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을 가지고 움직여 결과를 내는 것을 '일 한다'고 한다. 간단히 일이란 수식은 '결과= 목적한 움직임 x 시간'이다. 인간의 움직임을 노동이라고 한다. 일의 결과는 노동 투입량에 대한 시간의 곱인 것이다. 사람들의 노동이 한결같다고 한다면 일의 결과 값은 항상 같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투입되는 노동의 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어떤 노동은 1의 결과를 내지만 어떤 노동은 2혹은 3의 결과를 낸다. 개인 간 재능의 차이도 있지만 도구의 차이도 있다. 사실 재능보다 결정적인 게 바로 도구의 차이다. 칼과 총 간의 차이라 할까. 도구는 일의 결과를 바꾸는 가장 중요한 변수다. 일이란 수식은 (사람x도구)가 구해질 때 가장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 도구는 일이라는 방정식의 가장 중요한 변수인 것이다. 동양에서는 일찍이 이 같은 일의 도리를 알았다. 한자 공(工)에 그 이치가 담겨 있다. 일찍이 갑골자부터 등장한 공(工)은 위로 손잡이가 있는 칼이다. 살상(殺傷)의 흉기(凶器)가 아닌 재단(裁斷)의 도구(道具)다. 도구를 든 사람이 바로 공이다. 일의 수식에서 (사람x도구)가 바로 공(工)인 것이다. 한자의 공이 일이다 보니, 그 뜻이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누가 있어 스스로를 낮춰 천해지려 할까. 누가 있어 스스로 더러워지며 남을 깨끗이 하려할까. 누가 있어 많고 적고의 높고 낮고의 차별 없이 공평할 수 있을까. 누구 있어 존재만으로 남에게 생명을 줄까. 물 수(水)의 덕(德)이다. 물 수(水)는 가장 오래된 한자 중 하나다. 강의 물이 흐르는 모습이다. 항상 중심을 잡는 중봉(重峯)의 수류(水流)와 항상 넘치며 물길을 넓히는 지류(支流), 변연(边沿)의 각 두 획으로 이뤄져 있다. 도도히 흐르는 강물의 반짝임을 표현한 듯도 싶다. 내 천(川)이 급속히 흐르는 물이라면 물 수(水)는 멈춘 물이라 할까. 큰 내 강(江)과 바다 해(海) 모든 물을 대표한 자가 바로 물 수(水)다. 항상 물은 높은 곳을 버리고 낮은 곳에 임하며 항상 물은 스스로를 더럽혀 돌과 동물에 묻은 더러움을 닦아 준다. 항상 물은 크고 작은 모든 구덩이를 채워야 비로소 다시 흐른다. 항상 물은 바위를 만나 피해 흐르지만 결국 천년 바위의 모양을 바꾸고 결국 그 바위를 깨뜨린다. 물은 낮은 곳을 채워 강을 이루며 바다를 이룬다. 사해의 모든 물이 결국 바다를 만든다. 바다의 장엄함은 다른 게 아니다. 차별이 없어 한 없이 커진 규모에서 나온
전국시대(BC 770 ~ BC 476) 진나라가 주나라에 다가가 이렇게 말했다. "구정(九鼎)을 내놓으시오." 이때의 주나라는 흔히 동주다. 앞서 BC 1046년 상나라를 멸망시키고 천하를 통일한 주왕실과 구분하기 위한 이름이다. 그랬다. 주나라는 불과 400년 전만해도 천자, 하늘의 아들이 다스리는 나라였다. 천하를 통일한 주 왕실은 이후 봉건제도를 실시해 천하 각지를 제후들에게 나눠 다스리도록 했다. 천하의 제후들은 자신의 영토를 열심히 다스려 막대한 부를 이루고, 병사를 키웠다. 하지만 정작 왕실의 힘이 쇠락했다. BC 771년 견융에 쫓겨 당시 수도였던 호경(鎬京, 현재의 산시성 시안 부근)을 잃고 낙읍(洛邑, 현재의 뤄양)을 새로운 수도로 삼았다. 바로 동주의 시작이었다. 전국시대는 춘추시대에 이어진다. 춘추는 동주의 시작부터 중원의 패주였던 진나라가 3명의 실권자인 한씨, 조씨, 위씨 등에 의해 나눠진 BC 403년부터 진시황이 천하를 통일한 BC 221년까지다. 구정은 중국 하나라의 우왕이 전국 9개 주에서 쇠붙이를 거둬 만들었다는 솥이다. 훗날 주나라까지 전해져 천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물건이 됐다. 진나라가 동주에 가서 그런 구정을 달라고 하니
