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26%, 29.87%, 21.57%' 중국 3대 택배 회사들의 지난 8월 20%대 업무 물량 성장세를 시현했다. 중국의 택배가 그만큼 급속히 늘고 있다는 의미다. 중국의 소비재 산업이 빠르게 온라인 플랫폼화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24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3대 택배회사인 신통(申通) 택배, 윈다(韵达) 주식회사, 위안통(圆通) 택배 등 빅3는 최근 8월 주요 운영 데이터를 발표했다. 해당 월의 택배 물량과 택배 사업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모두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8월에 신통 택배는 19억 3,600만 건의 물량을 처리했으며, 이는 전년 동월 대비 27.26% 증가한 수치다. 위안통 택배의 물량은 22억 6,100만 건으로 전년 대비 29.87% 증가했고, 윈다 주식회사의 물량은 19억 7,300만 건으로 21.57% 증가했다. 택배 사업 수입을 보면, 신통 택배는 8월에 38억 7,300만 위안(약 7,346억 6,937만 원)의 수익을 올려 전년 동월 대비 21.50% 증가했다. 위안통 택배는 49억 800만 위안(약 9,309억 9,852만 원)의 수익을 기록해 20.67% 증가했으며, 윈다 주식회사는 39억 1,700만 위안
온라인 라이브 판매가 대세인 세상이다. 그런데 문제도 적지 않다. 라이브 판매자 말만 믿고 샀는데, 막상 제품을 받아보니 소개한 내용과 전혀 다른 저질인 경우가 적지 않은 것이다. 과연 이 경우 반품만 하면 되는 것일까? 과연 라이브 판매를 한 인플루엔서는 아무 책임이 없는 것일까? 분명 아니다. 최소한 허위 광고는 한국에서도 제재 대상이다. 중국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지금까지 처벌이 쉬었던 것은 아니다. 막상 판매자를 고소하려 하니, 소비자 입장에서 들어가는 시간, 경비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최근 중국에서 라이브 방송으로 저질 제품을 판매하던 인터넷 왕훙, 한국의 인플루엔서가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엄벌에 처해야 한다”, “보다 근본적 대책을 세우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삼즈양(三只羊)'이라는 인기 인터넷 방송 판매자가 '홍콩 위에빙’月饼)을 판매하며 소비자를 오도한 혐의로 지난 17일에 허페이 하이테크 지구 시장감독관리국의 조사를 받았다. 이전에도 '삼즈양'은 광고 게시자로서 저급 품질의 고기를 팔거나 물 먹인 소고기를 팔아 문제가 됐었다. 당시 그는 처벌을 면하고 환불
올 1~8월 중 중국 가전제품 수출이 29억 5,300만 대, 수출액 666억 1,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화로는 약 89조 22억 7,000만 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5%에 육박하는 성장세를 구현한 수치다. 중국 가전제품 수출의 두자릿수 성장세는 18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중국 전자회사들의 글로벌 공략은 IT기술과 접목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23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해관총서는 지난 18일 수출입 관련 이 같은 내용의 최신 데이터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첫 8개월 동안 중국 주요 수출 품목 중 가전제품은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달러 기준)했다. 올 8월까지 중국 가전제품 수출은 18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 성장세를 기록했다. 신흥 시장의 수요 증가와 유럽·미국 시장의 채널 보충이 기저효과과 맞물려 상승세를 가속시켰다. 앞으로도 한동안 가전제품 수출의 호황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장기적 성장 잠재력도 큰 것으로 분석됐다. 제조 및 공급망 우위와 브랜드 경쟁력의 향상이 수출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것이다. 해관 데이터에 따르면 올 1~8월 동안 중국 가전제품의 수출량은 29억 5
