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플랫폼 집계에 따르면 베이징 시간 8월 31일 13시 51분 기준, 2025년도 중국 영화의 총 흥행 수익(해외 포함)이 400억 위안(약 7조 6000억 원)을 넘어섰다. 이 가운데 중국 국내 시장 흥행 수익은 392억 3000만 위안(약 7조 4000억 원)을 기록했으며, 관객 수는 9억 900만 명을 돌파해 전년 같은 기간을 상회했다. 올해 들어 '나타2: 악동의 바다 소동(哪吒之魔童鬧海)', '난징사진관(南京照相館)' 등 작품이 흥행을 견인하며 해외 시장에서도 성과가 두드러졌다. 중국 영화의 해외 흥행 수익은 7억 7000만 위안(약 1460억 원)을 넘어, 최근 수년간 최고 기록을 새롭게 세웠다.
한중 수교 33주년을 맞아 중국중앙방송총국과 한중연합회가 공동 주최한 ‘한중 산업 협력 시대 4.0: 상생 협력 방안과 생존 전략’ 세미나가 22일 오후 서울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양국 관계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미래 지향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의미를 더했다. 세미나에는 박승찬 한중연합회 회장, 이병철 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 연구원(前 삼성전자 부사장), 신선영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글로벌연수실 실장 등 각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양국이 함께 나아갈 길을 논의했다. 축사에 나선 한창송 중국중앙방송총국 아시아아프리카지역방송센터 한국어방송 담당자는 지난 33년간 양국이 거둔 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지정학적 중요성을 고려할 때 중국과 한국은 떼려야 뗄 수 없는 협력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그는 청정에너지, AI, 바이오, 스마트 기술 등 미래 핵심 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 필요성을 언급하며, 양국 국민의 이해와 우정을 증진하는 데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기조강연에 나선 박승찬 한중연합회 회장은 “미중 전략 경쟁 시대에서 한중 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미국의 대중국 정책 변화, 중국
중국 전통 마을을 찾은 이들이 3억 명을 넘어섰다. 중국 당국과 지방정부의 전통 문화가치 육성 정책이 빛을 본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상반기 올 상반기 전국 전통 마을에는 약 3억 명의 관광객이 다녀갔다. CMG는 “올해 들어 중국 각 지역은 전통 마을의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을 강화하며, 문화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특색 발전을 모색한 결과”라고 소개했다. 중국 주택도농건설부에 따르면 올 1월부터 6월까지 각지 전통 마을은 무형문화유산 전시, 문화·체육 행사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2억 93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을 유치했다. 이들이 소비한 금액만 약 342억 1300만 위안(약 65조 원)에 달한다. 중국 당국에 따르면 현재 중국 전역에서 8155개 마을이 ‘중국 전통 마을 보호 명단’에 포함돼 보호를 받고 있다. 성급 전통 마을로 지정된 곳만 5000개 이상이다. 예컨대 올 여름방학을 맞아 푸젠(福建)성 닝더(寧德)시 핑난(屏南)현의 국가급 전통 마을 룽탄(龍潭)촌은 큰 인기를 끌며 외지 관광객들로 붐볐다. 방문객들은 이곳에서 민둥(閩東) 문화를 직접 체험하며 전통의 매력을 느꼈다. 룽탄촌은 인근 세 개 전
“3600만 위안(약 70억 488만 원)을 들여 지은 터미널이 10년째 쓰이지 않고 있다.” 중국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터미널이다. 런민르바오 보도에 따르면, 흑룡강 수화시 시민들이 동성여객터미널 문제를 제기했다. 해당 터미널은 민생공정으로 발표된 사업 중 하나로, 총투자금이 3600만 위안을 넘었다. 그러나 이 사업은 2015년에 완공된 후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다고 매체는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시민들은 여전히 낡아빠진 옛 터미널에서 장거리 버스를 탔고, 역사는 파손된 채 방치되어 있었다. 낡은 터미널 주변에서 대기 차량들은 도로 가장자리를 점거해 다니기에 몹시 불편했다. 시민들은 관계 부처가 조속히 새 터미널을 가동해 편리한 출행 환경을 조성하고 공공자원이 제대로 쓰이기를 바라고 있었다. 하지만 새 터미널을 벌써 10년째 운영되지 않고 방치된 상태다. 중국 매체들도 이해하지 못하는 행정이다. 도대체 왜? 무슨 이유로 새 터미널을 운영되지 못하는 것일까? 런민르바오는 “2011년 착공해 2015년에 완공했으면서 지금까지 미사용이라면, 십여 년은 이미 터미널을 시대의 흐름 속에서 퇴출시키기에 충분히 긴 세월이었다”고 전했다 매체는 한마디로 “
