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틱톡, 전세계 어플리케이션 수입 순위 1위

 

틱톡이 드디어 해냈다.

미국의 유수한 SNS, 소셜미디어들을 제치고 수익률 세계 1위에 올랐다. 틱톡은 중국이 만든 숏폼 미디어 공유 플랫폼이다. 

인스타그램에 대응해 짧은 동영상을 공유하도록 설계됐다.

틱톡의 이 같은 시도에 즉시 동영상 중심의 신세대들이 반겼고, 숏폼은 순식간에 대세가 됐다. 이후 유튜브 등에서도 숏폼 동영상 공유는 한 장르로 받아들였다.

글로벌 플랫폼 수익성을 분석하는 센서타워(Sensor Tower)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틱톡은 전세계 어플리케이션 수입 1위를 차지했다.

유튜브가 2위다. 세계 최대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유튜브를 제친 것이다.

글로벌 SNS시장은 말 그대로 첨단 기술의 전쟁터다. 누가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느냐에 따라 순위가 격변을 한다.

또 다른 일면으로 한 번 대세가 되면 쉽게 활강을 하는 구조다. 

모두가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대세가 되고자하지만 그게 그리 쉽기만 한 것은 아니다. 한번 쓰러지면 끝이라는 걸 알기에 기존의 대세 SNS 플랫폼들이 막대한 투자를 통해 대세를 이어가며 진입 장벽을 높이는 탓이다.

Top 10 순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위, 틱톡TikTok

2위, 유튜브YouTube

3위, 구글원Google One

4위, 틴더Tinder

5위, 디지니플러스Disney+

6위, 피코마Piccoma

7위, HBO Max

8위, 텐센트비디오Tencent Video

9위, 라인망가LINE Manga

10위, iQIYI

 

7월 한 달 간 틱톡은 App Store 및 Google Play에서 2.9억 달러의 돈을 쓸어담았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1.7배이다. 그 중 약 45%의 수입은 중국판 틱톡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다음으로 미국 시장에서 16.2%의 수익을 냈다. 일본 시장은 4.1%로 미국 다음 많은 수익을 낸 시장이다.

틱톡 다음으로 유튜브가 1.31억 달러의 수익을 내며 2위를 차지했다. 작년 동기 대비 34.1% 증가했다. 그 중, 37.5%의 수입은 미국 시장에서 발생했으며 그 다음으로 일본 시장에서 20.7%의 수입이 발생했다.

3위는 Google One이 차지했으며, 4위는 Tinder가, 5위는 Disney+가 차지했다. 특히 틱톡은 앱스토어 및 구글플레이에서 각각 1, 2위를 차지하며 좋은 성과를 보였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