예(禮)란 많은 한자처럼 단순하기만 한 것을 사람들이 괜히 복잡하게 만든 것이다. 예가 무엇이냐? 질문에 누구도 한 마디로 답을 하지 못하는 데 본래 단순했던 걸 원래 쉽기만 했던 걸 아는 척 하는 이들이 복잡하게 만든 탓이다. 예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 순서다. 순서를 알고 지키는 것이다. 한자 예(禮)의 발전을 알면, 무슨 말인지 안다. 갑골자에서 예(禮)는 본래 풍(豊)이다. 그 풍(豊)에 제사를 의미하는 시(示)가 붙어서 예(禮)가 됐다. 오늘까지도 풍(豊)에는 예의 발음이 남아 있다. 풍(豊)은 그릇에 담긴 곡식과 과일이다. 예가 그릇에 담긴 곡식과 과일인 셈이다. 감사의 제(祭)를 지내는 마음으로 내놓은 음식 한 상이 바로 예(禮)인 것이다. 그 음식과 음식을 내놓으려 마련된 자리에 손님이 들어서는 순간부터 손님이 음식을 들고 자리를 나서는 순간까지의 모든 일의 순서가 바로 예(禮)다. 예란 결국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순서인 것이다. 대접, 접대의 어려움은 해본 사람만이 안다. 접대는 본래 받기보다 하기가 더 힘든 법이다. 과(寡)하면 상대방이 불쾌하고 과(過)하면 내가 손해다. 순서를 정하고 그에 맞춰 하면 가장 적당한 접대가 된다. 손님은 손
闲云单影日悠悠, 物换星移几度秋 xián yún dān yǐng rì yōu yōu , wù huàn xīng yí jǐ dù qiū 阁中帝子今何在,槛外长江空自流 gé zhōng dì zǐ jīn hé zài ,kǎn wài zhǎng jiāng kōng zì liú 한 조각 구름 그림자 수면에 비추고 해는 한가롭기만한데, 만물이 순환하고 별들도 자리를 옮기니 몇 해가 지났던가? 누각에서 놀던 황제의 아들(등왕)은 지금 어디로 가고, 난간 너머 장강만 홀로 덧없이 흐르네 당나라 시인 왕발(王勃, 647~675)의 등왕각서(藤王阁序;秋日登洪府滕王阁饯别序) 후반부다. 등왕각은 중국 장시(江西)성 난창(南昌)시에 있는 누각이다. 당나라 고조 이연의 아들인 등왕(藤王) 이원영이 653년 세웠다. 시는 676년 중양절(음력 9월 9일)에 왕발이 등왕각에서 열린 연회에 참석해 지었다고 전해진다. 왕발은 몇 개의 시어로 무심한 하늘의 도(道)와 무상한 인간사를 짚었다. 시의 다른 부분도 명문이지만, 삶의 도리를 담은 담담한 이 구절이 가슴에 와닿는다. 특히 日悠悠와 几度秋는 정말 기막힌 대구(對句)다. 두 말만 보면 “해는 한가롭기만한데 몇 해나 그랬소?” 라는 뜻이다.
어린이의 싸움은 코피가 승부의 관건이다. 먼저 코피를 흘리게 하면 승패가 갈린다. 어린이의 주먹질이다. 어른의 싸움은 다르다. 오늘 날 직장에서 그 옛날 전쟁에서 승패는 코피로만 전장 위 장병들의 피로만 갈리지 않았다. 철저한 실리였다. 승패의 패(敗)가 그 의미를 잘 보여준다. 패는 간단히 돈을 잃는 것이다. 철저한 실리였던 것이다. 갑골문의 패(敗)는 조개를 도구로 때려 부수는 모양이다. 조개는 때론 정(鼎)의 모습을 띄기도 한다. 혹자는 조개 패(貝)를 태양의 흑점이 나타나는 때라 해석하기도 한다. 분명한 것은 조개 패(貝)가 상징하는 게 아주 귀중한 것이라는 점이다. 조개는 과거 돈이었다. 정(鼎)은 왕권을 상징하는 그릇이었다. 모두가 귀중한 것들이다. 그 귀중한 것이 깨지는 게 지는 것이다. 역으로 눈앞에 굴욕이 있어도 속으로 실리를 잃지 않으면 지지 않는 것이다. 지지 않는 것! 사실 동양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다. 전쟁의 경전인 ‘손자병법’은 승(勝)을 논하지 않는다. 패(敗)를 논하는 책이다. 정확히 패하지 않는 법을 논하는 책이다. 먼저 싸움을 피하라 조언한다. 무적(無敵), 적(敵)이 없는 것은 적을 무찔러 얻기도 하지만 적을 피해서 얻기
커피가 지나치게 카페인이 많아서 맛이 강할 때 중국어로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强壮'的咖啡 'Qiángzhuàng'de kāfēi 건장한 커피 马丽丽,你看起来很累。 Mǎ Lìlì ,nǐ kàn qǐ lái hěn lèi. 마릴린, 많이 피곤해 보여요. 是的老师,我昨天晚上没有睡好。 Shì de lǎoshī ,wǒ zuótiān wǎnshàng méiyǒu shuì hǎo. 네 선생님, 어제 저녁에 잘 못 잤어요. 怎么了? Zěnme le ? 왜요? 我昨晚喝咖啡,那个咖啡太强壮了! Wǒ zuówǎn hē kāfēi ,nà gè kāfēi tài qiángzhuàng le! 어제 저녁에 마신 커피가 너무 건장했어요! *영미권에서는 ‘강한’도 ‘건장한’도 모두 ‘strong’이지만, 중국에서는 ‘강한’은 ‘强’이고 ‘건장한’은 ‘强壮’이다. ‘强’은 커피 등 음식 성분이 강할 때도 쓰이고 사람이나 생물, 기계 등이 강할 때도 쓰인다. 맞는 문구: 我昨晚喝咖啡,那个咖啡太强了! Wǒ zuówǎn hē kāfēi ,nà gè kāfēi tài qiáng le! 作者:刘志刚 画家:宋海东
