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 1~8월 중국 3대 도시(상하이, 베이징, 선전) 수출입 지속 성장

 

상하이가 '중국 제일의 무역도시' 타이틀을 올해 1~8월 내내 지켰다. 무역도시 2위와 3위는 베이징과 선전이 각각 차지했다.

세 도시의 올 1~8월 무역액은 전년 동기 대비 3% 이상 늘었다.

18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第一财经)에 따르면 이날 상하이와 선전이 올해 1~8월 수출입 데이터를 발표했다. 지난 12일 데이터를 공개한 베이징과 함께 중국 3대 대외 무역도시는 모두 지속적인 성장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입 총액 기준으로 보면 상하이가 올해 8개월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베이징과 선전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단, 베이징과 선전의 격차는 200억 위안에 불과했다.

반면 세 도시의 수출입 성장률에서는 선전이 전년 대비 성장률 8.1%로 1위를 차지했고, 상하이와 베이징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3.6%, 3%로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1~8월 베이징의 수출입 규모는 2조 39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 늘었다. 그 중 수출은 3910억1000만 위안으로 9.3% 증가했고, 수입은 2조 위안으로 1.8% 증가했다.

또 8개월 동안 베이징의 5대 무역 상대국은 EU, 미국, ASEAN, 호주, 브라질이며 각각 수출입 규모는 2638억2000만 위안, 1848억 위안, 1644억7000만 위안, 1345억3000만 위안, 1232억5000만 위안으로 집계됐다.

1~8월 상하이의 수출입 총액은 2조 7900억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증가했다. 이 중 수출은 1조 14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했고, 수입은 1조 65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했다.

또 같은 기간 상하이의 EU 수출입액은 5707억8000만 위안으로 7.1% 증가했고, 아세안과 미국으로의 수출입은 3549억9000만 위안, 3192억 위안으로 각각 2.7%, 5.2% 감소했다. 일본과 호주에 대한 수출입액은 각각 2578억6000만 위안, 3192억 위안으로 각각 2.5%, 26.5% 증가했다.

1~8월 선전의 누적 수출입 규모는 2조 37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했다. 이 중 수출은 1조5000억 위안으로 19.4% 증가했고, 수입은 8726억6000만 위안으로 7.1% 감소했다.

또 8개월 동안 선전의 홍콩, 아세안, 유럽연합, 미국에 대한 수출입액은 각각 3656억8000만 위안, 3630억8000만 위안, 2677억8000만 위안, 2647억1000만 위안으로 각각 5%, 9%, 13.3%, 13.4% 증가했다.

한편 해관총서(세관)에 따르면 1~8월 중국의 수출입 총액은 27조 8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감소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