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신중국) 건국 이후 첫 3연임 국가주석이 됐다. 마오쩌둥(毛澤東, 1893∼1976) 이후 중국 공산당 역사상 처음으로 '1인 장기 집권 체제'를 완성했다. 시 주석의 충신 리창은 중국 서열 2위인 국무원 총리가 됐다. 서구 언론매체들은 "이제 중국은 시진핑 1인 천하"라고 평했다. 1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14기 1차 회의 제3차 전체회의에서 이뤄진 국가주석 선거(단일후보)에서 유효표 2952표 만장일치 찬성으로 선출됐다. 이어진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선거에서도 역시 만장일치로 선출됐다. 시 주석은 지난해 10월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에서 중국 권력의 정점인 당 총서기와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 선출되며 집권 3기를 시작했다. 이번에 임기 5년의 국가주석에 3회 연속 선출됨으로써 당, 국가, 군에 걸친 명실상부한 최고지도자 재임기간을 총 15년으로 연장했다. 시 주석은 2012년 제18차 당 대회에서 최고 지도자 자리(당 총서기 및 당 중앙군사위 주석)에 오른 후 이듬해 전인대에서 처음 국가주석으로 선출됐고, 2018년 재선에 성공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공을 들여왔다. 그 결과 한 세대 만에 세계 2위의 자동차 수출국, 세계 최대 전기차 생산국으로 우뚝 섰다. 중국인의 소득 수준 향상에 힘입어 자동차 시장 또한 2009년부터 세계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중국의 자동차 생산량은 2017년 2902만 대로 정점을 찍고 코로나19 팬데믹 첫 해인 2020년 2523만 대까지 하락했다가 다시 증가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생산량은 2694만 대로 그 가운데 11%인 311만 대가 수출됐다. 이는 중국의 자동차 수출이 처음으로 200만 대를 돌파한 2021년 대비 54.4% 증가한 수치다. 중국의 자동차 생산은 상하이자동차(SAIC, 上汽), 제일자동차(FAW, 一汽), 둥펑(东风) 등 국영 기업들이 오랫동안 주도했지만 최근 비야디(比亞迪, BYD), 지리(吉利, Geely) 등 신에너지차 중심의 민간 기업들이 생산력을 급속도로 확대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수출된 중국산 자동차 가운데 신에너지차의 수출 비중은 전체의 21.8%에 달했다. 자동차 판매량 역시 2017년 2888만 대로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이후 2020년 2531만 대까지 하락했다가
한중 노선 정상화에 따라 국내 항공사들이 본격적으로 중국 노선 운항 확대에 나섰다. 한국과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한중 노선 운항을 확대하기로 합의하면서 항공사들의 증편과 운항 재개에도 속도가 붙었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달부터 중국 노선 운항을 순차적으로 확대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50% 수준까지 회복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은 기존 9개(주 10회)인 중국 노선을 17개 노선 주 89회까지 확대한다. 앞서 지난 6일에는 인천-선전 노선 등을 증편하고, 코로나 사태로 3년간 운항을 중단했던 광저우, 칭다오, 시안, 톈진 노선 운항을 재개했다. 하계 일정이 적용되는 이달 26일부터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주요 노선 운항편을 대거 늘린다. 김포-상하이는 주 7회로 운항 재개하고, 인천~옌지·선전·톈진·하얼빈·항저우·청두·시안 노선 운항도 확대한다. 다음 달 17일부터는 인천-다롄을 주 4회, 김포-베이징을 주 7회, 인천-창사를 주 4회 운항한다. 대한항공과 저비용항공사(LCC)도 하계 일정에 맞춰 중국 노선 운항을 대폭 늘릴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이달 중국 노선 운항을 기존 주 9회에서 주 26회로 확대한다고 지난
