV 가격의 상승세를 일으킬 동력이 현저히 적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하이센스(HISENSE), 스카이워스(SKYWORTH), TCL, 콘카(KONKA) 등 중국 브랜드가 8K, 레이저 TV, OLED TV, AI+IoT를 간판 삼아 하이엔드 모델을 드라이브하고 있지만 올해 전망도 좋지 않다.

 

중국 리서치업체 AVC에 따르면 중국 TV 시장 판매량은 지난해 4774만 대로 전년 대비 0.5% 위축한 결과를 보였고, 유통액은 전년 대비 8.6% 줄어들었다.

 

올해 1분기 추이로 봤을 때 전반적인 판매량과 유통액 감소세가 더욱 커졌다.

 

하지만 TV 초저가 전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

 

중국 인터넷 TV 기업 PPTV는 최근 40인치 스마트 TV를 999위안(약 16만 9천800원), 43인치 스마트TV를 1199위안(약 20만 3천800원)에 내놓으면서 가격 전쟁에 불을 지폈다.

 

1분기 중국 온라인에서 가장 잘 팔린 10개 모델 중 8개가 샤오미 TV 모델이라는 점이 중국 TV 시장의 단면을 보여준다. 샤오미 제품 중 판매량 상위 세 개 모델인 32인치 TV 4A, 55인치 TV 4X, 40인치 TV 4C 가격이 799위안(약 13만 5천800원), 1999위안(약 33만 9천800원), 1099위안(약 18만 6천800원)이다.

 

샤오미의 2019년 신형 13.9mm 초박형 풀스크린 신제품 벽화(PatchWall) 인공지능 TV 시리즈 32인치, 43인치, 55인치, 65인치 제품 가격도 1099위안(약 18만 6천 원), 1999위안(약 33만 9천 원), 2999위안(약 50만 9천 원), 3999위안(약 67만 9천 원)이다.

 

중국 TV 시장 가격 경쟁은 해외로 진출하는 중국 TV 기업의 경로를 따라 인도와 동남아 등 아시아 지역으로 번지면서 세계 TV 시장의 동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 중국 산업 전문가는 "기술 혁신으로 품질을 개선하는 것이 여러 기업의 동질화 회피 전략이며 IOT, O2O, 인공지능,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등 기술이 새로운 성장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