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판 중국 직업분류사전에 새로운 직종 158개 추가

 

'1639개'

중국에 존재는 직업의 종류 숫자다. 교사, 의사, 요리사, 직업군인, 변호사, 미용사, 회계사 등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직업 외에 무수히 많은 전문 직종이 존재한다.

재미있는 것은 컴퓨터 등 IT기술이 발전하면서 데이터분석가, 코딩전문가 등 새로운 전문직들이 생겨난다는 점이다.

직업의 변화는 결국 우리 사회 변화의 한 단면이다. 시대마다 어떤 직업들이 있어 각광을 받는지 분석하면 한 시대의 대표적인 인문학적 지형도가 그려진다.

중국 인사부(人社部)가 '2022년 중화인민공화국 직업분류사전' 개정판 관련 발표회를 28일 열었다.

인사부에 따르면 중국에는 158개의 새로운 직종이 생겼으며 이에 따라 중국에 존재하는 직종 수는 총 1639개이다.

최근 몇년간 중국의 경제 구조가 바뀌고 있으며 신기술, 신산업, 신업종이 끊임없이 나타나면서 새로운 직업과 직종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관련 직업과 친환경 및 저탄소 등 친환경 특징을 지닌 녹색 직업이 많이 추가됐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지털 관련 직업이 총 97개가 추가되어 총 직업 수의 6%를 차지했으며, 녹색직업이 134개 추가되어 총 직업 수의 8%를 차지했다.

그 중 디지털 관련 직업이면서도 녹색 직업인 것은 총 23개이다. 이는 디지털 경제와 녹색산업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보여주며 이에 따른 직업의 변화를 보여준다.

특히 2015년 이후 전문 기술자와 관련해서는 15개의 새로운 직종이 생겨났다. 전문 기술자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 제조, 공업 인터넷, 가상현실, 블록체인, 집적회로, 로봇, 3D프린팅, 데이터 안전 공학 기술자 등이 포함된다. 또한 암호공학기술자, 탄소관리공학기술자, 금융과학기술사 등 29개의 새로운 직종이 추가되기도 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