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입주 5년 이하의 신축 아파트 가격이 올해 처음으로 입주 30년 초과의 노후 아파트 가격보다 올랐다. 9일 부동산정보서비스업체 직방은 올해 서울에서 3.3㎡당 매매가는 신축 아파트 3천530만원, 노후 아파트 3천263만원으로, 신축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 매매가가 0.92배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앞서 서울의 신축 아파트 대비 노후 아파트 3.3㎡당 매매가는 2013년 1.42배, 2014년 1.40배, 2015년 1.34배, 2016년 1.22배, 2017년 1.18배, 2018년 1.06배 등으로 가격 격차가 줄어들었던 바 있다. 하락세가 지속되다 올해 신축 아파트보다 가격이 낮아진 것이다. 서울 용산구 이촌동에 있는 '한강맨션'(1971년 입주)의 3.3㎡당 평균 매매가는 지난해 6천935만원에서 올해 6천928만원으로 하락했다. 반면 같은 지역인 용산구 이촌동의 '래미안 첼리투스'(2015년 입주)는 3.3㎡당 평균 매매가가 작년 4천970만원에서 올해 들어 5천692만원으로 올랐다. 기존에는 재건축·재개발로 투자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는 기대심리 때문에, 노후 아파트의 가격 상승률이 새 아파트보다 높았다. 그러나 최근 정부의 도시정비사업에 대
내부자로부터 얻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특정 업체 주식을 매수한 50대가 법원으로부터 1억3천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반면 같은 정보를 사실혼 관계 배우자에게서 전달받은 2차 정보 수령자는 무죄였다. 9일 허경무 춘천지법 형사2단독 부장판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기소된 A(59)씨에게 벌금 1억3천만원을 선고하고, 6천314만원을 추징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2월 A씨와 B씨는 C업체 투자담당자인 D씨로부터 "특정 업체의 투자로 C업체가 유상증자 관련 세부 조건을 협상 중"이라는 미공개 내부 정보를 얻었다. 이에 A씨는 B씨에게 빌린 5억원으로, B씨는 자신의 자금으로 C업체 주식을 매수했다. 또한 B씨와 사실혼 관계인 여성 E(46)씨도 B씨에게서 전달받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C 업체 주식을 매입했다. 결국 A씨, B씨, E씨는 각 6천314만원, 1억2천437만원, 8천94만원 상당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로 기소됐으나 선고는 달랐다. A씨와 B씨는 1차 정보 수령자이고, B씨로부터 미공개 정보를 전달받은 E씨는 2차 수령자이자 공범이 된 것이다. 재판부는 "A씨는 미공개 중요 정보를 해당 주식 매매에 이용함으로써, 자본시장의
프랜차이즈 치킨 배달 서비스 가운데 소비자의 종합만족도가 가장 좋은 곳은 페리카나, 가장 나쁜 곳은 교촌치킨이었다. 9일 한국소비자원은 BBQ·BHC·교촌치킨·굽네치킨·네네치킨·처갓집양념치킨·페리카나·호식이두마리치킨 등 가맹점 수 상위 8개 프랜차이즈 치킨 배달 서비스를 이용해본 1천6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50%포인트였다. 이에 종합 만족도가 가장 높은 곳은 페리카나로, 3.79점을 획득했다. 2위는 3.77점을 받은 처갓집양념치킨이었으며, 3위는 3.73점을 받은 네네치킨, 이어서 호식이두마리치킨(3.71점), 굽네치킨(3.69점), BBQ·BHC(3.63점), 교촌치킨(3.56점) 순이었다. 네네치킨은 2015년 조사 때 6위를 기록했으나, 올해는 3위로 순위가 상승한 바 있다. 반면 호식이두마리치킨은 2015년 1위에서 올해 4위로 하락세를 보였다. 서비스 품질 만족도가 가장 높은 곳도 3.93점을 받은 페리카나였다. 이어 처갓집양념치킨(3.89점), 네네치킨·굽네치킨(3.87점) 등 순으로 높았다. 음식의 구성과 맛, 가격 등을 평가한 상품 특성 만족도 역시, 페리카나가 3.
