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억2300만 위안' 한화로 약 15조 6659억 원에 달한다. 지난 1~5월 간 중국 구이저우성 빅데이터 분야 프로젝트 투자액이다. 구이저우성은 중국에서 신 산업인 빅데이터 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는 지역이다. 이번 투자액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증가폭이 60%에 육박한다. 공산 독재 정부 시스템의 중국은 최대 장점이 정부 목표에 따라 국가의 모든 자원을 강제로 동원할 수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게 전기자동차 산업이 그렇다. IT와 반도체 분야도 마찬가지다. 중국 정부가 나서 짧은 시간에 세계적 수준의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글로벌 공급망을 주도하고 있다. 빅데이터 산업 발전 기반에서 중국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다. 전체 인구 14억 명 가운데 10억 명이 매일 인터넷을 쓰면서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다. 이런 황금시장을 중국 당국은 정보 보안을 이유로 내세워 철저하게 외국 기업들의 진입을 차단해왔다. 구이저우성이 추진하는 빅데이터 산업 프로젝트가 인기를 끄는 이유들이다. 5일 중국 현지 구이저우일보에 따르면 올해 1~5월 구이저우성의 빅데이터 분야 프로젝트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월 구이저우성 빅데이터 분야의 총 투자액은 1
중국 지린성 창춘을 거점으로 하는 이치자동차(中国一汽)가 올해 1~5월 지난해 동기 대비 153% 증가한 2만8200대 차량의 수출을 달성했다. 이는 2023년 중국 자동차 산업 국제화의 상징적인 수치다. 중국은 지난해부터 전기차를 중심으로 가성비를 최대 장점으로 내세우며 세계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과거에도 중국 자동차들의 국제화 시도는 없던 게 아니었지만, 글로벌 주요 자동차 브랜드들이 구축한 시장 장벽을 넘기는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중국 자동차 메이커들은 전기차 분야에서 일제히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고, 이 같은 명성을 통해 'B급 자동차'란 부정적 이미지 탈출에 성공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이치자동차다. 중국 관영 영자신문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1~5월 이치자동차의 3대 브랜드가 해외 판매 실적에서 모두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그 중 홍치(红旗) 브랜드의 수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216% 증가한 4071대, 제팡(解放) 브랜드는 92% 증가한 14013대, 뻔텅(奔腾) 브랜드는 124% 증가한 5726대를 달성했다. 2022년 말 기준, 이치자동차의 해외 사업은 유럽,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중남미, 중동 등 세계 85개국에 걸
중국 토종 화장품 브랜드의 경쟁력이 최근 5년새 크게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브랜드는 갈수록 고급화하며 기존 하이엔드 브랜드에 도전장을 내고 있다. 그 사이 명품의 문턱에 있던 한국 제품들은 브랜드 명성에서는 유럽 명품에 밀리고, 가성비에서는 중국 제품에 밀리면서 설 자리를 잃고 있어 우려된다. 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Euromonitor International)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 화장품 브랜드, 이른바 C-뷰티 매출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51% 성장했다고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중국 전체 화장품 시장이 42% 성장한 것을 능가한다. 유로모니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뷰티 시장은 789억 달러(약 104조 원) 규모로 그 중 기초 화장품이 410억 달러(약 54조 원), 색조 화장품이 82억 달러(약 11조 원)를 각각 기록했다. 여전히 중국 뷰티 시장은 로레알, 에스티로더, 입생로랑, 크리스챤 디올 등 해외 브랜드가 점령하고 있지만 중국 브랜드는 개인 맞춤화, 제품 개발 등의 전략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에서 판매된 화장품 Top 20 브랜드 가운데 C-뷰티의
