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내 외국인 소유 주택 총 9만 1453호, 중국인이 55.0%로 1위

 

우리 영토의 0.26%는 외국인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국적 소유자가 가장 많았다. 중국은 전체의 8%에 못 미쳤다. 미국 국적의 경우 교포, 즉 '검은 머리 외국인'일 가능성이 적지 않다.

31일 국토교통부가 2023년 말 기준 외국인의 토지·주택 보유통계를 공표했다.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면적은 264.6㎢로, 전체 국토면적(10만449㎢)의 0.26% 수준이다. 이는 전년 대비 0.2% 증가한 면적이며, 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0.4% 증가한 33조 288억 원을 기록했다.  

또 외국인 보유 토지의 국적별 비중은 미국(53.3%), 중국(7.9%), 유럽(7.1%) 등으로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경기(18.4%), 전남(14.8%), 경북(13.7%) 등으로 조사됐다.

외국인 국내 토지보유 면적은 2014년~2015년 사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6년부터 증가폭이 둔화된 후 현재까지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 외국인을 주체별로 분석한 결과, 외국 국적 교포가 55.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외 합작법인 등 외국법인이 33.9%, 순수외국인이 10.2%, 정부・단체가 0.2%를 각각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외국인 8만 9784명이 소유한 주택은 총 9만1453호로 전체 주택 1895만 호의 0.48%로 집계됐다.

국적별 비중은 중국(55.0%, 5만 328호), 미국(22.9%, 2만 947호), 캐나다(6.7%, 6089호) 등으로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경기(38.4%), 서울(24.8%), 인천(9.8%) 등으로 나타났다.

소유주택수별로는 1주택 소유자가 대다수(93.4%)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외국인의 토지·주택 보유통계와 거래신고 정보를 연계하여 불법행위가 의심되는 이상거래를 조사하는 등 외국인의 부동산 투기거래를 지속적으로 엄격하게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대규모 헬스장 부실 경영 막는 유일한 방법은? 중 상하이 사전 건전성 단속이 최고
대형 헬스장의 돌연한 폐업은 소비자들에게는 엄청난 피해다. 피해자도 다수여서 지역 사회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 중국의 헬스장은 한국보다 규모가 더 큰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런데 중국 소비자들의 소득은 아직 한국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자연히 한국보다 그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런 중국에서 상하이 시가 묘책을 내놓고 1년간 운용 성과를 올려 주목된다. 1년 전, <상하이시 체육 발전 조례>(이하 <조례>)가 공식 시행됐다. 그 중 여러 조항은 헬스업계가 어떻게 올바르게 선불 소비 영업 활동을 진행해야 하는지를 규정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업 부서 외의 산업 주관 부서가 법규에서 선불 소비 영업 활동에 대한 감독 방안을 제시한 사례였다. 1년이 지난 후,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에 대한 감독 세칙이 발표되었으며, 이는 상하이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 금액과 사용 가능한 서비스 기한 및 횟수를 명확히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스포츠 산업의 선불 자금 ‘삼한’ 기준을 설정한 사례였다. 1월 13일, 상하이시 체육국은 여러 부서와 공동으로 <상하이시 체육 헬스업계 선불 소비 영업 활동 감독 실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