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은 부유(富裕)해서 하는 게 아니다. 족(足)하기에 하는 것이다. 안빈낙도(安貧樂道)란 가난에 만족하는 삶이 아니라, 맞춰 나눌 수 있어 즐겁다는 것이다.” 가난은 행복의 조건이 아니다. 가난하지만, 행복하다. 거짓말, 거짓말이다. 가난한데도 행복할 수도 있겠지만, 가난해서 행복하다는 건 거짓말, 거짓말이다. 가난한 자의 자기합리화, 자기변명일 뿐이다. 흔히 이런 이들의 행복이란, 가난했던 시절 한 방에서 모든 가족이 자야했고 그래서 불편은 했지만, 가족끼리 더 아끼고 더 이해하고 사랑했다는 것이다. “어린 시절 일자리에서 밤늦게 귀가하신 아버지가 어머니가 차려주신 밥상에 혼자 앉아 소주 한 잔을 기울이는 뒷모습이 안타깝고 아련하다. 그 시절 가난하지만 그래도 행복했다.“ 그런데, 그럼 지금은? 돈이 좀 있는데, 자식들은 스마트폰만 끼고 살고 밖으로만 나다니고 … 마치 가난이 행복을 준양, 행복의 조건인양 이야기한다. 자기합리화, 자기변명일 뿐이다. 그저 행복으로 포장돼 남은 추억일 뿐이다. “세상이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 말라“ 마음 속 주문이 만든 기억의 재구성일 뿐이다. 나눔의 빈(貧)을 가난할 빈(貧)으로 치환하면서 생긴 자기변명이다. 한자
“电影江前落,雷声峡外长。霁云无处所,台馆晓苍苍。” (전영강전락, 뇌성협외장, 제운무처소, 태관소창창) “강 앞 친 벼락, 우레는 협곡을 뒤흔들고 갑자기 구름 걷히니 산 위 정자 뒤로 창창히 갠 맑은 하늘” 비온 뒤 하늘이 가장 맑습니다. 짙은 먹구름, 갑자기 쏟아지는 장대비 강 위로 벼락이 치고 저 멀리 협곡을 뒤흔드는 우렛소리가 강가까지 들립니다. 그런데 역시 갑자기 비는 그치고 구름이 갠 맑은 하늘이 산 위 정자 뒤로 창창히 펼쳐집니다. 중국 당나라 때 시인 심전기(沈佺期, 656~714)의 '무산(巫山)'이라는 오언율시의 한 구절입니다. 심전기의 자는 운경(雲卿), 허난성 상저우(相州) 네이황(內黃) 사람으로 측천무후 시대 송지문과 함께 궁정시인으로 명성이 높았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긴 불황 끝에 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서민들의 삶이 팍팍하기만 합니다. 대기업은 그나마 돈을 벌지만, 소상공인들의 상가에는 대출 이자를 걱정하는 한숨이 무산의 우렛소리처럼 시장 골목 밖에서도 들리는 듯합니다. 하지만 그치지 않는 비가 어디 있겠습니까. "무종우(無終雨, 그치지 않는 비가 없다)"라는 노자(老子)의 말처럼 비는 반드시 그치고, 먹구름은 흩어지게 돼 있습니다.