최근 포도 품종 샤인머스켓이 중화권으로 시장을 확대하면서 새로운 ‘K-푸드’로 부상하고 있다. 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올해 10월 말까지 국산 포도 수출액은 1천300만달러(약 154억원)로, 작년 전체 수출액인 1천430만달러(약 169억원)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동기간 (960만 달러(약 114억원))대비 35% 증가한 수치다. 전문가들은 포도가 해외 프리미엄 시장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수출액의 1등 공신은 수출의 90%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샤인머스켓 품종으로, 중화권과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작년 국산 포도가 가장 많이 수출된 나라는 베트남이 442만 달러(약 52억원)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홍콩(410만 달러, 약 49억원), 중국(169만달러, 약 20억원), 싱가포르(156만달러, 약 18억원) 순이었다. 이들 4개국은 전체 수출의 82%를 차지했다. aT는 “최근 중화권 시장에서는 샤인머스켓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공급은 제한적인 상황이다”고 밝혔다. 중국에서는 아직 재배 기술, 경험 부족으로 높은 품질의 샤인머스켓을 재배하는 농가가 드물다. 일
6일 서울연구원은 서울의 5대 권역 중 도심권만 소비 호조를 보이고, 나머지 권역은 소비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서울연구원이 신한카드 매출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산출한 것으로, 10월 '서울소비경기지수' 분석에서 도심권의 소비경기지수는 지난해 동기간 대비 15.7% 늘었다. 반면 서남권은 8.0%, 동남권은 3.9%, 서북권은 2.9%, 동북권은 0.8% 하락해, 5개 권역 전체를 평균하면 지난해 동기간 대비 2.2% 하락세를 보였다. 소비별로는 서울 소매업 소비경기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4.8% 줄었다. 음식료품·담배는 9월 보합세(0.4% 증가)에서 벗어나 10월에는 큰 폭의 오름세(12.6% 증가)를 보였다. 한편 의복·섬유·신발은 지난해 동기 대비 줄었고(9월 -14.6% → 10월 -18.2%), 전제품·정보통신은 9월에 작년 동기대비 증가(2.2%)였던 것이 10월에는 감소(-7.7%)폭을 그렸다. 특히 올해 상승폭을 그렸던 무점포소매가 올 들어 처음으로 작년 동기 대비 감소로 돌아섰다.(9월 16.4% → 10월 -4.9%) 숙박·음식점업은 지난해 동기간 대비 1.6% 증가세를 보였다. '카드매출 빅데이터를 통해 본 서울소비경기지수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오는 14일까지 네이버·카카오 등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와 함께 'SNS(사회관계망서비스) 상거래 주의 사항' 홍보하는 캠페인을 실시한다. 공정위에 따르면 최근 SNS가 성행하며 이 곳에서 물건을 파는 이른바 'SNS 마켓'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관련 분쟁과 소비자 피해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SNS마켓 관련 소비자 불만은 모두 1천419건으로, 2017년(1천319건)보다 7.6% 늘어났다.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SNS 판매자의 전자상거래법 준수사항, 소비자 유의사항 등을 담은 카드 뉴스와 동영상 등을 네이버·카카오 등을 통해 제공할 계획이다. 주요 홍보 내용은 SNS를 이용한 판매자도 ‘통신판매업자’에 해당하기 때문에, 물건을 판매하기 전 반드시 통신판매업 신고(전자상거래법 제12조 제1항)를 완료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자상거래법 제13조 제1항에 따라 상호·대표자 성명, 주소·전화번호, 통신판매신고번호 등도 명시해야 한다. 또한 SNS를 통한 판매에도 단순변심 환불 규정(전자상거래법 제17조 제1항)을 따라야 한다. 소비자가 물건을 받은 뒤 7일 이내 환불을 요구할 경우, 정당한 사유가
2018년 전세계 산업용 로봇 도입 대수가 40만대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우리나라는 다소 주춤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6일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국제로봇연맹(IFR)는 "최근 발간한 '월드 로보틱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산업용 로봇 도입 대수가 전년보다 6% 증가한 42만2천대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사상 최고치로, 또다시 신기록을 세운 것이다. 국가별로는 중국, 일본, 미국, 한국, 독일 등 5개 국가가 74%의 합계 점유율을 차지했다. 특히 중국이 15만4천대를 도입하면서 36%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는 미국과 유럽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은 수치로, 전년대비 1% 줄어들긴 했으나 여전히 높은 점유율이다. 액수로는 전년보다 21%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전년보다 21%나 증가한 5만5천대로 역대 신기록을 기록했고, 미국도 22% 늘어난 4만300대로 8년 연속 최고치를 보였다. 한편 2017년에 세계 3위였던 한국은 미국에 밀려 4위에 랭크되며, 지난해 오히려 5% 감소한 3만8천대에 그쳤다. 보고서는 산업용 로봇의 핵심 소비처인 전자산업이 비교적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한국의 근로자 1만명 당
