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넷제로'는 글로벌 각국의 과제다. 지금처럼 탄소를 배출해서는 지구 온난화가 지속되고, 지구 환경 변화로 인한 각종 폐해가 우려된다. 심지어 인류를 비롯한 일부 종의 멸종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머지 않은 장래에 지구 대부분이 수면 속으로 잠기는 탓에 수상 도시 건설에 대한 꿈을 꾸거나, 화성으로 탈출해 사는 꿈을 꾸는 이들까지 생길 정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탄소넷제로에 대한 각국의 실천의지는 아직 미흡하기만 하다는 게 글로벌 환경운동가들의 탄식이다. 중국 역시 이러한 탄소넷제로의 과제가 무거운 나라 중 하나다. 아무래도 늦은 산업화로 인해 탄소배출이 적지 않은 탓이다. 그렇지만 중국은 탄소배출을 쉽게 접을 수도 없다. 그랬다가는 제조 원가가 지나치게 높아져 현재 글로벌 공장으로서 중국의 위치가 큰 타격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상황 속에도 중국 역시 나름대로의 녹색 경제을 구축하며 '탄소넷제로' 과제를 조금씩이라도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다. 워낙 단위가 크다보니, 중국의 녹색 경제 구축에 드는 비용은 이미 글로벌 톱 수준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BloombergNEF에서 '2023 중국 기업 녹색 전기 거래 순위'를 발표했다. 순위에서
중국 경제의 디지털 자산가치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디지털로 만드는 부가가치가 커지는 덕이다. 사실 중국 네티즌 수를 생각하면 너무 당연한 일인지 모른다. 중국은 현재 10억명 가량의 네티즌을 가지고 있다. 세계 최대 수다. 인도가 그 뒤를 따르고 있지만, 소비력에서는 중국을 당해내지 못한다. 간단히 10억 네티즌 가운데 4억만 고객으로 확보해 하루 1위안의 수익을 올린다고 가정하면, 인테넷 기반의 그 회사는 하루 순익이 4억 위안이 된다. 하루 4억 위안 수익이면 한달, 30일 이면 120억 위안이다. 인터넷에서는 휴일이라는 게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정말 중국은 IT기업들의 천국이 싶다. 그걸 중국 당국도 너무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철저히 만리방화벽으로 외부와 차단하고 자체 자국 기업 육성에 주력하는 것이다. 현재 미국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서비스 규모다 중국 시장보다 더 크기는 하지만, 글로벌 시장 공략에는 언어, 문화 차이를 고려한 다양한 제약이 따른다. 중국은 단일 문화의 최대 시장이라는 최대 장점이다. 그럼 이런 중국 시장에서 가장 '잘 놀고' 있는 IT기업은 어떤 곳이 있을까? 게임 분야의 순위를 살펴봤다. 최근 시장조사 기관 센스타워(Sen
TV는 이제 더 이상 가전 제품이 아니다. 한 가정의 얼굴이다. 거실에 들어서서 가장 먼저 보이는 디자인 소품이다. 어떤 제품의 TV가 어떤 형태로, 어떻게 배치됐느냐는 그 가정의 여러가지 수준을 보여준다. 그래서 갈수록 TV가 명품화하고 있다. 특정 제품은 아예 전원을 꺼놓지도 않는다. 평소에는 명화나 가족 사진을 보여주다 필요하면 영상 콘텐츠를 보여준다. 가족 인터넷 사용도 이제는 TV로 하는 시대가 되고 있다. 중국은 이런 TV의 세계 최대 시장 가운데 하나다. 물론 아직 명품 소비는 여러가지 면에서 한계가 있다. 아쉬운 것은 세계 TV시장을 주름 잡는 것은 삼성과 LG인데, 정작 중국에서는 그 명성만큼의 소비자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는 사이 중국 TV 시장은 중국 브랜드 중심으로 갈수록 커지고 있다. 중국 현지 IT매체 콰이커지(快科技)가 8일 시장조사업체 RUNTO(洛图科技)를 인용해 '중국 TV 시장 브랜드별 출하량 순위'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0월 중국 TV 시장의 총 출하량은 374만 대로 9월 대비 5.4%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10.3% 감소했다. 중국내 TV 브랜드 순위 Top 4은 다음과 같다. 1위
