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웨이보 반응] 국내 화장품 일부 중금속 검출... 중국 네티즌의 반응은?

출처 : SBS 뉴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아모레퍼시픽, 에뛰드하우스 등 8개 화장품 업체의 13개 제품에서 중금속의 일종인 '안티몬'이 허용 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제품들은 판매 중단 및 회수조치를 진행한다고 하는데요.
이번 사건은 중국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 7위까지 등극할 만큼 중국인들도 크게 주목하고 있습니다.
한국 화장품을 많이 사용하는 중국인들인 만큼 이번 사건에 대해 과연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을까요?

- 사실 메이크업 잘하는 사람들은 한국 화장품 거의 안 쓰잖아. 특별히 좋은 브랜드도 없고 사용감도 그저 그래.
- 한국 화장품은 진즉부터 안 샀어. 예전에 써봤을 때 뭔가 애매하고, 품질도 안 좋아.
- 한국 화장품은 그냥 쓰레기야. 한류 덕에 哈韩(한류 숭배자) 소비자들을 기만하고 있네
- 저 애쉬 브라운 아이라인 나 지금까지 계속 쓰던 건데 이런!!
- 에뛰드 하우스랑 스킨푸드는 젊은이들이 자주 사용하는 브랜드인데, 보니까 13개 화장품에서 중금속이 검출됐네. 다들 화장품 고를 때 신중하게 골라요, 자기 얼굴 실험실로 만들지 말고!

 

한국 못지않게 중국에서도 많은 네티즌들이 비난을 표하고 있습니다. 과한 반응도 종종 보이는데요.
저렇게 만든 화장품을 각 회사의 직원들은 쓰고 있는지, 쓸 수 있는지 물어보고 싶습니다.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 중에 하나가 화장품인데 과연 이러한 소비자들을 어떻게 다시 붙잡을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글=김상태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