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유럽연합의 중국 신에너지 기술 관련 기업에 대한 견제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10일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유럽연합의 보호무역주의가 고조되는 경향을 우려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중국은 유럽연합이 중국 기업, 심지어 산업계에 대해 취하는 차별적 조치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럽연합은 최근 풍력발전기부터 전기차까지 유럽에 진출한 중국의 신에너지 기술 관련 기업에 대한 견제를 강화하고 나섰다.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 유럽연합 경쟁담당 수석 부집행위원장은 9일(현지시간) "스페인, 그리스, 프랑스, 루마니아, 불가리아 풍력발전단지의 중국 풍력터빈 공급업체에 대해 EU 역외보조금 규정(FSR) 관련 새로운 조사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FSR은 제3국에서 과도한 보조금을 받아 제품 단가를 낮춘 외국 기업이 유럽연합내에서 기업결합이나 공공입찰에 참여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법이다. 조사를 벌여 공정경쟁을 해치는 수준의 보조금을 받았다고 판단되면 유럽연합내 기업결합 및 공공입찰 참여를 불허할 수도 있다. AFP 등 외신에 따르면 베스타게르 수석 부집행위원장의 이번 발표는 중국 풍력발전 업체들이 중국 정부
미중이 대화를 지속하고 있지만 좀처럼 갈등의 골을 좁히지는 못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최근 열린 통상무역 차관급 실무그룹(워킹그룹) 첫 회의에서 주요 현안에 대한 이견을 재확인했다. 5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일보에 따르면 왕서우원(王受文)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협상위원 겸 상무부 부부장(차관)은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미국을 방문해 마리사 라르고 미국 상무부 차관과 공동으로 미중 통상무역 제1차 차관회의를 주재했다. 왕 부부장은 “지난해 11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중미 정상 회담에서 양국 경제무역관계 발전 방향이 제시됐다”며 "두 정상은 최근 전화 통화를 통해 양국 실무팀에 비즈니스 및 기타 분야의 협의 메커니즘을 활성화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또 이번 회의에서 "미국의 중국에 대한 301조 추가 관세 및 관련 301조 조사 신청, 국가 안보를 이유로 한 중국 기업에 대한 제재, 무역 구제 조사 규칙 개정, 양방향 투자 제한 등 부당한 대우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라르고 차관은 "미국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국의 과잉 생산 문제를 비롯해 미국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을 제한하는 규제, 미국 국경을 초
'보아오 아시아포럼2024 연례회의'가 29일 나흘간의 일정을 마치고 폐막했다. 중국 하이난성 보아오에서 '아시아와 세계: 공동의 도전, 공동의 책임(亚洲与世界:共同的挑战,共同的责任)'을 주제로 열린 올해 포럼에는 세계 60여 개 국가 및 지역에서 2000여 명이 참가했다. 29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이번 포럼에선 글로벌 경제, 과학·기술 혁신, 사회 발전, 국제 협력 등 4개 주제로 40여 개의 하위 분과 포럼과 100여 개의 발표가 진행됐다. 특히 인구 고령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과 고령친화 사회 구축 등 많은 국가가 직면한 공통 과제에 대한 서브 포럼이 마련돼 주목받았다. 보아오 포럼 사무국은 모든 참가 당사자가 심층적인 교류를 진행하고 광범위한 협력을 수행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플랫폼이 제공됐다고 평가했다. 보아오포럼은 공식적으로는 비정부 기구 행사지만 실질적으로는 중국 당국이 국제 여론을 형성하는 기회로 활용돼 왔다. 지난해까지 중국 권력 서열 1~2위인 국가주석과 총리가 번갈아가며 호스트 자격으로 기조연설을 해왔으나 올해는 처음으로 서열 3위인 자오러지(趙樂際)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이 연설자로 나서 격이 낮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국 부동산 침체가 지방 재정을 짓누르고 있다.' 많은 서방 경제 분석가들이 지적하는 문제다. 중국 지방정부는 재정 관리가 부실해 그림자 금융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는 게 일반적인 평이다. 이에 중국 정부가 적극 대응하고 나서 주목된다. 중국 국무원이 '지방정부 채무 위험 예방 및 해결에 관한 화상회의'를 22일 개최했다. 