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민영기업 연구개발 투자액 순위 Top 5., 1위 화웨이

 

R&D(연구개발)은 이제 기업들의 가장 필요한 자산이 되고 있다. 기업의 출발부터 성장 과정에서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 우위를 확보하지 않으면 기업 생존 자체가 백척간두의 위기에 서게 된다. 특히 IT산업 등 첨단 분야는 더 말할 게 없을 정도다. 

세계 모든 기업들이 R&D에 막대한 돈을 쏟아붓고 있지만, 특히 미국과 경쟁 구도에 들어선 중국 기업들은 과거 어느 때보다 많은 연구개발비를 지불하고 있다. 

오직 기술 우위를 확보하는 기업만이 살아 남는다는 것을 너무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견제로 코너에 몰린 화웨이의 연구개발비 지출 역시 막대하다.

중국 공상업연합회가 2021년 민영기업 연구개발 투자액 순위를 지난 7일 발표했다. 영업수입 대비 연구개발 투자액을 비교해 민영기업의 순위를 매긴 것이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중국 500대 민영기업의 영업수입 총액은 38조3200억 위안이다. 징둥그룹(京东集团)이 9516억 위안의 영업수입으로 1위를 차지했다. 알리바바유한회사, 헝리그룹유한회사, 정웨이국제그룹유한회사, 화웨이투자홀딩스유한회사가 그 뒤를 이었다.

영업수입 대비 민영기업 연구개발 투자액 순위 Top 5는 다음과 같다.

 

1위, 화웨이(华为)

2위, 알리바바(阿里巴巴)

3위, 텐센트(腾讯)

4위, 바이두(百度)

5위, 지리(吉利)

 

화웨이가 1427억 위안의 연구비를 투자해 1위에 올랐으며 연구개발 비용의 강도는 22.41%에 달했다. 연구개발 비용의 강도는 기업 연구 경비지출과 영업 수입총액의 비중을 말한다. 화웨이는 5G시장에서 가장 가성비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미국의 견제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2위 알리바바는 연구개발에 578억 위안을 투입했다. 연구개발 비용의 강도는 6.91%였다. 알리바바는 기술력 확보를 통해 미국 아마존을 넘는 온라인 판매 플랫폼이 되기 위해 안간힘이다. 

텐센트는 연구개발에 519억 위안을 투자하여 3위를 차지했으며 연구개발 비용의 강도는 9.26%를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