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난 8월 글로벌 반도체 전년동기 성장률 미주 40%, 중국 20% 기록

‘미주지역 40, 중국 20’

지난 8월 반도체시장 매출 전년동기 대비 증가폭이다. 미주지역이 40% 이상 늘었고, 중국이 20%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글로벌 총 판매액은 531억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20% 이상 늘었다.

미주와 중국 등 두 지역의 매출 증가폭이 사실상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성장을 좌우하고 있는 것이다.

아쉽게도 미국이 미 중심의 반도체 생태계에서 중국을 배제하려 하면서 두 시장을 동시에 진출하는 일이 갈수록 개별 기업에게는 부담스러운 일이 되고 있다.

 

10일 중국 매체들은 최근 미국 반도체 산업 협회(SIA)가 발표한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에 관심을 높였다.

먼저 미 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올 2024년 8월 전 세계 반도체 판매액이 531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20.6%, 전월 대비로는 3.5% 증가한 수치다.

현재 글로벌 반도체 월간 판매액은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시현하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판매액 증가율은 2022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특히 미주 지역은 전년 대비 43.9% 증가했고 중국이 19.2% 늘었다. 이밖에 아시아·태평양 및 기타 모든 지역(17.1%), 일본(2.0%)의 판매액이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

다만 유럽(-9.0%)은 감소했다.

지난 5월에는 미주(4.3%), 일본(2.5%), 유럽(2.4%), 중국(1.7%), 아시아·태평양 및 기타 모든 지역(1.5%)의 판매액이 전월 대비 증가했었다.

2024년 2분기 이후 인공지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반도체 산업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고 했다. SIA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전 세계 반도체 산업 판매액은 총 1,499억 달러로 전 분기 대비 6.5%, 전년 대비 18.3% 증가했다고 했다.

중국 매체들은 미국의 견제 속에서도 성장하는 중국의 반도체 산업을 주목했다. 중국 공신부 운영 모니터링 조정국에 따르면, 1월에서 8월 사이 중국의 집적 회로 생산량이 2,845억 개에 달해 전년 대비 26.6% 증가했다고 했다.

중국의 국신증권이 지난 6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및 중국의 반도체 판매액이 10개월 연속 전년 대비 성장했으며,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두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