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4월 중국 모바일 게임 업체 글로벌 매출 순위, 1위 텐센트

 

거대한 중국 시장을 기반으로 한 중국 게임업체들의 글로벌 공략이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당국의 자국 시장 보호 속에 안정적 성장을 한 중국 업체들이 자국 시장에서 확보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게임 시장에 적극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모바일 앱 개발 파워는 이미 전자상거래 플랫폼 분야에서 공인을 받은 바 있다.

또 틱톡 등 숏폼 플랫품을 개발해 성공하는 저력도 보여줬다.

중국 게임 업체들은 스토리의 정밀성 등에서 한 수 뒤진다는 평을 받았지만, 최근 출시된 게임들은 이 같은 지적을 불식시키고 있다.

현재 중국 게임 업체들 가운데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인정받는 업체는 바로 텐센트(騰迅, 텅쉰)이다. 텐센트는 중국판 카카오톡인 위챗을 성공시킨 업체다. 네이버와 같은 포털 사이트도 운영하고 있다. 위챗을 기반으로 온라인 판매와 금융 분야로도 사업을 적극 확장하고 있는 상태다. 

시장조사업체 센서타워(Sensor Tower)가 지난 4월 기준 중국 모바일 게임 업체의 해외 시장 매출 및 다운로드 순위를 5일 발표했다. 해외 시장 매출 순위 Top 10 중국 게임 업체는 다음과 같다.

 

1위 텐센트(騰迅, 텅쉰)

2위 미하유(米哈游)

3위 넷이즈(網易, 왕이)

4위 리리쓰(莉莉丝)

5위 링시후위(灵犀互娱)

6위 싼치후위(三七互娱)

7위 IM30

8위 뎬뎬후동(点点互动)

9위 량무게임(亮木游戏)

10위 쟝위후동(江娱互动)

 

센서타워에 따르면 4월에 총 40개 중국 기업이 글로벌 모바일 게임 퍼블리셔 매출 순위 Top 100에 진입했으며 총 매출액은 20억 달러에 육박했다.

미하유의 신작 게임 '붕괴: 스타레일(崩坏: 星穹铁道)'은 4월 26일 출시돼 중국 ios 모바일 베스트셀러에 등극했으며 미국, 일본, 한국 등 주요 게임 시장에서 Top 3에 진입했다. 호요버스가 지난 2020년 선보여 현재까지 4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원신(原神)'과 비교하면 출시 첫 주 다운로드량은 1.6배, 매출은 1.3배 높았다. 

리리쓰는 유럽과 미국에서 신작 SLG(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장르 '콜 오브 드레곤즈(Call of Dragons)'를 출시하면서 4월 매출이 전월 대비 39% 증가한 1억 달러를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