'5310억 위안' 한화로 약 95조 6330억 원이다. 중국 인터넷 기반 기업들이 올들어 5월까지 달성한 매출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3%가량 늘었다. 사실 중국의 인터넷 산업은 중국 네티즌 수의 증가세가 완만해지면서 '시장 성숙기'에 들어섰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하지만 총 규모가 워낙 커 한 자릿 수의 증가세라도 그 증가폭은 여타 국가가 따라갈 수준이 아니다. 중국의 인터넷 소비 시장이 커지고 있지만, 현재의 무역 제도로는 중국내 인터넷 시장에 대한 중국 정부 통제를 견제할 수단이 없어 문제가 되고 있다. 자유시장주의를 표방한 한국 등 각국이 온라인 시장에 개방적인 데 반해, 중국은 철저한 통제로 중국의 온라인 소비시장에서 중국 기업들의 우위를 보호하고 있다. 3일 중국 현지 베이징일보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국의 규모이상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기업(이하 인터넷 기업)이 5310억 위안(약 95조 633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수치이다. 전반적으로 인터넷 기업의 총 이윤은 빠르게 증가했다. 1~5월, 중국의 규모이상 인터넷 기업의 운영 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으며 이윤 총액은 576.2
중국의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한 49.0을 기록했다. 이 지수는 50을 중심으로 경기 상승과 경기 하락에 대한 관리자들의 판단이 나뉜다. 제조업 구매관리자들의 경기에 대한 전망이 좋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경기 하락의 상태를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다. 30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6월 제조업 PMI는 5월의 48.8보다는 소폭 상승했으나, 경기 확장을 의미하는 '50 이상'에는 이르지 못했다. 3개월 연속 50을 하회하며 경기 수축 국면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6월 대기업 PMI는 50.3으로 전월 대비 0.3포인트, 중간규모 기업은 48.9로 지난달 대비 1.3포인트 각각 상승했고, 소규모 기업은 46.4로 5월 대비 1.5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 PMI를 구성하는 5개 지표 중 생산지수와 공급업체 납기지수는 50보다 높은 반면 신규수주지수, 원자재재고지수, 고용지수는 50보다 낮았다. 생산지수는 50.3로 전월보다 0.7%포인트 상승해 기준치를 넘어섰고, 공급업체 납기지수는 50.4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지만 여전히 기준치를 웃돌았다. 신규수주지수는
'16조5502억 위안' 한화로 약 3030조 원에 달한다. 중국의 지난 2022년 문화산업의 총매출이다. 전년 대비 1% 가량 성장했다. 지난해 연말부터 중국 당국의 코로나 정책이 변화를 보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1%의 성장이지만 그 금액만 보면, 1700억 위안으로 30조5000억 원을 훌쩍 넘긴다. 중국 문화산업의 규모가 워낙 커져, 성장률로는 크게 둔화하는 지경에 다다랐다는 평가도 있다. 전반적으로 지난해 중국의 문화산업이 안정적인 성장을 달성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30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22년 중국 문화산업의 총 매출은 16조5502억 위안(약 3030조 원 )으로 전년 대비 1678억 위안( 약 30조4500억 원), 1% 증가했다. 통계에 따르면 문화 신유망 업종 산업의 영업이익은 전체 문화산업 매출의 30.3%를 차지했다. 이는 처음으로 30%를 돌파한 것으로 전년 대비 1.6포인트 증가했다. 또 문화 신유망 업종(新业态) 특성이 분명한 16개 산업은 전년 대비 6.7% 증가한 50106억 위안의 매출을 달성하여 전체 문화산업 평균 대비 5.7%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202
대만 기업 폭스콘의 중국 허난성 정저우 공장은 현재 세계 아이폰 생산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폭스콘이 중국 당국의 고용 수요 확대에 맞춰 채용을 대거 늘려 주목된다. 기존 직원들에게는 거액의 보너스도 일괄 지불했다. 그동안 말 많았던 근무환경을 개선해 인재를 유치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중국은 현재 청년실업이 높아 기업들의 신규 채용을 독려해야 하는 실정이다. 다만 폭스콘의 경우 근무 환경이 나빠 청년들의 호응을 얻을지는 미지수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애플 최대 협력업체인 폭스콘이 하반기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채용 확대에 나섰다. 정저우 폭스콘 공장은 지난 26일 채용 공고를 통해 향후 성수기 조립 라인에 복귀하는 전직 직원에 8000위안(약 144만 원)의 보너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또 회사 측에 새로운 노동자를 소개해줄 경우 취업하는 노동자 1명당 1000위안(약 18만 원)의 소개료를 지불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기존 직원 소개로 취업해 성수기 최소 4개월을 일하는 노동자에게는 7000위안(약 126만 원)의 보너스가 제공된다. 폭스콘 선전 공장도 최근 신규 채용에 6980위안(약 126만 원)의 보너스를 제시하고