본래 인터넷은 한국이 세계 1위였다. 가장 많은 이들이 가장 빠른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고 있어, 한국은 많은 글로벌 인터넷 플랫폼들의 테스트 베드 역할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제는 한국에 쏠리던 관심이 다른 곳으로 옮기고 있다. 바로 중국이다. 중국의 인터넷 인프라가 갈수록 고도화하고 있다. 불과 10여년 전만해도 중국 인터넷은 속도가 느려 많은 한국 주재원들이 투덜거리곤 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역전됐다. 중국은 그 넓은 영토에 빠르게 5G시스템을 깔았고 통신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다. 8일 중국사이버스페이스연구원이 '세계 인터넷 발전 보고서 2023'을 발표했다. 의외로 미국이 1위다. 중국은 2위, 한국은 싱가포르와 네덜란드보다 떨어져 5위에 랭크됐다. 종합적인 성적이라는 게 연구원의 입장이다. 이번 보고서는 세계인터넷개발지수(World Internet Development Index) 지표 시스템을 최적화하고 정보 인프라, 디지털 기술 및 혁신 역량, 디지털 경제, 디지털 정부, 네트워크 보안, 사이버 공간 국제 거버넌스 등 6개 부문에서 전 세계 52개 국가 및 지역을 평가 분석했다. 종합평가를 거쳐 선정된 상위 10개 국가는 다음과 같다. 1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는 이유 중 하나가 사이버 스파이 행위다. 중국이 다양한 루트를 통해 글로벌 사회 곳곳에서 자국 온라인 플랫품을 통해 정보 취합 활동을 벌인다는 게 미국의 시각이다. 그렇게 모인 정보는 중국의 글로벌 경영에 적극 활용된다고 미국은 보고 있다. 실제 중국은 사이버전에 대비한 군부대를 육성하고 있으며, 자국 인터넷을 '만리방화벽'으로 감싼 뒤 그 속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을 매순간 감시하고 있다. 자연히 사이버 보완과 관련한 기술도 중국은 글로벌 사회에서 앞서가고 있다. 미국에 버금간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최근 사이버 보안과 관련해 특허 수를 점검해보니,미국의 IBM이 1위, 중국 기업인 화웨이가 2위를 차지했다. 특허가 많다고 종합 기술력이 1위라고 보기는 힘들다. 그러나 특허가 많으면 자연히 그 종합 기술력도 선두에 설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과 미국 정보서비스 제공업체 렉시스넥시스(LexisNexis)가 집계한 글로벌 사이버 보안기술 특허 보유 상위 10개 업체가 7일 공개됐다. Top 3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IBM 6363개 2위 화웨이 5735개 3위 텐센트 4803개 이번 순위는 미국, 유럽연합, 중
한국에서는 노트북 하면 당연히 삼성이나 LG가 꼽힌다. 두 회사 모두 컴퓨터 분야 글로벌 리딩 업체로 한국내 다양한 서비스 기능까지 더하면 경쟁할 다른 기업이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외국계 업체로 확대하면 HP, DELL 등도 한국 시장에서 선전을 하고 있다. 그럼 이들 가운데 세계 1위 기업이 있을까? 아니다. 현재 글로벌 노트북 시장 1위는 중국의 LENOVO다. 그것도 부동의 1위다. 노트북 시장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시장이 커지면서 갈수록 성장이 정체되고 있지만, 여전히 컴퓨터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반도체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트(TechInsights)에 따르면 3분기 글로벌 노트북 출하량은 총 5120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7% 감소했다. 시장 하락폭이 한 자릿수로 둔화된 것은 2022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글로벌 노트북 브랜드 시장 점유율 Top 5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LENOVO 2위 HP 3위 DELL 4위 APPLE 5위 ASUS 1위 LENOVO의 3분기 출하량은 1220만 대(시장 점유율 24%)로 전년 동기 대비 5% 하락했다. 2위 HP의 출하량은 1030만 대(시장 점유율 20%)로 전년 동기
상하이 인구가 많을까? 베이징 인구가 많을까? 정답은 상하이다. 중국 도시 인구가 계속 늘고 있다. 중국 전체 인구는 2022년을 정점으로 줄어들고 있는데, 도시 인구가 는다는 것은 농촌인구가 줄어든다는 의미다. 아무래도 도시보다 농촌의 삶이 불편한 점이 있다. 유럽의 경우 농촌은 도시보다 부유한 사람들이 산다. 아무래도 생활 환경이 도시보다 좋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도 그렇듯 중국은 전적으로 산업화를 기반으로 국가의 부를 일으켰다. 자연히 도시에 돈이 몰렸고 사람들도 돈을 쫓아 몰렸다. 병원 등 생활인프라 개선도 도시는 빠르게 개선됐지만, 농촌은 상대적으로 늦었다. 사실 중국에서 농촌은 한국과는 다른 의미가 있다. 중국의 공산화는 농민 혁명을 기반으로 성공했다. 본래 공산화는 유럽에서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한 노동자들의 봉기였지만, 중국에서는 지주에 저항하는 농민들의 봉기였던 것이다. 그 뒤 중국을 차지한 공산당은 매년 1호 문서로 농촌 개발과 관련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중국 주택도시농촌건설부가 '2022년 중국 도시 인구 순위'를 최근 발표했다. 중국의 31개 성급 행정구역과 695개 현급 이상 도시를 대상으로 한 인구 순위 Top 10은 다