중국에서 배달 라이더를 식품 안전관리에 활용하자는 주장을 해 눈길을 끌었다. 중국 네티즌들은 “다각적인 감독이 좋다”는 반응이지만, 제도화 하기에는 실효성 문제가 크다는 우려도 있다. 배달 라이더들이 식품 안전관리 나선 사례는 이미 중국에서 선양에서 있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선양에서는 배달 기사들에게 '즉석 촬영'을 통해 식품 안전을 감시하도록 권장했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감시가 늘어나면 식품 안전도 더 보장될 것"이라고 말했고, 반면에 이를 실현하기 어렵다고 우려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일단 배달 기사들의 동기 부족과 감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부작용이 나올 수 있는 가능성 등이 우려점으로 꼽혔다. 무엇보다 식품 안전관리는 정부 부처가 해야하는 업무인데, 이를 사실상 외주화 하는 데 따른 무책임한 행정 작태가 나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사실 중국 배달 음식은 안전성 문제가 크다. 배달 음식을 주문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일부 배달 업체의 주방이 지저분하고, 여러 가게가 같은 영업 허가증을 공유하는 등의 문제가 공공의 불만을 초래하고 있다. 깨끗하고 안심할 수 있는 배달 음식을 먹는 것은 이제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지만 수
올 중추절 연휴 3일(9월 15~17일) 동안 6억 3000만 명 가까운 이들이 중국 전역을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31%이상 늘어난 수치다. 연휴기간은 비롯 짧았지만, 동양 최대의 명절을 가족과 함께 보내려는 마음을 막지 못한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총 6억 2956만 4천 명, 일 평균 승객은 2억 985만 4천 명이 중추연휴기간 이동을 했다고 교통부는 집계했다. 2023년 같은 기간에 비해 일 평균 31.1% 증가했다. 중국 교통부에 따르면 철도여객은 4,257만 3000명, 일평균 1,419만 1000명, 수로여객은 198만 1000명, 일평균 66만명, 민간항공여객은 506만 9000명, 일평균 169만명을 기록했다. 고속도로(고속도로와 일반 국도 및 지방도로의 비상업용 승용차 통행, 고속도로의 상업용 여객 통행 포함)의 지역 간 유동인구는 5억 7,994만 명이며, 하루 평균 승객은 1억 9,331만 3000 명에 달했다. 한국 못지 않게 무더위가 기승을 부렸던 중국은 중추 연휴 기간 중국의 대표 휴양지인 하이난섬을 찾은 외국 관광객들도 크게 늘었다. 연휴 기간 동안 하이난의 공항을 이용한 출입국 인원은 1
한국 정부가 오는 2052년 한국에 1인 가구가 40% 넘어설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자, 이웃 중국 네티즌들은 남의 일이 아니라를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적지 않은 중 네티즌들은 "두렵다"고 반응했다. 중국 매체들은 한국통계청의 최근 예측 보고서를 보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젊은이들의 결혼 지연과 인구 고령화 가속화 등의 영향으로 2052년이 되면 한국 가구 중 1인 가구 비율이 40%를 넘을 전망이다. 한국통계청은 한국의 전체 가구 수는 2041년에 약 2,437만 가구로 정점을 찍은 후 점차 감소하여 2052년에는 약 2,328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2052년에는 약 962만 가구가 1인 가구로, 2022년의 34.1%에서 41.3%로 증가할 전망이다. 중국 매체들은 한국의 연합뉴스 보도를 인용, 경제 불황, 높은 집값, 결혼관 변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의 젊은이들이 결혼이나 출산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1인 가구의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1인 가구의 증가를 촉진하고 있다. 실제 2022년 기준으로 20대 젊은층이 1인 가구 중 가장 큰 비율
'2조 3,800억 위안' 한화로 약 446조 3,690억 원 가량이다. 지난 2023년 한 해 중국 디지털 서비스 수출입 규모다. 전년동기 대비 3.5% 늘어난 수치다. 19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서비스 무역 발전 포럼이 최근 베이징 국가회의센터에서 열려, <디지털 무역 발전 및 협력 보고서 2024>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디지털 서비스 수출입 총액은 3,666억 달러(약 488조 3,112억 원)로, 전년 대비 3.5% 증가했으며, 전년 대비 0.3% p 상승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디지털 무역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다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음을 보여준다. 국제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 2023년 중국의 디지털 서비스 수출은 전 세계의 4.9%를 차지했으며, 이는 2019년 대비 1.6% p 상승한 수치다. 무역 흑자와 적자를 보면, 2019년부터 5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3년 디지털 서비스 무역 순 수출액은 474억 달러(약 63조 1,368억 원)로, 전년 대비 11.1% 증가했다. 