지난 4일 개막한 중국의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와 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에서 시진핑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부 인사들이 강조했던 내용을 키워드를 통해 알아본다. 첫 번째 키워드 - 고품질 발전 지난 5일 장쑤(江蘇)성 대표단 회의에 참석한 시진핑 주석은 "고품질 발전을 중대 과업으로 삼아 높은 수준의 과학기술 자립자강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과학기술 혁신에 있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새로운 동력과 우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중국 과학자들의 독창적이고 선두적인 연구를 지지하며, 연구 성과의 산업화 전환 수준을 향상하고, 글로벌 영향력을 갖춘 산업과학기술혁신센터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고품질 발전을 내수 확대 전략, 공급 구조개혁 등과 결합하기도 했다. 또 농업 역시 고품질 발전의 대상으로 언급했다. 농업 서플라이 체인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농촌의 새로운 산업과 새로운 산업 형태를 육성하고 농민 소득을 늘려 부유해지는 길을 꾸준히 넓혀나가야 한다고 부연했다. 시 주석은 질적 발전을 촉진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인민의 행복과 건강이라고 강조했다. 기층
공항과 항만에서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시행하던 입국전 검사를 통한 코로나19 음성 확인서 제출 의무 조치가 오는 11일부터 전면 해제된다.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8일 회의에서 중국, 홍콩, 마카오발 입국자에 대해 남아있던 조치를 모두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중대본은 "중국 내 코로나19 상황이 춘절 연휴 이후에도 1개월 이상 안정세를 지속하고, 국내외 중국에 대한 유전체 분석 결과 우려할 만한 신규 변이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판단에 따른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중국 주간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2월 4주 447만5000명에서 2월 4주 7만7000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후 검사는 지난 1일 해제됐는데, 직전 사흘간(지난달 26~28일) 입국자 양성률은 0.7%로 낮았다. 정부는 지난 1월 2일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 전후 코로나 검사를 의무화하고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했다가 중국 내 코로나 상황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것을 확인한 후 방역 조치를 단계별로 완화했다. 중국도 앞서 보복 조치로 시행했던 한국인의 중국행 단기 비자 발급 중단을 해제했다. 양국의 비자 발급 제한 조치 해
최근 중국 북방지역의 낮 최고기온이 25도를 넘으면서 지난해의 역대급 폭염과 가뭄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글로벌 기후변화가 극과 극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7일 중국 중앙기상대에 따르면 전날 정저우, 우한, 창사 등의 낮 기온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25도를 넘었다. 이는 평년 같은 때와 비교해 12도나 높은 수치다. 특히 북방에 속하는 정저우는 28도까지 올랐고, 베이징도 23도를 기록해 3월 초순 날씨로는 2008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앙기상대는 오는 9∼10일 정저우의 최고기온이 30도에 달해 여름 날씨를 보이는 등 일부 북방 지역은 3월 상순 기온으로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보했다. 예년보다 이른 고온의 날씨와 함께 일부 지역이 가뭄에 시달리는 등 작년에 겪었던 기후 재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남서부 지역인 구이저우 일대는 지난해 연말부터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 강과 저수지들이 바닥을 드러내 제한 급수가 이뤄지고 있다. 작년 중국은 창장(長江, 양쯔강) 유역을 중심으로 60여 년 만에 최악의 폭염과 가뭄이 이어져 식수난과 막대한 농작물 피해를 봤다. 중국 수력발전 기지인 쓰촨성의 전력 생산이 절반으로 줄
