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은행이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10개월 만에 전격 인하했다. 중국 정부가 3년만에 리오프닝(일상 재개)을 했지만 경제 회복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유동성 공급을 통해 경기를 부양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각국이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것과 반대 행보를 밟은 것이다. 현재 아시아에서 일본 역시 금리인상에 나서지 않고 양적 완화 조치를 이어가는 중이다. 중국과 일본 모두 인플레이션보다는 적극적인 경기 방어를 우선하겠다는 당국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금리 인상'과 '양적 완화' 중 과연 누구의 선택이 옳았는지 해답은 연말쯤이면 가시권에 들어올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미국의 뒤를 쫓아 금리 인상에 나섰지만, 미국보다 덜 적극적인 태도를 취해 미국과 금리 차가 벌어진 상태다. 한국의 어정쩡한 태도에 대한 결과도 연말쯤이면 보다 분명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20일 인민은행은 홈페이지를 통해 LPR 1년 만기는 연 3.55%, 5년 만기는 연 4.20%로 각각 0.1%포인트씩 인하했다고 발표했다. 기존 LPR 1년 만기는 연 3.65%, 5년 만기는 연 4.30%로 지난해
장칭은 마오쩌둥과 미국인 기자 안나 루이스 스트롱(1885~1970)의 접견을 기회로 공식 석상에 등장한다. 바로 장칭에게 당 중앙이 가했던 20년 속박이 2년 먼저 깨진 것이다. 이제 약법삼장은 유명무실해졌다. 중국 최고 권력자 마오쩌둥의 신변 비서로 장칭은 자연스럽게 이후의 기회를 노렸다. 그리고 그 기회는 1961년 찾아왔다. 하지만 그때 장칭은 물론 그 누구도 그 기회가 중국 전역을 피바람 속에 몰아넣는 문화대혁명으로 이어지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장칭의 모습은 그가 직접 쓴 시에서 표현했듯 '구름 속에 갇힌 산봉우리'였다. 江上有奇峰, 锁在云雾中 jiāng shàng yǒu qí fēng , suǒ zài yún wù zhōng 寻常看不见, 偶尔露峥嵘 xún cháng kàn bú jiàn , ǒu ěr lù zhēng róng 저 강물 위 기암괴석의 봉우리 구름 속에 갇혀 있네. 평소 잘 보이지 않지만, 가끔 그 위엄을 드러낸다네. 여기서 강(江)은 장칭(江青)의 강을 의미한다고 봤다. 봉우리는 스스로의 존엄이다. 장은 스스로 높은 존엄을 갖췄지만, 구름에 갇혀 제대로 드러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구름은 약법삼장의 제약을 가한 당
중국 당국이 위안화의 국제화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19일 홍콩 증시에서 위안화 주식 거래가 시작됐다. 관영 중국 중앙(CC)TV에 따르면 이날 홍콩증권거래소(HKEX)가 홍콩달러-위안화 이중통화 거래 카운터 운영을 시작하면서 텐센트, 알리바바, 메이퇀, 중국해양석유 등 24개 종목이 홍콩달러뿐만 아니라 위안화로도 거래할 수 있게 됐다. 이들 24개 종목의 시가총액 합계는 19일 기준 약 12조 홍콩달러로 홍콩증시 전체 시총의 35%를 차지한다. 이중통화 거래 카운터가 운영되면서 홍콩 증시 상장 주식을 매매하기 위해 거래 시스템에서 위안화를 홍콩달러로 환전하는 절차가 사라졌다. 홍콩증권거래소는 지난해 12월 홍콩달러-위안화 이중통화 거래 시스템의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중통화 거래 카운터가 주식 발행사와 투자자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주고, 홍콩의 위안화 상품 생태계를 풍부하게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현재는 위안화 주식을 마켓 메이커(시장 조성자)와 홍콩 투자자, 해외 투자자들만이 거래할 수 있다. 홍콩증권거래소는 향후 중국 본토 투자자들도 위안화 주식을 거래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날 홍콩달러-위안화
