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화랑 민화, 현대를 만나다: 조선시대 꽃 그림- 화조도 2018.07.04(수)~2018.08.19(목) 현대화랑→갤러리현대→두가헌갤러리 ‘민화,현대를 만나다: 조선시대 꽃 그림’은 갤러리현대와예술의전당의 공동 주최로 기획된 대규모 민화기획전. 이번 전시는 우수한 화조도들을 모아 전시함으로써 보편적이며 대중적인 꽃이라는 소재에 주목해조선시대 꽃 그림에 대한 인식 전환과 동시에 민화를 좀 더 친숙하게 알리고자 했다. 화조도는 19세기 후반부터 성행했던 민화 중 가장대중적으로 사랑받았던 장르로서 현실과 이상세계를 넘나드는 꽃과 새의 이미지 속에 특유의 밝고 따뜻한 정서를 담아내는 화풍으로 여겨진다. 이번 전시는 화초도, 화초영모도,모란도, 연화도, 꽃자수 작품 등이 선보이며독자적인 조형언어와 색채미학을 가진 조선시대 민화의 예술적인 우수성에 주목하고 동시에 현대의 시각을 통해 재해석 되는 민화의 아름다움에 대해 다룬다. 화조도 속 꽃의 이미지에는 화가들의 솔직하면서도 다양한 삶의 이야기와 정서,그들의 감성 등이 녹아 있는 듯 보여 사뭇 관람객의 보편적 공감을 불러 일으키며 차분한 마음의 위로를 주기에도 충분한 듯하다. 필자 강지현 ⓒ현대화랑 19세기에 제
ⓒSTONEMUSIC Ent 로이킴 라이브 피크닉 <로이로제> 2018.08.04(토) 상명아트센터 계당홀 <로이로제>는 로이킴과 함께 피크닉을 나온것 같은 편안함과 설렘 속에서 그의 라이브 공연을 감상할 수 있는 공연이다. 이번 공연은 지난 2월 발표한 싱글 ‘그때 헤어지면 돼’1위 공약의 일환으로 로이킴이 직접 제안한 아이디어가 반영된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될 예정이다. <로이로제>에서 그의 새로운 매력을 만날 수 있다.
ⓒwaysbe 신카이마코토展 <별의 목소리>부터 <너의이름은>까지 2018.07.13(금)~2018.09.26(수) 한가람미술관 신카이마코토전은 ‘별의 목소리’부터 ‘구름의 저편, 약속의장소’, ‘초속 5센티미터’,‘별을 쫓는 아이: 아스가라의 전설’, ‘언어의정원’, ‘너의 이름은.’ 등 신카이마코토 감독의 대표작 중 6개를 한 번에만날 수 있는 전시회다. 신카이마코토 감독의 데뷔 15주년을기념한 월드투어로, 일본과 대만에 이어 한국이 세번째이다. 180도 와이드 스크린, 프로젝터 맵핑, 포토존 등 다양한 참여존은 이번 한국 전시회의 특징으로 눈에 보이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신카이마코토 감독의 작품세계를 생생히 느낄 수 있다.
ⓒ인터파크 루나파크전: 더 디자인 아일랜드 2018.07.27(금)~2018.11.06(화) 동대문 디자인플라자 ‘루나파크전’은 대한민국 전시 사상 최대 규모의 디자인 전시회다. 세계 3개 디자이너로 손꼽히는 이탈리아 디자이너 스테파노 지오반노니가 총 연출을 맡고 필립스탁, 알렉산드로 멘디니, 하이메 아욘 등 세계적인 디자이너 100여 명이 동시에 참여한다. 이번 전시회는 이들이 만든 300여 점의 걸작뿐만 아니라 한국 디자이너들의 콜라보레이션 작품도 함께 전시될 예정이다. ⓒ인터파크 ⓒ인터파크
