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중국 지역별 비민간 단위 직원 평균 연봉 Top 10

 

개혁개방 이래 중국의 장점은 값싼 노동력이었다. 그 값싼 노동력이 '공기처럼 무한하다'는 게 바로 중국 스스로 내세운 장점이었다.

하지만 최근 수년 간 중국 도시 지역 취업자의 평균 임금은 매년 증가 추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한했던 노동력도 이미 유한해진지 오래다. 특정 업종의 경우 노동자를 찾기 힘들어지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한다. 

예컨대 과거 중국의 도시에서 집안 허드렛일을 해주는 농민공과 아주머니를 찾는 것 쉬운 일이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갈수록 어려운 일이 되고 있다. 베이징, 상하이 같은 대도시뿐이 아니다. 

이유는 간단하다. 노동자 평균 임금이 상승하면서 힘든 일을 하는 이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6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第一财经)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전국 도시 비민간 단위 직원의 평균 연봉은 11만4029위안으로 전년 대비 7192위안(6.7%) 증가했다. 비민간 단위는 국유기업, 외국합자기업 등을 의미한다.

일반 민간 단위 직원의 평균 연봉은 6만5337위안으로 전년 대비 2353위안(3.7%) 증가했다.

지난해 평균 임금을 발표한 16개 성(省)급 지역 가운데 비민간 단위 직원의 연봉이 높은 Top 5 지역은 다음과 같다.

 

1위 저장성 12만8825위안

2위 장쑤성 12만1724위안

3위 충칭 10만7008위안

4위 윈난성 10만3128위안

5위 산둥성 10만2247위안

6위 쓰촨성 10만1800위안

7위 네이멍구 10만990위안

8위 산시(陕西)성 9만8843위안

9위 안후이성 9만8649위안

10위 광시성 9만2066위안

 

16개 성급 지역 중 7개 지역의 비민간 단위 직원의 평균 연봉이 10만 위안을 초과했다.

소득 상위 업종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저장성, 장쑤성 등은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 산업이 평균 임금 상승을 주도했고 네이멍구, 산시성 등은 광산업의 평균 임금이 가장 높았다.

장흥석 차이나포럼 사무국장은 "중국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전반적인 산업 변화와 함께 노동시장도 급속히 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차이나포럼은 중국 현지 한인 사업가들, 외교관 등이 모여 중국 시장에 대한 변화를 토론하는 모임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