지난해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 수가 11억 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가 최근 발표한 '제51차 중국 인터넷 발전 현황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중국 네티즌 수는 전년 대비 3549만 명 증가한 10억 6700만 명을 기록했다. 전체 인터넷 보급률은 75.6%에 달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5G+산업 인터넷 발전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온라인 의료와 농촌의 디지털화 방면에서도 큰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의 온라인 의료 사용자 규모는 전체 네티즌의 34%를 차지하는 3억 63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21.7% 증가했다. 리샤오둥(李曉東) 중국인터넷협회 부이사장 겸 푸시(伏羲)싱크탱크 창립자는 "지난해 중국 산업의 디지털화 발전이 가속화됐고, 인터넷 관련 기술과 응용 혁신이 공업∙교통∙의료∙교육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와 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가 4일 공식 일정에 들어갔다. 올해 양회는 이른바 '스파이 정찰 풍선' 문제와 러시아 무기 제공 의혹 등으로 미국과의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시진핑 3기 공식 출범이라는 상징성이 있다. 4일 오후 3시(현지시간) 양회의 시작을 알리는 정책 자문회의인 정협 전국위원회 회의(14기 1차)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막을 올렸다. 정협 개막식에는 시진핑 국가주석 등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들과 정협 주석단 및 2100여 명이 참석해 정부 업무보고, 국가계획 및 예산 보고, 최고인민법원과 최고인민검찰원 업무보고 등을 청취했다. 중국의 국회격인 전인대는 5일 오전 개막식을 시작으로 13일까지 계속된다. 리커창 총리가 개막식에서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중국의 경제성장 목표를 비롯해 올 한해의 주요 정책 목표를 발표한다. 또 2900여 명의 전인대 대표들은 회의 기간 제20기 중앙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2중전회)가 마련한 정부 고위직 인사 문제와 각종 법안을 추인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전인대에서는 시진핑 집권 3기 체제의 국정 운영을 법적·제도적으로 뒷받침할 각종
중국국가는 짧다. 1절이 전부다. 내용도 명료하다. 起来! 不愿做奴隶的人们! 把我们的血肉,筑成我们新的长城! 中华民族到了最危险的时候, 每个人被迫着发出最后的吼声。 起来! 起来! 起来! 我们万众一心,冒着敌人的炮火前进! 冒着敌人的炮火前进! 前进! 前进! 前进!进! 일어나라 ! (깨어나라!) 노예가 되고 싶지 않은 이들이여 ! 우리의 피와 살로 새로운 만리장성을 만들자 ! 중화민족이 가장 위태로운 이 때에 억압받는 모든 이들의 최후의 함성이 터져나오리! 일어나라! 일어나라! 일어나라! 우리 모두 한마음으로, 적의 포화에 맞서 전진하자! 적의 포화에 맞서 전진하자! 전진 ! 전진 ! 전진 ! 나아가자 ! 중국 국가의 별칭은 '의용군진행곡(义勇军进行曲)'이다. 1935년에 상하이에서 개봉된 영화 '풍운아녀(风云儿女)'의 주제곡, 즉 OST이다. 가사는 한 눈에 봐도 전투적이고 비장하다. 곡은 힘차고 울림이 장엄하다. 이런 내용과 느낌의 주제곡이 삽입된 영화라면 스토리가 어떠할지 감이 잡힌다. 영화가 개봉됐던 당시 시대 상황을 살펴보면 영화와 주제곡의 메시지가 더 명료해진다. 당시 상하이는 이미 영국, 미국, 프랑스 등 서구 열강들의 행정권과 치외법권이 보장된 조계지가 광
1966년 4월 16일 중국 공산당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를 항저우(杭州)에서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마오쩌둥(毛泽东)은 “우한(吴晗)의 문제는 그가 혼자가 아니라는 점에서 심각하다"라는 발언을 통해 문화대혁명의 불씨에 기름을 붓는다. 이 회의를 통해 문화대혁명은 중앙 무대에서 공식화됐고, 중국 전역으로 활활 타 들어갔다. 들불처럼 문화대혁명이 번졌지만, 아직 그 마화(魔火)가 누구를 향하고 있는지 저우언라이(周恩来) 등 중난하이(中南海)의 지도자들을 알지 못했다. 1966년 4월 9일부터 12일까지 3차례 연이은 서기처 회의를 통해 이미 마오쩌둥의 '해서파관(海瑞罷官)' 비판에 대한 의도가 명확해졌다. 우한의 비판에 대한 비판이 문제라는 것이다. 말 그대로 우한의 비판은 진정한 적을 불러내기 위한 유인책이었던 것이다. 이어 마오쩌둥은 1966년 4월 16일 항저우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를 연다. 이제 메신저 보이, 캉성(康生)이 아닌 마오가 직접 나선 것이다. 중국의 주인 마오쩌둥이 문화대혁명의 선봉이 되는 순간이었다. 이 회의에는 저우언라이를 비롯한 류샤오치(刘少奇), 덩샤오핑(邓小平), 예젠잉(叶剑英) 등이 참석했다. "나는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