©news1 “나 김미소 남편 할래. 김미소랑 결혼하고 싶다고” 한국과 중국 대륙의 여심을 뒤흔들어 놓고 있는 이 남자. 핏(Fit)이 살아 있는 깔끔한 수트 맵씨에 카리스마 있게 빗어 넘긴 머리칼은 ‘조각 미남’이라는 클리셰가 진부할 만큼 강렬하다. tvN 수목드라마 ‘김비서가 왜 그럴까’에서 나르시시스트 부회장 이영준 역을 맡은 박서준. 영화와 드라마, 예능을 오가던 ‘전천후’ 배우가 이제 맞춤복을 찾은 듯 자신에게 꼭 맞는 배역을 거머쥔 듯 하다. 지난 19일 밤 방송된 ‘김비서…’ 14화는 케이블, 위성, IPTV를 통합한 유료플랫폼 전국 가구 기준 평균 8.1%, 최고 9.7%를 기록, 지상파 포함 동 시간대 드라마 1위를 지켜냈다. 또한 tvN 타깃 2049 시청률에서 최고 6.9%로 14화 연속 지상파 포함 전 채널 동 시간대 1위라는 기록을 세우며 이른바 ‘김비서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tvN 중국내 인기도 급상승 중이다. 소속사 어썸이엔티는 지난 12일 웨이보 한류 세력 차트의 사회 영향력 부문에서 박서준이 1위 BTS에 이어 2위에 올랐다고 발표했다. 이는 국내 배우 중 최상위에 오른 것. 텐센트, 시나닷컴 등 중국 매체의 관련
임수정, 박소담, 소주연 한여름, 무더위를 잊게 해 줄 공포영화가 관객들을 유혹한다. 특히 호러물의 경우 출연 여배우의연기력이 극의 긴장감과 몰입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도 하는 바, 영화계 신인 여배우들의 등용문이 되고 있다. 공포영화를 통해 스타덤에 오른 여배우의 면모를 살펴봤다. 1998년 극장가를 공포로 물들였던 ‘여고괴담’. 5편의 시리즈가 제작되어 공전의 히트를 했고, 올가을 6편 제작을 앞 둔 이 작품은 한국 공포영화 대표작으로 꼽힌다. 숱한 여배우들이 이 작품을 통해 대중에게 각인되었다. 1편의 김규리는 제7회 이천 춘사대상영화제와 제22회 황금촬영상 시상식에서 신인여우상을 거머쥐며 배우로서의 입지를 탄탄히했고, 이미연은 제36회 대종상 영화제여우조연상을 수상핶다. 이후 박예진, 공효진, 송지효, 김옥빈, 차예련 등 이른바 ‘여고괴담’ 사단은 여배우들의 등용문 역할을 톡톡히 했다. TV드라마 <학교4>를 통해 본격적인 연기 활동을 시작한 임수정. 다양한 작품에서 매력 넘치는 연기와 캐릭터 소화력으로 대중을 사로잡고 있는 그녀 또한 데뷔 초에는 이름을 떨치지 못했다. 그런 임수정에게 기회가 온 것은 공포영화 <장화, 홍련
랜선라이프 포스터 ⓒJTBC 지난 6일 방영을 시작한 JTBC 새 예능프로그램…1인 미디어의 향연이 펼쳐진다. 전세계적으로 동영상 콘텐츠 소비가 늘면서 1인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JTBC의 새 예능 ’랜선라이프’는 국내 1인 방송계의 전설로 꼽히는 크리에이터 ‘대도서관’, ‘윰댕’, ‘밴쯔’, ‘씬님’의 일상과 스타급 크리에이터가 아닌 일반인으로서 카메라 밖 모습까지 낱낱이 보여주는 프로그램. 1인 미디어 선두주자이자 게임 방송의 1인자 ‘대도서관’과 18년차 토크 여신 ‘윰댕’, 먹방의 신 ‘밴쯔’ 그리고 ‘천의 얼굴’로 각광받는 뷰티 크리에이터 ‘씬님’, 이들은 발빠른 트렌드 감지력과 빼어난 콘텐츠 제작 역량으로 주목받는 업계의 최강자들. 방송 만을 위해 24시간을 쏟아 붓는다는 이들의 색다른 이야기에 시청자의 반응이 달아오르고 있다. MC 라인업 또한 화제. 여자 예능 MC의 대부격인 이영자와 김숙이 진행을 맡아 환상적인 호흡을 과시한다. 스페셜 MC로 투입되었던 뉴이스트W 김종현은 크리에이터들의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고정으로 합류했다. 이나라 PD는 기존 관찰 예능과의 차별화를 묻는 질문에, “가장 큰 차이는 일상
