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당 훠궈 포장음식에서 쥐 사체 일부 발견돼, 中네티즌 “음식에서 만날 쥐가 나오네요”

 

'쥐고기 포비아'

불과 10여년 전 중국에서 쥐약을 먹고 죽은 쥐의 고기를 양고기로 속여 팔았다가 구매자가 먹고 쓰러져 병원에 입원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쥐고기 포비아'가 베이징 전역에 확산되면서 길거리에 가판을 설치하고 양꼬치를 팔던 노점상들이 대거 생계를 접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그 쥐고기 포비아가 최근 다시 발생했다. 

이번엔 중국 장쑤성 스어양현(射阳县)의 한 식당에서 판매한 포장 음식에서 쥐가 발견돼 온라인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다시 한 번 식품 안전을 거론하며 크게 분노하는 모습이다. 

양고기 훠궈에서 쥐가 발견된 후 해당 지역 시장감독국(市场监管局)은 즉시 조사에 착수했다. 

음식 주문자가 촬영한 영상을 보면 양고기 뼈다귀 옆에 쥐의 일부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놓여있다. 이물질에선 수염과 이빨이 보여 쥐의 머리 부분으로 추정된다. 음식을 먹다가 쥐의 머리를 발견한 주문자가 받았을 충격이 능히 짐작되는 대목이다. 

중국 네티즌은 “올해 쥐가 활발한 것 같다”며 “만날 쥐가 나온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쥐고기는 사실 중국에서는 왕조시대 백성들의 고통과 관련돼 있다. 뼈에 사무치는 인연이 있다. 전란으로 먹을 게 떨어지면 백성들이 찾았던 게 바로 쥐고기였던 것이다. 결국 쥐고기를 먹는다는 것은 중국인 DNA 깊숙히 자리 잡은 전란과 혼돈의 상징이기도 하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