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웨이보 반응] 국내 화장품 일부 중금속 검출... 중국 네티즌의 반응은?

출처 : SBS 뉴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아모레퍼시픽, 에뛰드하우스 등 8개 화장품 업체의 13개 제품에서 중금속의 일종인 '안티몬'이 허용 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제품들은 판매 중단 및 회수조치를 진행한다고 하는데요.
이번 사건은 중국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 7위까지 등극할 만큼 중국인들도 크게 주목하고 있습니다.
한국 화장품을 많이 사용하는 중국인들인 만큼 이번 사건에 대해 과연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을까요?

- 사실 메이크업 잘하는 사람들은 한국 화장품 거의 안 쓰잖아. 특별히 좋은 브랜드도 없고 사용감도 그저 그래.
- 한국 화장품은 진즉부터 안 샀어. 예전에 써봤을 때 뭔가 애매하고, 품질도 안 좋아.
- 한국 화장품은 그냥 쓰레기야. 한류 덕에 哈韩(한류 숭배자) 소비자들을 기만하고 있네
- 저 애쉬 브라운 아이라인 나 지금까지 계속 쓰던 건데 이런!!
- 에뛰드 하우스랑 스킨푸드는 젊은이들이 자주 사용하는 브랜드인데, 보니까 13개 화장품에서 중금속이 검출됐네. 다들 화장품 고를 때 신중하게 골라요, 자기 얼굴 실험실로 만들지 말고!

 

한국 못지않게 중국에서도 많은 네티즌들이 비난을 표하고 있습니다. 과한 반응도 종종 보이는데요.
저렇게 만든 화장품을 각 회사의 직원들은 쓰고 있는지, 쓸 수 있는지 물어보고 싶습니다.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 중에 하나가 화장품인데 과연 이러한 소비자들을 어떻게 다시 붙잡을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글=김상태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