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강주아오대교 건설로 희귀종 흰돌고래 급감

사진 출처: DW 뉴스

 

세계 최장 해상 다리인 중국 강주아오(港珠澳) 대교 개통으로 중국 흰돌고래(인도·태평양 혹등고래, 학명 : Sousa chinensis)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고 홍콩 명보가 보도했다.

 

12일 명보는 강주아오 대교 건설 시작 후 인근 수역에 서식하던 중국 흰돌고래수는 약 40% 감소해 47마리로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강주아오대교는 200912월부터 시공에 들어갔다. 세계적인 희귀종인 이 흰돌고래는 중국에서도 1급 보호 동물로 지정했다.

 

그러나 강주아오 대교 관리국 측은 이 같은 연관성을 부인하고 있다. 최근 관리국 측은 현재까지 대교 시공이 중국 흰돌고래 개체수 감소원인라는 것은 확인되지 않았다면서 오히려 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언론은 중국 기관의 감찰 보고서에도 대교 시공 후 중국 흰돌고래수가 줄어들었다는 내용이 포함됐고 홍콩 정부도 이를 파악하고 있지만 관련 보고서를 공개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홍콩과 마카오, 주하이(珠海)를 잇는 강주아오 대교는 총연장이 55에 달한다. 그 길이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금문교(2.8)20, 국내 최장 대교인 인천대교(총연장 18.38km)3배에 해당한다. 22.9의 교량 구간과 6.7해저터널 구간, 터널 양쪽의 인공섬, ·입경 시설 등으로 이뤄졌다.

 

환경단체들은 이 해역에 서식하는 희귀 흰돌고래의 생태가 강주아오 대교 건설로 파괴됐다고 우려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