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법정 퇴직 연령 연기 물꼬를 트다....중 3중전회 공보에서 '자율' 연기 첫 명시

초고령화 사회 속으로 진입한 중국이 최근 20기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 3차 전체회의(20기 3중전회)를 통해 퇴직연령 조정의 물꼬를 텄다. 퇴직 연령을 정하는 데 있어, '자율'이 가능하도록 명기한 것이다. 공보에 '자발성'과 '유연성'을 처음으로 명시했다. 

중국 각 부분이 이에 본격적인 퇴직연령 조정에 나설 전망이다. 

중국은 그동안 지난 70년대 이래 퇴직 연령을 남성 60세, 여성 간부 55세, 여성 근로자 50세로 정하는 임시 조치를 제정해 왔다.

공보는 개혁을 더욱 전면적으로 심화하고 중국식 현대화를 추진할 것에 대한 중국공산당 중앙 결정' 제46조에서 '인구 개발 지원 및 서비스 체계를 개선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공보는 "인구를 늘리고 노인 간호 및 노인 간호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메커니즘을 개선합니다. 자발성과 유연성의 원칙에 따라 점진적인 '법정 정년 연기' 개혁을 착실하고 질서있게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고 밝히고 있다.

사실 중국은 법정 퇴직 연령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나라 중 하나이다.

사회 전반에 일률적인 퇴직 연령 적용은 사실 아시아국가들의 특징이다. 일본과 한국도 퇴직 연령제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특정 연령에 대해 "일률적인" 의무 퇴직이 아닌 경제적 수단을 사용하는 유연한 퇴직 시스템을 시행하고 있다.

문제는 퇴직연령 연기만이 문제가 아니다. 퇴직이후 지급되는 연금이 퇴직 연령 연기에 맞물리는 문제다. 

결국 퇴직 문제는 노후 생계와 아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이다. 

서구 선진국들은 퇴직을 미루는 경우 연금에서 혜택을 보도록 하고 있다. 연금 지급을 늦추는 대신 금액을 높여주는 식이다. 

최근 자유아시아라디오방송(Radio Free Asia)의 인터뷰에 따르면 상하이 거주 퇴직 교사 구궈핑(Gu Guoping)은 "당국이 원래 의무 퇴직 연령을 65세로 점진적으로 연장하기를 원했다고 말했는데, 이는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제 자발적이고 유연한 정년 연장으로 바꾸는 것은 하나의 진전이자 여론을 시험하는 방법이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즉 국민적 합의에 의해 사회 각부분이 상황에 맞는 선택이 가능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국제 의학저널 '란셋(The Lancet)' 등의 의학저널을 통해 발표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평균 수명은 2035년 81세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 같은 시스템이라면 국가는 21년간의 노인을 위한 생활비를 지급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