국무원은 "현재 지방정부 부채와 관련한 시스템적 위험은 없다는 결론을 유지하는 한편 새로운 부채감축사업 전개 등 부채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단계적인 작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리창 국무원 총리 겸 정치국 상무위원은 이번 회의에서 "책임과 시스템 개념에 대한 인식을 더욱 강화해 지방정부 부채 위험을 지속적으로 줄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 5일 전국인민대표대회 개막식 연례 정부 업무보고에서 "올해부터 몇 년간에 걸쳐 초장기 특별 국채 발행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올해 목표 발행량은 1조 위안(약 185조 원)이며 발행 목적은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투입과 핵심 전략 사업에 대한 지원이다. 중국 정부의 특별채권 발행은 역대 4번째로 초장기 국채는 보통 만기 30년 이상을 뜻한다.중국 경제 전문가들은 중국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구성된 협의체인 브릭스(BRICS)는 올해 초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이란, 이집트, 에티오피아 등 5개국의 신규 가입 승인을 마쳐 몸집을 키웠다. 20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해 10~12월 갤럽 인터내셔널은 세계 44개국 성인 4만 4931명에게 브릭스 확대에 관해 어떻게 보는지 물었다. 그 결과 '긍정적'이라는 답변이 19%, '부정적'이란 반응은 17%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참여자 셋 중 두 명은 브릭스 확대에 관해 들어본 적이 없거나(32%) 의견을 유보해(어느 쪽도 아니다 24%, 모름/응답거절 8%) 전반적 주목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러시아, 이슬람 국가는 매우 긍정적인 반면 서방 국가는 대체로 부정적 브릭스 확대를 가장 긍정적으로 보는 나라는 러시아(38%), 이란(37%), 인도·나이지리아(36%) 순이며, 사우디아라비아(33%), 아르헨티나·말레이시아(32%), 아프가니스탄·인도네시아(31%) 등에서도 긍정론이 30%를 넘었다. 이들 나라 중 러시아와 인도는 기존 브릭스 회원국,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신규 가입국이며 아르헨티나는 발효 전 가입 철회한 곳이다.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가 11일 폐막했다. 중국 관영 통신 신화사에 따르면 이날 오후 서열 3위 자오러지(趙樂際) 전인대 상무위원장 주재로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 2차 회의 폐막식에선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GDP) 목표치를 5% 안팎으로 설정한 정부 업무보고(공작보고) 결의안, 국방예산 7.2% 증액안이 담긴 재정부의 예산보고서,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의 보고서 등이 표결로 통과됐다. 또 권력 2인자인 총리의 권한을 축소하는 내용의 국무원조직법 개정안도 표결로 채택됐다. 자오 상임위원장은 양회 폐막을 선언하면서 "올해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75주년이 되는 해이며 '14차 5개년 계획'의 목표와 임무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해"라며 "시 주석을 핵심으로 하나로 뭉쳐 중국식 현대화와 강국 건설을 전면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노력하자"고 역설했다. 이날 폐막식 중앙 연단에는 시진핑 국가주석과 리창 총리, 왕후닝 정협 주석, 차이치(당 중앙서기처 서기), 딩쉐샹(국무원 상무부총리), 리시(중앙기율검사위 서기) 등 당정 지도부가 모두 자리했다. 로이터통
윈 마카오(Wynn Macau)와 윈 팰리스(Wynn Palace) 호텔이 프리미엄급 중국 와인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윈 시그니처 중국 와인 어워드(Wynn Signature Chinese Wine Awards)'를 주관할 27명의 국제 심사위원단을 11일 공개했다. 마카오정부관광청(Macao Government Tourism Office)의 지원을 받아 열리는 이번 행사는 세계 최대 중국 프리미엄급 와인 경연대회다. 7명의 와인 마스터를 비롯해 와인 소믈리에, 와인 양조 전문가, 와인 바이어 등으로 이루어진 27명의 심사위원단은 본선 콘테스트가 열리는 4월 13일 중국의 와이너리 약 200곳에서 출품한 750여 종의 프리머엄급 와인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게 된다. 린다 첸(Linda Chen) 윈 마카오 사장은 심사위원단 공개에 맞춰 "윈(Wynn)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와인 전문가들을 심사위원으로 맞이할 수 있게 되어 영광"이라며 "윈 팰리스에서 열릴 시상식은 프리미엄 중국 와인을 세계 무대에 선보이고 중국 와인 산업의 우수성을 기념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행사는 중국 와인 제조사들이 고급 와인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할 수 있도록 전략