‘1조3000억 위안’ 한화로 약 257조 1,400억 원 가량이다. 올 1~7월 간 중국에서 온라인 쇼핑을 통해 팔린 농산물 매출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6%이상 크게 늘어난 수치다. IT 발전이 농산물 유통에 새로운 전기가 되고 있다고 중국 매체들이 전했다. 온라인 유통을 통해 중국 농촌이 새로운 소비자들 직접 대면하게 되면서 농산물 판매가 극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의 온라인 농산물 판매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7월 중국 온라인 농산물 매출은 1조3000억 위안으로, 전년동기 대비 6.4% 늘었다. 중국 당국은 농산물 온라인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전자상거래 날개를 달다, 사슬처럼 시골을 연결한다(电商赋能 链动乡村)’라는 주제로 2025년 농촌 전자상거래 고품질 발전 교류 행사를 열기도 했다. 허융첸 상무부 대변인은 기자회견에서 농촌 전자상거래를 발전시키고 상업 모델을 혁신하는 것은 농촌 현대 유통 체계를 건설하는 중요한 조치이자 농민 소득 증대를 이끄는 강력한 수단이라고 소개했다. 중국 상무부는 최근 〈현·향·촌 전자상거래 체계 및 택배 물류 배송 체계의 연결
중국의 국제 항공 물류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만큼 중국의 화물이 빠르게 세계 시장으로 공급된다는 의미다. 2025년 상반기 신규 개설된 국제 항공 화물 노선 수가 145개에 이르면서 전년동기 대비 60% 가까이 급증했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물류구매연합회는 이 같은 내용의 중국 항공 물류 현황 자료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중국에서 신규 개설된 국제 항공 화물 노선 수가 전년 동기 대비 58%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매체들은 "국제 노선의 화물 운송량 비중도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며, 항공 물류가 주요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들어 화물 및 우편물 운송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산업의 성장에 힘입어 항공 물류 수요가 크게 확대됐다. 2025년 상반기 기준 국제 화물·우편 운송량은 203만 7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4% 증가했다. 6월 30일 기준, 중국 전역에서는 총 145개의 신규 화물 항공 노선이 개설됐다. 이 중 국제 노선은 117개로, 전년보다 58.1% 증가했다. 항공 물류 시장의 주체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올해 6월 말
올 1~7월 중국 샤먼시의 서비스업 판매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4.11% 증가했다. 샤먼시는 중국 대표적인 문화 서비스 도시다. 샤먼시의 이 같은 서비스업의 성장세는 중국 산업 구조가 서비스업 위주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중권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사면시 세무당국은 세무 자료를 토대로 한 시 서비스업 발전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7월 동안 샤먼시 서비스업 판매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4.11% 증가했다. 이는 성 전체 평균 수준을 앞선 것이다. 중국 매체들은 “다원화된 신흥 업태가 시장 소비 잠재력을 지속적으로 키워냈다”고 분석했다. 샤먼시의 부가가치세 세금계산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7월 도매·소매업은 전년 대비 1.98%,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업은 15.26%, 금융업은 15.13%, 과학 연구 및 기술 서비스업은 16.59% 증가했다. 샤먼시는 그동안 문화·여행·상업·체육 융합 발전을 강력히 추진해 왔다.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7월 주민 서비스·수리 및 기타 서비스업은 전년 대비 11.4% 증가했고, 소매업 판매액은 15.34% 늘었다. 샤먼시는 중국 국가