중국이 미래 산업으로 가장 주력하는 분야는 IT다. 반도체는 이 IT산업을 키우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꼽힌다. 중국 경제는 인터넷 경제가 급속히 발전하면서 기존의 국내총생산(GDP) 개념으로는 그 성장세를 설명하기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다. GDP는 각 산업 분야에서 만들어지는 부가가치의 합인데, 인터넷 경제를 통해서 발생하는 부가가치가 기존 계산법으로는 빠지는 게 많다는 것이다. 중국의 디지털 경제를 합치면 이미 미국을 넘어 세계 1위라 스스로 평가하기도 한다. 중국 디지털 산업은 그 정도로 매년, 매분기, 매월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최근 중국기업평가협회와 중국정보통신연구원이 '디지털 경제 기업 Top 500 발전 지수'를 발표했다. 이 500개 기업이 어느 지역에 많이 있느냐는 그 지역의 미래가 어느 정도 발전 가능성이 있느냐는 것을 보여준다. 디지털 500대 기업들 가운데 가장 많은 기업들이 분포한 곳은 베이징이었다. 이어 광둥과 상하이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베이징, 광둥, 상하이 중국 제조와 서비스 산업의 핵심 도시들이다. 중국 디지털 경제 기업의 중국 도시 분포 순위 Top 10은 다음과 같다. 1위 베이징 143개 2위 광둥 91개 3위
중국에서 서비스 하면 '상하이'다. 상하이는 중국에서 금융과 서비스 산업이 가장 발달한 곳이다. 서비스업이 가장 핫한 곳인만큼 경쟁도 치열하다. 사실 상하이는 중국 개화기 초기에 영국, 프랑스 등 서구 열강에 조차당하면서 중국에서 가장 서구화된 도시가 됐다. 이후 개혁개방을 겪으면서 새롭게 공산 중국에서 빠르게 옛 영화를 되찾았다. 중국 상하이기업연합회가 '2023년 상하이 서비스업 100대 기업'을 최근 발표했다. 그 중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중국원양해운그룹(中国远洋海运集团有限公司) 2위 교통은행(交通银行股份有限公司) 3위 상하이만과기업(上海万科企业有限公司) 4위 중국태평양보험(그룹)(中国太平洋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5위 녹지공고그룹(绿地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6위 상하이푸동발전은행(上海浦东发展银行股份有限公司) 7위 메이퇀(美团公司) 8위 태평인수보험(太平人寿保险有限公司) 9위 핀둬둬(拼多多公司) 10위 상하이균화그룹(上海均和集团有限公司) 중국원양해운그룹이 1위에 올랐으며 교통은행과 상하이만과기업이 2~3위를 차지했다. 3~10위에는 중국태평양보험(그룹), 녹지공고그룹, 상하이푸동발전은행, 메이퇀, 태평인수보험, 핀둬둬, 상하이균화그룹이
10월 30일 기준 중국의 광명유업(光明乳业), 삼원고분(三元股份), 묘가람다(妙可蓝多), 천윤유업(天润乳业), 일명식품(一鸣食品), 균요건강(均瑶健康), 리자원(李子园), 웅묘유품(熊猫乳品), 양광유업(阳光乳业) 등 9개 상장 유업 기업이 3분기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9개 기업의 올해 1~3분기 영업수입은 총 381억 48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총 11억 92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6% 성장했다. 중국 농업농촌부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들어 원유 생산량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주요 산지의 원유 구매 가격이 계속 하락하고 있다. 1월 전국 주요 원유 평균 구매 가격은 킬로그램당 4.11위안이었지만 9월 기준 원유 구매 가격은 킬로그램당 10%가량 3.73위안으로 떨어졌다. 9개 유업 기업 중 1~3분기의 영업수입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기업은 5곳이었고,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균요건강으로 104.31%였다. 영업 수입이 감소한 기업은 총 4곳으로 광명유업, 삼원고분, 묘가람다, 양광유업이었다. 그 중 감소율이 가장 큰 기업은 묘가람다로 1~3분기 영업수입 감소율이 19.69%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