중국 양회(两会)의 ‘30년 관례’가 깨졌다. 8일 중국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이번 양회에서 총리 기자회견을 취소하고 향후에도 개최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양회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CPPCC) 전국위원회와 전국인민대표대회(NPC)를 말한다. 총리 기자회견은 양회의 마지막날 개최돼 첫날 진행되는 공작보고서 낭독과 함께 양회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지난 30년 간의 관례였다. 중국 양회의 총리 기자회견은 지난 1991년 당시 리펑 총리가 처음으로 개최한 이래 1993년부터 중국 양회의 관례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이번 양회에서는 공작보고서만 있고, 총리 기자회견은 없어지는 게 새로운 관례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신임 대변인 루친젠(葉金建)은 “올 제14차 전인대 제2차 회의가 끝난 후 총리 기자회견은 없을 것”이라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현 전인대는 앞으로 몇 년 동안 총리 기자회견을 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전문가들은 향후 양회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중심인 양회가 될 것이라고 평했다. 총리의 권한이 더욱 축소됐다는 분석이다. 현 리창 총리는 2023년 3월 13일 총리가 된 뒤 처음 개최된 양회에서 기자회
2024년 미중 갈등은 더욱 극에 달할 전망이다. 중국이 ‘고품격 생산력’ 개발을 국정 지표로 꼽은 때문이다. 첨단기술 개발에 더 힘쓰겠다는 것인데, 미국이 극도로 경계하는 영역이다. 미국 입장에서는 중국의 패권 도전으로 보이는 것이다. 결국 미중 갈등은 결국 ‘투키디데스의 함정’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2차 회의 개막식에서 업무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날 국무원 신문판공실에 따르면 리 총리는 “중국은 산업 시스템을 현대화하고 새로운 ‘고품질 생산력’을 더욱 빠르게 개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올해 생태문명 건설을 강화하고 녹색·저탄소 발전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리 총리가 언급한 ‘고품질 생산력’은 기존의 경제 성장 모델을 넘어서는 혁신을 의미한다. 첨단기술, 고효율, 고품질을 특징으로 하며 중국의 새로운 발전 철학과 일맥상통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고품질 생산력을 개발하기 위해 보고서에는 여러 과제가 나열됐다. 수소 발전, 신소재, 바이오 제조, 상업용 우주 비행, 양자 기술, 생명 과학 등 미래 지향적인 신흥 산업을 육성하는 동시에 산업 및 공
중국산 커넥티트 차량에 대한 미국과 중국의 충돌 양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커넥티드 차량은 자동차가 사물인터넷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개인 컴퓨터로 연결되는 것을 말한다. 커넥티드, 즉 인터넷 통신으로 연결돼 자동차 이동 등과 관련한 정보를 축적하고, 이용자의 개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하지만 바로 이 점에서 미국이 중국산 커넥티드 차량에 대해 안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것이다. 미국은 중국이 다른 IT기기를 활용해서 미국내 빅데이터를 적극 수집하는 방식으로 국가 안보에 민감한 주요 정보에 접근하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4일 중국 상무부는 홈페이지에 "미국이 국가 안보를 핑계로 중국 자동차의 정상적인 수출을 방해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최근 몇 년 동안 미국이 중국산 자동차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차별적인 보조금 정책을 도입하더니 이제는 국가 안보라는 기치 아래 비관세 장벽을 세우려 한다"며 "이는 전형적인 보호주의적 접근 방식으로 글로벌 자동차 산업과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리고 왜곡해 미국 소비자의 이익에도 해를 끼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마오닝(毛寧)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