唉,飞机又晚点了! Āi ,fēijī yòu wǎndiǎn le! 아이고, 비행기가 또 연착되었네요! 他们总是晚点! Tāmen zǒngshì wǎndiǎn! 이 항공사는 항상 연착이에요! Wǒ bù xǐhuān 'kōngqì zhōngguó'! 我不喜欢'空气中国'! 나는 공기중국이 싫어요! 哈哈,凯文,是“中国航空”! Hāhā ,Kǎiwén ,shì “Zhōngguó Hángkōng ”! 하하, 케빈, 중국항공이에요. *한국에서 ‘중국항공’이라고도 불리는 ‘에어차이나’는 중국어로 ‘中国航空’이다. ‘맥도날드(麦当劳,Màidāngláo)’, ‘KFC(肯德基,Kěndéjī)’등 중국에서는 외래어라도 중국식으로 바꿔서 부르는 경우가 많으니 꼭 중국 이름을 외워서 말해야 한다. 作者:刘志刚 画家:宋海东
아첨은 참으로 무섭다. 받는 이만 모른다. 아첨은 누가 봐도 지나친 것이다. 주변에서 보는 이들은 누구나 그 지나침을 본다. 하지만 유독 받는 자만이 모른다. 아첨은 받는 이의 눈만을 가리는 술수다. 병으로 치면 아첨은 당뇨다. 당뇨병이 무서운 것은 신체의 기능을 서서히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피를 혼탁하게 해 조금씩 생명을 갉아먹는다. 당뇨로 인해 남보다 빠르게 신체 기능이 떨어지고 많은 합병증이 유발되지만 처음에는 대다수가 그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사실 당뇨 자체는 당장의 아픔도, 불편함도 초래하지 않는다. 아첨은 이런 점에서 당뇨보다 더 무섭다. 마약과 같은 기쁨을 준다. 아첨을 받을수록 기뻐하고, 스스로 한계를 넘는다. 그리고 자신을 패망의 길로 몰아간다. 당뇨와 마약처럼···. 전국책 제책편에는 장의를 패망의 길로 몰아간 위나라 장군 공손연의 사례가 나온다. 단 한 번의 아첨으로 장의를 곤궁에 빠뜨린다. 때는 합종연횡이 한참이던 시기였다. 당시 위나라는 공손연을 앞세워 제나라를 쳤으나 승리하지 못하고 나라 힘만 쇠해졌다. 위나라 왕은 장의를 재상으로 삼고, 제나라와 화해를 한 뒤 진나라와 연횡을 했다. 제나라는 자신을 공격한 공손연이 위
“坏”交通 “Huài ” jiāotōng 나쁜 교통 唉,又堵车了! Āi ,yòu dǔchē le!... 아이고, 또 막히네! 师傅,北京经常堵车吗? Shīfu ,Běijīng jīngcháng dǔchē ma? 기사님, 베이징은 차가 자주 막히나요? 是啊,经常堵车。 Shì ā ,jīngcháng dǔchē. 네, 자주 막혀요. 唉!北京的交通太坏了! Āi ! Běijīng de jiāotōng tài huài le ! 아이고! 베이징의 교통은 너무 나빠요! *‘坏’는 물건이 상했거나, 성격 등이 나쁠 때 많이 쓰이는 형용사로, ‘食物坏了(음식이 상했다)’, ‘他很坏(그는 나쁘다)’ 등의 표현으로 자주 쓰인다. 교통이 나쁘다는 말을 하고 싶을 때는 ‘坏’가 아닌 ‘差’를 쓰도록 하자! >>맞는 문구: 唉!北京的交通太差了! Běijīng de jiāotōng tài chà le! 作者:刘志刚 画家:宋海东
晴川历历汉阳树, 芳草萋萋鹦鹉洲。 日暮乡关何处是? 烟波江上使人愁。 맑은 날 강가에는 한양의 나무들이 즐비하고 앵무주에는 향기로운 풀들이 무성하네. 해는 지는데 고향 집은 어디인가? 강에 핀 물안개에 내 맘도 시름에 젖네. 시는 당나라 때 관료이자 시인이었던 최호(崔颢, 704~754)가 쓴 '황학루(黄鹤楼)'의 뒷부분이다. 최호는 19세 때 진사에 급제해 벼슬 길에 올랐으나 글을 많이 남기지는 못했다. 평생 40여 편의 시를 남겼으며 바둑과 술을 즐겼다고 한다. '황학루'는 중국 역사상 최고 시인으로 꼽히는 이백이 읽고 경탄을 금치 못했다고 알려져 있다. 황학루를 찾은 이백이 절경을 보고 시를 읊으려다 최호의 시를 읽고 "이보다 나은 시를 쓸 수 없다"라며 붓을 내려놓았다고 한다. 황학루는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汉)의 창장(長江) 기슭에 있다. 악양루, 등왕각과 함께 강남 3대 누각으로 알려져 있다. 신선이 학을 타고 놀았다는 전설과 벽에 그린 학이 실제 날아갔다는 전설이 있다. 시 '황학루' 역시 전설을 언급하면서 시작한다. 昔人已乘黄鹤去, 此地空余黄鹤楼 日暮鄉關何處是, 煙波江上使人愁 옛 선인은 이미 학을 타고 떠났고 이곳엔 텅 빈 황학루만 남았네. 황학