중국 베이징시가 그동안 실시했던 부동산 매매 제한 조치에 나섰다. 중국 전역에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후속 조치가 이어질 것이라는 신호탄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상업 부동산 가격 하락에 수요를 늘려 대응하는 것이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7월 중앙정치국 회의 이후, 베이징이 선제적으로 부동산 거래 제약 조치를 완화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조정 대상 가구의 5환 외 주택 구매 제한을 완화하고, 공적금 조합 대책을 강화키로 했다. 즉 부동산 구매자 폭을 넓히고 자금 지원도 하겠다는 것이다. 중국 부동산 업계는 일반적으로, 베이징 신정책 이후 상하이와 선전도 따라가 부동산 정책을 추가로 최적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지연구원 지수연구부 총괄 매니저 조정정은 중국 경제지 화샤시보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시장 하락을 멈추고 안정화시키는 것이 여전히 부동산 정책의 핵심 목표이다. 단기 정책은 도시촌 및 노후 주택 개조, 특별채권 수취 등 이미 발표된 정책 시행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하반기 금리 인하 여지가 있어 이를 종합적으로 활용해 수요를 활성화하고 공급을 최적화하며 기대를 안정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
중국의 주택 공사 착공 및 신규 착공 면적도 계속 감소했다. 중국 부동산 경기의 먹구름이 갈수록 짙어 간다는 있다는 의미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 7월 각급 도시의 상업용 주택 산업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7월 부동산 개발기업의 주택 시공 면적은 63,873.1만㎡로 전년 동기 대비 9.2% 감소했고, 신규 착공 면적은 3,520.6만㎡로 19.4% 줄었다. 준공 면적은 2,503.4만㎡로 16.5% 감소했다. 판매 데이터 하락 폭도 확대되었다. 1-7월 신규 상업용 주택 판매 면적은 5,156.0만㎡로 전년 동기 대비 4.0% 하락했고, 신규 상업용 주택 판매액은 4조 9,566억 위안(약 962조 8,195억 원)으로 6.5% 감소했다. 다만 신규 착공 면적 감소로 인해 7월 말 기준 상업용 주택 재고 면적은 7,648.6만㎡로 6월 말 대비 462만㎡ 감소했다. 자금 도달 측면에서 보면, 17월 부동산 개발기업의 도달 자금은 5조 7,287억 위안(약 1,112조 7,99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했다. 하락 폭이 전 통계기간 대비 1.3%p 확대돼 부동산 침체 우려를 더했다. 중국 부
“‘정신박약’은 면죄부가 아니다.” 중국에서 최근 정신병을 앓고 있는 이가 일가족 3명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해 논란이 되고 있다. 정신병 병력 탓에 법적 처벌을 면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 탓이다. 중국 네티즌들은 “정신박약은 극악무도한 범죄의 면죄부가 돼서는 안된다”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중국 인민법인은 광둥 랴오닝에서 발생한 ‘정신병자 일가족 3명 살해 사건’에 대해 1심 판결로 사형을 선고했다. 피고가 정신병을 앓고 있어 형사책임능력이 제한적이었지만, 이는 사형을 면할 이유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앞서 올 3월 27일 저녁 예더즈는 식칼 두 자루를 들고 같은 마을에 사는 예 씨 일가 3명을 살해했다. 피해자 중 막내는 겨우 1세 11개월에 불과했다. 감정 결과 예더즈는 조현병을 앓고 있었다. 재판부는 본 사건에서 제한적 형사책임능력이 있다고 인정했다. 광둥성 잔장시 중급인민법원은 예더즈에게 고의살인죄를 적용해 사형을 선고하고 정치권리를 종신 박탈했다. 중국 네티즌들은 법원 판단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그동안 중국에서는 최근 수년간 여러 건의 ‘정신병자 살인 사건’이 사회적 주목을 받았다. 청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