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프랜차이즈 치킨 종합만족도 1위는 페리카나"

가장 낮은 곳은 ‘교촌치킨’

프랜차이즈 치킨 배달 서비스 가운데 소비자의 종합만족도가 가장 좋은 곳은 페리카나, 가장 나쁜 곳은 교촌치킨이었다.

 

9일 한국소비자원은 BBQ·BHC·교촌치킨·굽네치킨·네네치킨·처갓집양념치킨·페리카나·호식이두마리치킨 등 가맹점 수 상위 8개 프랜차이즈 치킨 배달 서비스를 이용해본 1천6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50%포인트였다.

 

이에 종합 만족도가 가장 높은 곳은 페리카나로, 3.79점을 획득했다.

2위는 3.77점을 받은 처갓집양념치킨이었으며, 3위는 3.73점을 받은 네네치킨, 이어서 호식이두마리치킨(3.71점), 굽네치킨(3.69점), BBQ·BHC(3.63점), 교촌치킨(3.56점) 순이었다.

 

네네치킨은 2015년 조사 때 6위를 기록했으나, 올해는 3위로 순위가 상승한 바 있다. 반면 호식이두마리치킨은 2015년 1위에서 올해 4위로 하락세를 보였다.

 

서비스 품질 만족도가 가장 높은 곳도 3.93점을 받은 페리카나였다. 이어 처갓집양념치킨(3.89점), 네네치킨·굽네치킨(3.87점) 등 순으로 높았다.

 

음식의 구성과 맛, 가격 등을 평가한 상품 특성 만족도 역시, 페리카나가 3.66점으로 1위를 기록했다. 교촌치킨은 3.39점으로 가장 낮은 순위를 보였다.

 

가격을 제외하고 음식의 구성과 맛만 따로 집계한 결과는, 페리카나와 처갓집양념치킨이 3.91점으로 공동 1위를 차지했으며, 호식이두마리치킨이 3.76점으로 가장 낮았다.

 

호감도는 1위 처갓집양념치킨(3.70점), 2위 페리카나(3.69점), 3위 네네치킨(3.67점) 등의 순이었다.

 

한편 소비자들이 프랜차이즈 치킨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대표적인 이유는 '맛'(58.4%)이었다. 주문 방법은 모바일이나 배달 앱을 통한 주문이 75.9%로 대다수였으며, 전화가 68.1%로 뒤를 이었다.

 

이용 과정에서 불만이나 피해를 경험한 응답자는 30.3%였고, 피해 유형은 '주문 및 배달 오류'가 35.3%로 가장 많았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