ⓒAct 믿고 듣는 음원강자 ‘크러쉬’가 컴백했다. 크러쉬는 13일 각종 음원사이트를 통해 새로운 EP 앨범 ‘원더로스트’ 를 발매했다. ‘원더로스트’는 지난 5월 발표한 디지털 싱글 ‘잊을 만하면’ 이후 2개월 만에 공개하는 새 앨범으로, 지난해 가을 발매한 미니앨범 ‘원더러스트’ 를 잇는 ‘원더’시리즈의 후속 앨범. ‘원더러스트’가 가을밤의 차분하고 자전적인 이야기를 주된 테마로 다뤘다면, 이번 앨범은 뜨거운 햇살과 시원한 바람을 함께 느낄 수 있는 ‘크러쉬의 여름 밤’을 테마로 한 음악들로 가득 채웠다. 타이틀곡 ‘시리얼’은 크러쉬와 지코가 공동 작사, 작곡한 곡으로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맞이하는 특별한 아침, 그로 인한 행복한 감정을 시리얼에 비유하였다. 그 동안 ‘오아시스’, ‘버뮤다 트라이앵글’등을 함께 작업했던 두 아티스트가 이번에는 ‘시리얼’을 통해 다시 한번 환상의 조화를 선보였다. 크러쉬의 달달 하고 세련된 보컬에 지코의 리듬감 넘치는 랩 피처링이 더해져 ‘역대급 믿고 듣는 음악’이 탄생하였다. 특히 두 사람이 함께 작사한 ‘cereal 호랑이 기운 솟아나 나 지금/ cereal 그레놀라 널 볼 때마다/ i say oh my god se
ⓒ국립민속박물관 절기상 음력 6월 ~ 7월 사이 초, 중, 말복을 뜻하는 삼복(三伏). ‘복(伏)’ 자의 유래가 여름철 더운 기운을 이기지 못해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있는 형상’ 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니 기력과 건강을 잃기 쉬운 계절이다. 날이 더워지면 몸의 양기가 피부와 상부로 몰리면서 몸 속은 오히려 차가워지며 위장기능은 저하된다. 이런 상태에서는 찬 음식을 먹으면 복통이나 설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따뜻한’ 음식으로 몸을 보호해 주는 편이 건강을 지키는 비결. 한여름 찜통 더위를 이겨 낼 전통 보양식을 찾아 보자. ⓒBaidu ◇닭, 한여름 보양의 최적화 된 식재료…본초강목, 동의보감 극찬 계삼탕(鷄蔘湯)으로도 표기하나, 삼계탕은 사실 절기를 타지는 않는 한국의 대중적인 음식이다. 하지만 여름철 보양식으로 첫 손에 꼽히는 대표주자가 된 연원은 고문헌에서도 뚜렷한 근거를 찾아볼 수 있다. 중국 명나라 때 이시진이 지은 <본초강목>에는 ‘닭은 보양의 성질이 있어 속이 차가워지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고 했고, 허준의 <동의보감>에서는 ‘황색의 암탉은 성평(性平)하고 소갈을 다스리며, 오장을 보익하고 정(精)을 보할 뿐만 아니라 양
2018년 1월 ‘문화유산’ 등재 신청…유네스코ICOMOS심사 중… 병산서원 전경 ⓒ안동시 서원은 ‘조선시대 유림의 혼이 담긴 곳’ 이다. 당파와 당쟁의 온상이라는 오명을 쓰고 강제 철폐를 당했던 아픔도 지니고 있지만, 살아 남은 47개의 서원은 이후에도 사학(私學)의 보루로서 그 역할을 분명히 해 왔다. 오랜 역사의 숨결과 함께 한국의 서원은 그 건축미로도 그 가치를 입증한다. 풍수에입각한 빼어난 입지와 손을 내려오며 소중하게 관리해 온 정성으로 서원은 현대에 공존하며 방문객들에게도 그 풍치와 깊은 선조의 얼을 이어주고 있다. 병산서원 ⓒ안동시 ◇2차례왜란 당시 명상(名相)…서애 류성룡의 위패를 모신 곳, 병산서원 16세기 동아시아 전쟁으로 평가되는 임진년(1592년)과 정유년(1597년)의두차례 왜란 당시 조선의 군사, 외교, 행정, 재정의 실무를 총괄했던 이가 서애 류성룡이다. 경북 안동(安東)에 위치한 병산서원의 전신은 풍산현에 있던 풍악서당(豊岳書堂)으로 고려 때부터 사림의 교육기관이었다. 이를 1572년에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이 지금의병산으로 옮겼다고 전한다. 1607년 서애가 타계하자 정경세(鄭經世) 등 지방 유림의 공의로 선생의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