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만능 알바생에서...나르시스트 부회장까지"...팔색조 연기 ㅡ 박서준

©news1

 

“나 김미소 남편 할래. 김미소랑 결혼하고 싶다고

 

한국과 중국 대륙의 여심을 뒤흔들어 놓고 있는 이 남자. (Fit)이 살아 있는 깔끔한 수트 맵씨에 카리스마 있게 빗어 넘긴 머리칼은 조각 미남이라는 클리셰가 진부할 만큼 강렬하다.

 

tvN 수목드라마김비서가 왜 그럴까에서 나르시시스트 부회장 이영준 역을 맡은 박서준. 영화와 드라마, 예능을 오가던 전천후배우가 이제 맞춤복을 찾은 듯 자신에게 꼭 맞는 배역을 거머쥔 듯 하다. 지난 19일 밤 방송된 김비서…’ 14화는 케이블, 위성, IPTV를 통합한 유료플랫폼 전국 가구 기준 평균 8.1%, 최고 9.7%를 기록, 지상파 포함 동 시간대 드라마 1위를 지켜냈다. 또한 tvN 타깃 2049 시청률에서 최고 6.9% 14화 연속 지상파 포함 전 채널 동 시간대 1위라는 기록을 세우며 이른바 김비서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tvN

중국내 인기도 급상승 중이다. 소속사 어썸이엔티는 지난 12일 웨이보 한류 세력 차트의 사회 영향력 부문에서 박서준이 1 BTS에 이어 2위에 올랐다고 발표했다. 이는 국내 배우 중 최상위에 오른 것. 텐센트, 시나닷컴 등 중국 매체의 관련 기사가 늘고 있는 가운데,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 중 김비서가 왜 그럴까라는 키워드까지 등장하며 김비서 드디어 키스하다는 검색어는 1위를 기록하는 등 중국 네티즌의 반응 또한 뜨겁다. 소속사 관계자는 "박서준이 중국 등에서도 '부회장', '준오빠' 등의 애칭으로 불리고 있다"고 전했다. 

 1988년생 박서준의 나이는 이제 서른, 데뷔 8년차를 맞아 드라마는 물론 광고 시장까지 김비서..’돌풍을 일으키며 대세 배우로서 만개한 듯 하다. '마녀의 연애'(2014), '그녀는 예뻤다'(2015) 등을 통해 높은 인지도를 지녔던 박서준이지만, 색다른 매력으로 대중에 각인된 것은 올해초 방영된 케이블 예능 '윤식당2'가 아닐까. ‘만능 알바생으로 제몫 이상을 해내던 열혈 청년박서준의 이미지는 올해 김비서…’ 에서 나르시스트 부회장으로 180도 변신하며 반전매력을 과시하고 있는 듯.     

©tvN  

박서준은 미남이다. 하지만 그를 아는 업계의 관계자들은 본인이 지닌 천부적 매력을 뒷받침하는 연기력은 바로 자신의 역할을 끊임없이 분석하는 노력에 근간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박서준 소속사 어썸이엔티 관계자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박서준이 워낙 말투와 제스처 등 원작 캐릭터에 대한 연구를 열심히 했고, 이밖에 정장 스타일링 등 비주얼도 많은 고민을 했다"고 전했다. 

고교 1학년 연기가 너무 하고 싶어배우 학원에서 방학을 났다는 이 배우. 외모 이상의 탄탄한 연기력과 소속사와의 오랜 신의를 이어가는 인품까지, 이 배우가 지닌 매력의 끝이 어디일지 기대가 더해진다

필자 이미지  

©psj_instagram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