'제31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하계유니버시아드)'가 오는 7월 28일 중국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서 개막한다. 청두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는 2001년 베이징, 2011년 선전(深圳)에 이어 중국에서 세 번째로 열리는 세계대학경기대회로 7월 28일부터 8월 8일까지 12일간 펼쳐진다. 19일 중국중앙방송총국(CMG)에 따르면 지난 10일 베이징에서 청두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의 성화 봉송 발대식이 열렸다. 성화 봉송에는 청두체육대학교 학생이자 2021년 도쿄하계올림픽 남자 기계체조 평행봉 금메달리스트인 쩌우징위안(鄒敬園),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금메달리스트인 장훙(張虹)등이 참가했다. 성화는 베이징, 하얼빈, 선전, 충칭, 이빈 등 5개 도시를 거쳐 개막일에 앞서 청두에 도착하게 된다. 또 청두시는 대회 참가자를 위해 80만㎡ 부지에 1만1000명의 입주가 가능한 선수촌을 조성하는 등 대회 준비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청두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의 마스코트는 자이언트 판다 '룽바오(蓉寶)'로 청두 판다 연구기지에 사는 실제 판다 '즈마(芝麻)'를 모델로 이미지가 제작됐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을 찾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창업자와 16일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 국빈관에서 회동했다. 빌 게이츠는 세계 최고의 부자에서 글로벌 전염병에 대응하는 '면역 전사', 글로벌 빈곤 퇴치 지원 사업가로 변신해 외교 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시 주석은 게이츠와 AI(인공지능) 기술의 전 세계적 융성에 대해 논의하면서 "MS를 비롯한 미국 회사들이 AI 기술을 중국으로 들여오는 것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중국은 세계 각국과 광범위한 과학기술 혁신 협력을 전개하고 기후변화, 감염병 등 글로벌 도전에 대응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길 원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과 게이츠의 만남은 2015년 '중국판 다보스 포럼'으로 불리는 하이난성 보아오포럼에서 회동한 이후 8년 만이다. 게이츠는 2019년에도 중국을 찾았으나 당시에는 시 주석의 부인인 펑리위안 여사를 만나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의 에이즈 예방 작업에 대해 논의했다. 시 주석은 이번 회동에서도 게이츠에게 "중국은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과의 협력 강화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게이츠는 시 주석에게
애플이 지난 5일 공개한 MR(혼합현실) 헤드셋 '비전 프로'를 생산하는데 중국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현지시간) 미국 온라인 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애플이 미중 갈등과 코로나19 팬데믹 와중에 중국 밖으로 부품 공급망을 다각화하려고 노력해 왔지만 '비전 프로' 부품 공급업체 중 중국 기업이 8개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중국에 본사를 둔 컨설팅업체 웰센(Wellsenn) XR이 '비전 프로'의 최신 BOM(원자재 및 부품 목록)을 분석한 내용을 인용해 카메라 모듈 제조업체인 ‘코웰 이 홀딩스(Cowell e Holdings)’, 에어팟 관련업체인 ‘럭스셰어(Luxshare)’와 '고어텍(Goretek)' 등 중국 기업들이 ‘비전 프로’의 부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웰센 XR이 분석한 '비전 프로' 공급업체에는 중국 기업 이외에도 삼성, LG, 대만 폭스콘, 일본 소니 등이 포함됐다. 또 '비전 프로'의 부품 비용은 1733달러로 애플이 제시한 판매가 3499달러의 절반 이하로 분석됐다. 스키 고글과 유사한 형태의 '비전 프로'는 애플이 지난 7년 동안 1000여 명을 투입해 개발한 신개념 헤드셋으로 AR(증강현실) 플랫폼
