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계 주류 브랜드 가치 순위, 1위 중국 마오타이주

 

마오타이.

건국 초기 중국 당국의 공식 술이다. 마오쩌둥의 마오여서 마오의 술이라고도 한다. 시진핑 국가 주석이 마오 주석에 비견되지만 술만 본다면 '택도 없는 소리'다.

시진핑 주석의 술은 '시펑주'가 있다. 

이 시펑주는 시진핑 주석이 집권 2기에 유행하기 시작했다. 고급술로 인정돼 인기를 끌었지만 마오타이에 비하면 시펑주는 술도 아니다. 

중국에서 술 하면 여전히 마오타이이고, 국가주석도 여전히 마오 주석이다.

영국 브랜드 평가기관 브랜드 파이낸스가 '2022년 세계 주류 브랜드 가치 순위 50'을 최근 발표했다. 상위 10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마오타이Moutai(중국)

2위, 우량애Wuliangye(중국)

3위, 루저우라오자우Luzhou Laojiao(중국)

4위, 양해Yanghe(중국)

5위, 헤네스Hennessy(프랑스)

6위, 싱화춘Xinghuacun(중국)

7위, 바카디Bacardi(영국)

8위, 구징궁주Gujing Gong Jiu(중국)

9위, 잭 다니엘 Jack Daniel's(미국)

10위, 조니 워커Johnnie Walker(영국)

 

중국 마오타이가 세계 브랜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2016년부터 7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한 것이다. 마오타이의 브랜드 가치는 429억 달러이며, 이는 마오타이가 중국 시장의 주류 업계를 이끌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마오타이는 고량으로 발효한 백주를 판매하는 주류 브랜드이다. 'i-Maotai'라는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을 활용해 중국 고객에게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의 편리성을 높였다. 또한 몽우유업(蒙牛乳业)과 합작해 알코올이 함유된 아이스크림을 내놓아 젊은층을 공략하기도 했다.

순위에 든 50개 브랜드의 총 가치는 1426억 달러다. 중국은 10개 브랜드가 순위 안에 들었으며, 총 가치는 976억 달러로 68.4%의 비중을 차지한다. Top 10 중 중국 브랜드가 6개로 과반수를 차지한 것을 보면 세계 주류 브랜드에서 중국 브랜드는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브랜드 파이낸스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주류 브랜드는 세계 각 국가의 폐쇄 조치로 인한 수요 변동 등 상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현재 경제가 회복되면서 주류 업계가 다시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