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신에너지차 7월 판매량 작년 동기 대비 123.7% 증가

 

'20.1%'

지난 7월 중국의 승용차 판매 증가분이다. 전년동기 대비 증가다. 신에너지 차량은 무려 120%이상 훌쩍 늘었다.

차량은 고가 제품이다. 고가 제품인 차량의 판매가 20%이상 늘었다는 것은 중국의 소비 증가의 신호탄일 수 있어 주목된다. 

중국은 최근 코로나19 봉쇄로 베이징, 상하이, 광둥 등 주요 지역의 경제가 타격을 받으면서 경기에 먹구름이 짙게 끼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 같은 수치는 먹구름 사이의 한 줄기 빛과 같은 것이어서 시장 분석가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9일 중국 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가 발표한 월간 통계에 따르면 7월 중국의 승용차 판매량이 184만대로 작년 동월보다 20.1% 증가했다. 이 중 순수전기차, 하이브리드전기차 등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56만4000대로 작년 동기보다 123.7% 증가했다.

7월 신에너지차 판매 분야에서는 비야디(比亞迪·BYD)가 16만2000여대로 1위 자리를 지킨 가운데 상하이GM우링(5만9336대), 지리차(3만2030대), 테슬라(2만8217대) 등이 뒤를 이었다.

비야디는 올해 상반기 64만1000여대 전기차를 판매해 48만4000여대에 그친 테슬라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테슬라가 비야디와 경쟁에서 밀린 데에는 상하이 봉쇄 사태의 여파가 컸다. 테슬라 상하이 공장은 상하이 봉쇄가 시작된 지난 3월 28일부터 조업이 중단됐다가 4월 19일부터 재가동됐는데 이 기간 생산 손실 규모가 5만대에 달했다.

테슬라의 7월 중국 시장 판매 규모 또한 전월보다 크게 줄었다.

7월 테슬라의 중국 시장 판매량은 2만8217대로 전월의 7만8906대보다 64% 감소했다.

이 같은 판매 급감은 증설 공사 영향으로 생산라인이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테슬라는 최근 상하이 공장의 모델3와 모델Y 생산라인 증설 공사를 하면서 부분적으로 라인 가동을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이번 증설을 통해 모델3와 모델Y 일일 생산량은 이전보다 각각 30% 증가한 2000대, 1200대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쉬운 것은 이 같은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한국 현대차, 기아차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중국 시장 전문가들은 "현대와 기아의 대중 전략 실패가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