오는 9월 28일 개막하는 항저우 하계 아시안게임에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45개 회원국이 모두 참가한다. 아시안 게임을 계기로 한중일 삼국 관계의 우호의 바람이 불지 주목된다. 14일 중국 국가체육총국과 항저우 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는 '항저우 아시안게임 D-100일 기자회견'에서 "이번 대회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산하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에 속한 45개 국가·지역이 모두 참가 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OCA 회원국인 북한도 참가가 확정됐으며, 일부 국가는 역대 최대 규모의 선수단이 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선수와 코치진을 포함해 역대 최다인 1180명의 선수단을 파견할 예정이다. 개최국 중국은 역대 최다였던 2001년 광저우 아시안게임 당시 출전 선수(977명) 규모와 비슷한 900여 명의 선수가 출전한다. 올해로 19회째를 맞이하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은 오는 9월 23일 개막해 10월 8일 막을 내린다. 애초 작년 9월 개최 예정이었으나, 중국내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1년 연기됐다. 총 40개 종목 483개 금메달을 놓고 항저우, 닝보, 원저우, 진화, 사오싱, 후저우 등 6개 도시 56개 경기장에서 열전이 펼쳐질 예정이다
전북 군산시가 중국 장쑤(江蘇)성 양저우(揚州) 최치원 기념관에 '새만금 문화학당'을 개강했다고 13일 밝혔다. '새만금 문화학당'은 군산시가 2014년 칭다오(靑島)를 시작으로 10년째 진행하고 있는 군산 중국사무소 사업으로 중국내 네트워크 확보와 한중 인문 교류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까지 칭다오, 옌타이(烟台) 등 8개 도시에서 총 27회에 걸쳐 1300여명이 수강했다. 군산시는 최치원 기념관의 '새만금 문화학당'에서는 한글 교육, 김치담그기 체험, 군산 문화 홍보 등이 진행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올해 양저우에서 '제7회 중국 자매·우호 도시 교류회'와 '최치원 선생 세미나'를 각각 개최할 예정이다. 군산의 국제우호도시인 양저우는 신라 말기 문신 최치원이 당나라 빈공과 급제 후 관리 생활을 하며 '토황소격문'을 썼다고 알려져 있다. 양저우시는 2007년 최치원을 기리고 한중 문화교류 확대의 일환으로 최치원 기념관을 건립했다.
중국의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 취득세 감면 정책이 연장된다. 12일 중국중앙방송총국(CMG)에 따르면 국무원은 지난 2일 열린 상무회의에서 당초 올해 말 끝날 예정이었던 신에너지차 취득세 감면을 연장키로 했다. 국무원은 신에너지 자동차의 소비 잠재력을 끌어내기 위해 취득세 감면 정책을 더욱 개선하고 시행 기간을 연장하는 한편, 고효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여 시장 전망을 안정화하고 소비 환경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승용차시장신식연석회(CPCA) 추이둥수(崔東樹) 사무총장은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은 최근 몇 년 동안 빠르게 성장해 왔다"며 "이번 취득세 감면 연장 정책이 가격과 각종 세제 비용에 민감한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5월 중국의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71만 7000 대로 전년 동월 대비 60.2%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에 따르면 올 1~5월 신에너지차 누적 판매량은 총 294만 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8% 증가했다.
중국 대표 바이주(白酒) 구이저우마오타이(貴州茅台)가 알코올이 들어간 커피를 선보였다. 구이저우마오타이는 중국 시가총액 1위를 다투는 기업이다. 마오쩌둥의 마오와 발음이 같아, 마오쩌둥이 국제무대에 중국의 대표적인 술이라 소개하면서 세계적인 유명세를 탄 술이다. 일반 바이주보다 묵직한 바디감의 향으로 소비자들을 사로잡고 있다. 중국에서는 소장용으로도 인기여서 술 한 병에 수백만 원을 호가하기도 한다. 이런 유명세를 바탕으로 마오타이가 마오타이주의 향이 나는 아이스크림에 이어 커피로 새로운 시장 개척에 나선 것이다. 최근 중국 현지 매체 '중국비지니스뉴스'에 따르면 마오타이 광저우 플래그십 스토어는 알코올이 함유된 커피 메뉴들을 개발해 시범 판매를 시작했다. 현재 광저우 플래그십 스토어에서는 1.8∼2㎖의 마오타이 술이 들어간 총 9종류의 커피를 판매하고 있다. 손님이 원할 경우 추가 요금을 내면 1.8㎖의 마오타이를 더 넣을 수 있다. 마오타이 커피의 단가는 28위안에서 시작하며 최고가 '에스프레소 초콜릿 아이스크림' 가격은 46위안이다. 지난해 선보인 마오타이 아이스크림은 성공적이라는 평을 듣고 있다. 마오타이는 지난해 5월 알코올 함유 아이스크림을 개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