중국의 3대 사진 축제가 '위드 코로나' 정책과 함께 3년 만에 돌아온다. 코로나19 팬데믹 속에 격리됐던 예술의 공간도 새롭게 열리고 있는 것이다. 이번엔 AI(인공지능)과 함께다. 인간과 인공지능이 찍어내는 예술 사진의 축제여서 더욱 주목된다. 29일 중국 온라인 매체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핑야오(Pingyao) 국제 사진 축제, 리수이(Lishui) 사진 축제, 롄저우(Lianzhou) 국제 사진 축제 등 중국의 3대 사진 축제들이 올해 하반기 활동 재개를 최근 발표했다. 핑야오 국제 사진 페스티벌(PIP)은 오는 9월 19일부터 25일까지 산시(山西)성 고대 도시 핑야오에서 개최된다. 핑야오 국제 사진 페스티벌 조직위는 이번 전시에 AI(인공지능)으로 생성된 사진에 대한 특별 기획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핑야오 국제 사진 축제는 2001년에 설립되었으며 중국 문화부, 국무원 공보처, 산시성 당위원회 및 지방정부가 지원한다. 리수이 사진 축제는 오는 11월초 저장성 리수이에서 개최된다. 올해 사진 축제는 글로벌 사진의 발전 추세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리수이 사진 축제는 중국 사진작가 협회와 리수이 시정부가 공동으로 후원하는 국제 사진 축제로 20
'15.2%' 지난 5월을 기준으로 한 중국 장비 제조업의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 증가 규모다. 이윤 증가는 회사 자체적인 효율성 개선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지만, 아무리 효율성이 좋다고 해도 생산, 판매량 자체가 늘지 않고는 기본적인 이익 증가 추세를 기대하가는 어렵다. 즉 이윤이 두 자릿수로 늘었다는 것은 새로운 우수한 장비에 대한 사회적 소비가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다. 또 새로운 우수한 장비에 대한 사회적 소비가 는다는 것은 사회 인프라 구축이 그만큼 활달하다는 방증이다. 중국은 장비 제조 공급망 분야에서 글로벌 톱 수준의 지위를 구가하고 있다. 중국 사회 인프라 개발의 필수 요소인 장비 제조업이 급속한 성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산업과 기업의 이윤 구조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5월 장비 제조업 이윤은 전년 동기 대비 15.2% 증가했다.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유지하여 규모이상 공업 이윤의 4.6포인트 상승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 5월 장비 제조업의 이윤이 규모이상 공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9.6%이며 4월에 비해 5.3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3개월 연속 증가한 것이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중국 광저우자동차가 하늘을 나는 자동차, 이른바 플라잉카에 해당하는 '고브(GOVE)'를 일반에 공개했다. 플라잉카는 미래의 이동수단으로 개발되고 있다. 누가 먼저 개발해 상용화하느냐를 놓고, 주요 자동차 회사들이 경쟁을 하고 있다. 이번에 중국이 '고브' 첫선을 보이면서 플라잉카 상용화 선두 다툼에 도전장을 낸 것이다. 아쉽지만 세상의 모든 첫 제품이 그렇듯, '아이폰'과 같은 폭발적인 반응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듯 싶다. 하지만 이번 '고브'의 출현으로 현재 플라잉카를 준비 중인 많은 글로벌 업체들이 앞다퉈 시제품을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고브'는 플라잉카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플라잉카는 일반적으로 자율 수직 이착륙 차량, 지능형 제어 조종석, 지상에서 운전하고 공중 비행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자동 조종 장치 등 3개의 개별 모듈로 구성된다. 27일 중국 경제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고브'는 무인기(드론)와 유사한 구조의 수직 이착륙 비행 전기차이다. 6개의 로터를 가진 이 비행 전기차는 지상 주행 때는 로터 부분을 접고, 필요할 때 로터를 펼쳐 비행하는 구조로 돼 있다. 우젠 광저우자동차연구소장은 "'고브' 시연은 시제품 수준의 비행 전기자동차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