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일본군 30만명 살해 난징대학살 81주년 추모 행사 개최

사진 출처:DW뉴스

 

중국 난징대학살 81주년인 13일 중국 전역에서 추모행사가 이어졌다.

 

중신왕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장쑤성 난징시 '난징대학살 희생자 기념관'에서 약 1만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행사가 개최됐다. 추모식이 시작된 오전 10(현지시간)에 맞춰 난징시 모든 지역에 추모 사이렌이 울리기도 했다. 앞서 오전 7시 기념관에서는 조기 게양식이 열렸다.

 

난징대학살 희생자 기념관 측은 공식 SNS를 통해 게양식 영상을 공유하면서 네티즌들은 행해 추모행사에 동참해 줄 것을 촉구했다.

 

중국 관영 언론들은 난징대학살 기념관 행사 이외 전역에 있는 항일 전쟁을 주제로 한 기념관 약 30곳에서 이날 추모행사를 거행한다고 전했다.

 

난징대학살은 19371213일부터 이듬해 1월까지 국민당 정부 수도였던 난징을 점령한 일본군이 저지른 대규모 중국인 학살사건이다. 중국 정부 당국과 학계는 일본군이 30만명 이상을 살해한 것으로 보는 반면 일본 학계는 대체로 피해자 규모를 220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2014년부터 1213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해 희생자를 애도해 왔다. 201510월에는 중국이 신청한 난징대학살 관련 자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고령의 난징대학살 생존자 20명이 별세하면서 등록된 생존자 수가 100명도 채 안되는 것으로 집계하고 있다.

 

작년 80주년 때에는 시진핑 (習近平)국가주석을 포함한 중국 당정 지도자들이 추모행사에 참여하는 등 정부가 대대적으로 기념한데 비해 올해 기념 행사 규모는 다소 줄어든 것으로 평가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