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에너지산업 브랜드 순위, 1위 국가전망(国家电网)

 

'48조9300억 위안'

약 9761조 5000억 원으로 물경 1경 원에 육박하는 액수다. 중국의 500대 브랜드 가치 평가액이다. 

중국은 개혁개방이래 '명품 브랜드'를 갖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브랜드 가치를 올려, 글로벌 브랜드로, 시대를 넘어가는 '명품'으로 만들겠다는 야심이다.

정부의 지원에 각 분야에서 기업들이 자체 브랜드 육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사실 현대 소비를 '팬덤 소비'라고 한다. 이제 기술적 가치는 크게 차이가 없으니, 그 위에 더해지는 이미지 가치로 소비층을 끌고 간다는 의미다.

2022년 중국 500대 브랜드 순위가 발표됐다. 해당 500대 브랜드의 브랜드 가치는 총 48조9300억 위안이며 총 38개 산업이 포함됐다.

그 중 에너지산업 브랜드는 48개로 전년도의 28개보다 20개 증가했다.

순위에 오른 에너지산업 브랜드 수는 1위인 과학기술 분야(50개)보다 적어 2위였다.

48개 브랜드의 가치는 총 4조 9444억2600만 위안이며 전체 500대 브랜드의 13.88%이다. 에너지산업 브랜드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국가전망(国家电网)

2위, 녕덕시대(宁德时代)

3위, 국가능원집단(国家能源集团)

4위, 난방전망(南方电网)

5위, 국가전투(国家电投)

 

중국 에너지산업 브랜드 중 47개 브랜드의 가치는 각각 100억 위안을 넘어섰고, 그 중 13개 브랜드의 가치는 1000억 위안 이상이었다.

국가전망(国家电网)의 브랜드 가치는 1조 4030억 30000만 위안으로 에너지산업 브랜드 중 1위를 차지했다.

녕덕시대의 브랜드 가치는 3584억 4500만 위안으로 2위, 국가능원집단의 브랜드 가치는 3320억8300만 위안으로 3위, 남방전망의 브랜드 가치는 3136억 79000만 위안으로 4위, 국가전투의 브랜드 가치는 1868억 2600만 위안으로 5위를 차지했다.

브랜드 가치의 연간 성장률을 살펴보면 순위에 오른 25개 브랜드의 가치 증가폭이 100%를 초과했다. 그 중 중국능건(中国能建), 천합광능(天合光能), 통위집단(通威集团)의 증가폭은 1000%를 넘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