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올 1~8월 간 화물 영업 운송량이 366.7억t에 달해

중국의 올 1~8월 간 화물 영업 운송량이 366.7억t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동기 대비 3% 조금 웃도는 증가율을 보였다.

중국 영업 화물 운송이 는다는 것은 중국 경제의 물동량이 그만큼 활기차다는 의미다.

다만 이 같은 영업 화물 운송량은 택배 물량 증가폭에 비해 크게 적어 주목된다. 실재 중국의 대외 무역 물동량은 7% 이상 늘어난 반면, 내수 물동량 증가폭은 2%에 채 못 미치는 수준에 머물렀다.

 

3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교통운수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교통운수 현황을 밝혔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1월부터 8월까지 영업성 화물 운송량이 366.7억 톤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다고 밝혔다. 운송 방식별로 보면, 철도, 도로, 수로, 민항 화물 운송량이 각각 전년 대비 1.7%, 3.2%, 5.1%, 26% 증가했다.

항만 화물 처리량에서는, 1월부터 8월까지 항만 화물 처리량이 115.1억 톤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으며, 이 중 외국 무역과 내국 무역의 처리량은 각각 7.9%, 1.9% 증가했다. 특히 컨테이너 처리량은 8월까지 2.2억 TEU에 달해 전년 대비 8.2% 증가했으며, 외국 무역과 내국 무역은 각각 8.8%, 7.5% 증가했다.

 

리양(李扬) 교통운수부 부부장은 최근 국무원 신문판공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중국의 교통 경제가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되었으며, 화물 운송량, 항만 화물 처리량, 인구 이동량 등 주요 지표가 모두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했다고 소개했다.

 

교통운수부 자료에 따르면 인구 이동량과 관련해서는, 1월부터 8월까지 지역 간 인구 이동량이 439.7억 명에 달해 전년 대비 6.1% 증가했다. 운송 방식별로 보면, 철도, 수로, 민항의 여객 운송량은 각각 전년 대비 14.9%, 2.1%, 20.1% 증가했다. 도로 인구 이동량은 전년 대비 5.4% 증가했으며, 이 중 비영업성 소형 승용차의 이동량과 영업성 여객 운송량은 각각 4.5%와 9.2% 증가했다.

 

교통 고정 자산 투자와 관련해서는, 1월부터 8월까지 교통 고정 자산 투자액이 2조 3,600억 위안(약 444조 2,700억 원)에 달했으며, 철도, 도로, 수로, 민항에 대한 투자가 각각 4,775억 위안(약 89조 8,893억 원), 1조 6,600억 위안(약 312조 4,950억 원), 1,383억 위안(약 26조 349억 원), 858억 위안(약 16조 1,518억 원)으로 완료되었다.

 

리양은 4분기에 교통운수부가 투자 안정화와 관련한 더 많은 작업을 진행하여 경제의 강력한 성장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