6일 서울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신도림∼까치산) 구간 운행이 새벽 차량기지 내 탈선사고로 한때 지연됐다. 서울교통공사는 이날 오전 5시 40분부터 운행 예정이었던 첫차 운행이 지연되자, 오전 6시부터 열차 2대를 투입해 일부 운행을 재개한 뒤 오전 7시 46분부터 정상 운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영향을 받은 2호선 신정지선 역은 신도림, 도림천, 양천구청, 신정네거리, 까치산역이다. 공사에 따르면 이날 오전 2시 10분께 2호선 신정차량기지 내에서 운행하던 작업용 특수차가 제동되지 않으면서 출고선 차단막과 부딪혀 탈선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에 기지 내 광케이블이 훼손돼 통신장애가 발생, 신정차량기지 내 차량 출고가 불가능해졌다.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없었으며 공사는 현장사고수습본부를 구성했다. 또한 관계 직원을 투입해 탈선한 특수차를 오전 4시 50분께 복구했다. 공사는 열차 2대를 투입해 오전 6시께 운행을 일부 재개했으나, 이는 3대가 투입되던 평상시보다 적어서 운행이 지연돼 출근길 승객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공사 측은 이후 오전 7시 46분부터 3대 모두가 투입되면서 열차 운행이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공사는 해당 노선 승객을 위해 버스 1대와 승합차
올해 미국 달러화 기준 1인당 국민소득이 4년 만에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저성장과 저물가에 원화 약세가 나타난 탓이다. 6일 금융권은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은 3만2천달러 안팎으로 작년(3만3천400달러)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1인당 국민소득이란 국민소득을 총국민 수로 나눈 값을 말하며, 해당 국가의 소득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올해 1∼3분기 국민총소득(1천441조4천400억원)은 작년 동기간과 비교했을 때 1.56% 늘었다. 4분기에도 국민총소득이 같은 속도를 유지한다면,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은 약 3만2천달러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연간 국민총소득 추정치를 통계청 중위 추계 상 인구(5천179만9천명)로 나누고, 1월부터 지난 5일까지 평균 원/달러 환율(달러당 1,165.06원)을 반영해 계산한 수치다.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는 지난해 평균(달러당 1,100.3원)대비 5.9% 감소폭을 보였다. 달러 기준 1인당 국민소득이 줄어드는 것은 2015년 이후 4년만에 처음이다. 한은 관계자는 "GDP 디플레이터가 마이너스고 원/달러 환율이 작년보다 높아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은 작년보다 줄어들게 된다"며 "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금융안정을 위해 300억위안의 통화스와프를 마카오와 체결했다. 위안화의 국제화가 가속화되면서 중국과 통화 스와프를 체결한 나라가 한국을 비롯해 33개국에 달한다. 중국 중앙은행은 5일 중국 마카오 특별행정구(이하 마카오) 금융관리국과 대륙 및 마카오 지역의 금융안정을 위한 양자간 통화 교환 협정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합의 계약서는 300억위안(350억 마카오 달러)이며, 3년 만기로 양측이 동의하면 자동 연장할 수 있다. 중국은 지난 7월 처음으로 마카오에서 국채 20억위안을 발행했다. 이중 기관에 발행한 국채는 17억위안이고 마카오 주민에게 소매 판매한 국채는 3억위안(약 1조2000억원)이었다. 중국 마카오의 대표 관계자는 “마카오가 적절한 경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금융 시스템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위안화 채권 발행으로 마카오가 특화된 금융업무를 발전시키고, 마카오가 '중국과 마카오 금융서비스 플랫폼'과 '위안화 결제센터'로 집중 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위안화가 국제화로 가속화되면서 위안화는 세계에서 6번째로 큰 지불 통화가 됐다. 유니버설뱅킹금융통신협회(SWIFT)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