해외 전자상거래 수출입은 다시 두 자릿수의 긍정적인 성장세를 회복했다. 세관총서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경제지표에서 첨단기술 산업투자 증가세가 6개월 연속 두자릿 수 증가세를 시현했다. 그만큼 중국이 첨단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에 적극적이라는 의미다. 19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올 1~8월 간 경제 데이터들을 정리해 발표했다. 류아이화 국가통계국 대변인 국민경제종합통계국 국장은 "고온의 날씨와 폭우로 인한 홍수 등의 자연재해에도 불구하고 각 지역과 부문에서 거시 정책의 효과가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다"고 자평했다. 통계국에 따르면 산업 분야에서는 8월 규모 이상의 산업 부가가치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이는 중국 정부의 목표치 5% 안팎의 성장보다는 조금 못미치는 수준이다. 다만 장비 제조업과 첨단 기술 제조업, 특히 신에너지 자동차, 서비스 로봇, 집적회로 등의 제품 생산량이 크게 증가힌 점은 고무적이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평가다. 이번 8월 서비스업 생산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4.6% 상승했다. 현대 서비스업의 성장세가 양호하고, 정보 전송 소프트웨어와 정보기술 서비스업,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업 생산 지수는 각각 12.1%, 9.4% 증가세를 시현해 중국 산업 서비스도 IT기술 분야에 그 성장세가 쏠려 있음을
중국에서 가장 핫한 스포츠 선수는 단연 취안훙찬(全红婵) 선수다. 올 해 17세로 소위 '다이빙 천재소녀'로 불리는 중국 수영 선수다. 지난 2021년 도쿄올림픽에서부터 올 2024년 파리올림픽까지 다이빙 여자 10m 종목에서 중국에 연속해 금메달을 선물했다. 올 파리올림픽에서는 다이빙 여자 싱크로나이즈드 10m 종목에서 금메달도 추가했다. 지난 2014년 다이빙 코치에 발탁돼 중국을 대표하는 선수가 된 취안훙찬은 말 그대로 정말 흑수저다. 중국에서는 대표적인 농민의 딸이다. 천부적인 재능과 뼈를 깎는 노력으로 오늘의 영광을 일궈낸 선수다. 보기 드문 성공에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스포츠 스타가 됐다. 문제는 그래서 나왔다. 많은 이들, 특히 1인 미디어들이 취안훙찬의 일거수일투족을 쫓아다니며, 소식을 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중추절도 마찬가지다. 고향인 광둥성 잔장(湛江)에는 취안훙찬을 쫓아온 1인 미디어들로 들끓었다. 이들은 취안훙찬 집 앞에 진을 치고 있거나, 취안훙찬을 쫓아 마을 곳곳을 카메라를 들고 돌아다녔다. 심지어 드론까지 활용해 취안훙찬의 모습을 찍어 내보냈다. 아예 여행사마저 ‘취안훙찬 고향 당일치기 투어’라는 상품을 내놓았으며, 마을은 일종
올 1~8월 간 중국과 대만 양안의 인적교류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70% 늘었다. 대만 독립 움직임이 거세지면서, 중국의 무력통일 이야기가 나오면서 양안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인적 교류는 더욱 늘어난 것이다. 긴장은 긴장이고, 교류는 교류라는 중국식 사고 방식이 여실히 드러난 것이라는 게 중국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8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대만 판공실 천빈화(陈斌华) 대변인은 최근 정례 기자회견에서 통계를 인용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양안 인적교류가 약 300만 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70% 증가한 수치다. 천 대변인은 하반기에 각 지역과 부서에서 스포츠, 청년,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양안 교류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안은 한 가족’이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단결시키고, 각 분야에서의 교류와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인적 교류를 확대하고 융합 발전을 이루어 나가겠다는 취지다. 민주진보당 당국은 최근 대륙 관광객의 대만 방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중국 측에 단체 관광을 신속히 재개할 것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천대변인은 지난 2020년 초 민주진보당 당국이 팬데믹을 핑계로 일방적으로 중국 본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