듣기 좋은 소리가 나쁜 것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사람이 듣기 좋아하는 소리는 정해져 있다. 그래서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남이 듣기 좋은 소리를 할 수 있다. 듣기 좋은 소리나 듣기 싫은 소리나 ‘참되다’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듣기 좋은 소리에도 참된 소리가 있고, 듣기 나쁜 소리에도 참된 소리가 있다. 다만 그것은 듣는 입장에서도 말하는 입장에서 보면 듣기 좋은 참된 소리는 굳이 아니 한만 못하고, 듣기 나쁜 참된 소리는 하고 싶어도 안하는 게 좋다. 듣기 좋은 참된 소리는 들은 사람이 자꾸 듣고 싶고 듣게 되는데, 소리란 게 들으면 들을수록 소리만 남고, 실체는 없어지기 때문이다. 자기도 모르게 소리와 다른 행동을 하게 되고 자신도 모르게 듣기 좋은 거짓 소리로 만들게 된다. 말하는 사람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다. 듣기 좋은 참된 소리를 듣고 기뻐하는 사람을 보면 자기도 모르게 자꾸 참되지 않은 듣기 좋은 소리까지 하게 되는 법이다. 듣기 싫은 소리는 말할 나위없다. 중요한 것은 듣기 좋은 소리에서 참되지 않은 것을 고르는 지혜이고 듣기 나쁜 참된 소리를 골라듣는 노력이다. 전국책 제책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나온다. 전국의 패자 제나라 재상 추기는 8척
老师,辛苦了!我可以帮你吗? Lǎoshī,xīnkǔle!wǒ kěyǐ bāng nǐ ma? 선생님, 고생하셨어요! 제가 도와드릴까요? 那你帮我洗菜吧。 Nà nǐ bāng wǒ xǐ cài ba. 그럼 야채 좀 씻어주렴. 好的,没问题! Hǎode,méiwèntí! 좋아요! 糟糕!老师,水完了! Zāogāo!lǎoshī,shuǐwánle! 이런! 선생님, 물이 끝났어요! * 停水: 단수 停电: 정전 단수로 인해 물이 안 나올 때는”停水了“ 혹은 “没水了” 라고 하는게 맞다.
본래 똑똑하기가 쉽다. 아니 똑똑한 척 하기는 쉽다. 진실은 누구나 똑똑한 척을 한다. “모두가 선생이 되려해 싸움이 난다.” 천하의 스승인 공자의 말이다. 똑똑한 참모는 좋은 계책은 내놓지만, 슬기로운 참모는 주군이 좋은 계책을 내도록 한다. 그러면서도 때론 자신의 가치를 분명히 알도록 한다. 슬기로운 참모는 그래서 다른 이의 질시를 받지 않는다. 전국책 제책편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있다. 제나라에는 추기(鄒忌)와 전기(田忌)라는 두 사람이 문무 두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었다. 하지만 둘은 서로 사이가 나빴다. 전기는 문에도 뛰어났지만 무에도 뛰어나 추기가 질시를 했다. 그러던 어느날 추기가 제나라의 재상이 됐다. 추기의 가신 가운데 한 명이 꾀를 냈다. “아니 왜 왕에게 위나라를 치자고 주장하지 않습니까? 전쟁에서 이기면 재상께서 세우신 계획 덕이고 지면 전쟁에 나서 제대로 싸우지 못한 전기 탓을 몰아 전기를 곤혹스럽게 할 수 있습니다.” 이야기를 들은 추기가 그럴 듯하다 싶어 왕에게 위나라 침공 계획을 보고 했다. 왕은 추기의 조언에 따라 위나라를 침공했다. 전기가 장군이 돼 선봉에 섰다. 그런데 전기의 재주는 추기의 기대 이상이었다. 백전백승의
“甭感冒” Béng gǎnmào 감기에 걸릴 필요가 없어요 老师,我又感冒了!(阿嚏) Lǎoshī ,wǒ yòu gǎnmào le!(ātì)... 선생님, 저 또 감기에 걸렸어요! (엣취) 最近感冒的人特别多!(阿) Zuìjìn gǎnmào de rén tèbié duō!(ā) 요즘 감기에 걸리는 사람이 정말 많네요! (엣) 是啊,老师,你要小心,甭感冒了! Shì ā ,lǎoshī ,nǐ yào xiǎoxīn ,béng gǎnmào le! 맞아요, 선생님, 선생님도 조심하세요, 감기에 걸릴 필요가 없어요! 哈哈,谢谢!(嚏) Hāhā ,xièxiè!(tì ) 하하, 감사해요! (취) *甭은 지방 사투리로 ‘~할 필요가 없다’(不用)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甭担心”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하지 마라’라는 표현을 하고 싶다면 ‘别(bié)’ 또는 ‘不要(búyào)’를 써야 한다. >>맞는 문구: 是啊,你要小心,别感冒了! 作者:刘志刚 画家:宋海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