계략은 궁극의 도다. 어려움에 처해야 나온다. 중국에서 계략이 가장 많이 난무했던 게 바로 춘추전국시대다. 온갖 사상과 계략이 난무했다. 그 속에 삶을 향한, 성공을 향한 절실함이 묻어 있다. 인간의 모든 욕망이 탁자에 올리어져 하나의 계략으로 완성됐다. 전국시대 주나라가 서주와 동주로 나뉘었다. 둘은 서로 정통을 주장하며 갈등을 빚었다. 한번은 동주가 벼농사를 지으려 하자 상류 쪽의 서주가 물길을 끊어 버렸다. 동주는 걱정스러웠다. 당시 동주에 있던 책략가인 소자가 동주 황제에게 말했다. “제가 가서 물을 내려보내 주도록 청하겠습니다. 설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만 해 드리면 됩니까?” 동주 황제를 그렇게만 해주면 큰 상을 주겠다고 했다. 소자는 바로 서주에 갔다. 그리고 서주 황제에게 말했다. “폐하, 모책이 잘못되었군요! 물을 끊은 것은 동주를 벌하시고 싶은 것이겠지만 현실은 전혀 다릅니다. 오히려 물을 끊어 버렸기 때문에 동주는 부유해지고 있습니다. 지금 동주 사람들은 모두 보리만 심고 다른 작물은 아예 심지도 않습니다.” 보리는 논농사와 달리 물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소자는 서주 황제에게 동주 백성들이 물길이 끊기자 벼농사를 포기하고
조개를 줍는 게 얻는 것인데, 그게 바로 지는 것의 시작이요, 부채(負債)의 시작이다. 묘한 게 한자다. 그럼 이기는 건 무엇일까. 그것은 버리는 것이다. 떠나는 것이다. 최소한 떠날 수 있는 것이다. 그것도 아주 멀리 강을 건너 바다를 건너 떠날 수 있는 것이다. 이길 승(勝)이 그렇다. 한자에서 이긴다는 건 떠나는 것이다. 배를 운전해 떠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이다. 고기 육(肉) 옆에 돋아날 생(生)을 쓰기도 하는데 이길 승(勝)을 돼지 용종(茸腫), 혹이나 사마귀에 비견해 더 하찮게 보는 것이다. 무적(無敵)은 이겨서 되는 게 아니다. 이길수록 적은 더 생긴다. 눈에 보이는 적보다 눈에 보이지 않는 적이 많아질 때 위험은 더욱 커진다. 싸우면 무찔러 이겨야 하지만 그것은 지는 것의 시작일 뿐이다. 싸워 이길수록 내 기력도 쇠하고 언젠가 적 같지도 않았던 적에게 지고 만다. 그래 진정한 승자는 싸우지 않고 이기는 자다. 적을 피해 적이 스스로 망하도록 하는 자다. 그게 이길 승(勝)의 도리다. 그 배를 여럿이 저어가는 게 동(同)이다. 구령에 맞춰 배를 저어가는 모습이다. 구령에 여러 손이 노를 저어간다. 그리고 언제든 그 배마저 떠날 수 있을 때
갖는다는 건 행복 불행 성공 실패 이 모든 것의 시작이다. 가졌기에 행복하고 가졌기에, 아니 더 가져야 하기에 불행한 것이다. 가졌기에 써야하고 가졌기에 지켜야하며, 지켜야 하기에 마음이 쓰이고 마음을 쓰기에 항상 마음이 무거운 것이다. 마치 행운(幸運)의 행(幸)이 나를 속박하는 수갑에서 유래해 행복한 순간 불행이 시작됨을 경고하듯 부담의 부(負)도 갖는다는 것에서 시작하는 밝고 어두운 양면의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 복잡한 탓인지 한자 부(負)는 금문에서 나온다. 금문은 춘추시대 청동기 시대의 문자다. 사람이 조개를 줍는 모습이다. 조개는 일찌감치 석기시대 인류가 발견한 금과 같은 자산, 기축통화였다. 그리고 뜻은 ‘생활력이 생기다’, ‘의존하다’는 뜻에서 ‘힘입다’, ‘떠맞다’는 뜻을 넘어 심지어 ‘저버리다’, ‘패하다’는 뜻까지 갖게 됐다. 사실 부는 자형만 보면 단순히 ‘갖는다’, ‘갖으려 한다’는 뜻이다. 위의 모든 뜻은 바로 ‘갖는다’는 데서 시작하는 것이다. 가졌기에 책임(責任)이 생기고 부담(負擔)이 생긴다. 그래서 짐도 되고, 근심도 된다. 하지만 그래서 갖지 않을 것인가? 그래서 시작조차 하지 않을 것인가? 두려워 말라. 그칠 줄 알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