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발의 의사'
중국의 과거 개혁개방 이전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단어다. 마오쩌둥이 권력을 잡은 직후 중국의 농촌이 가난하고 의료 시설이 없자, 베이징에서 공부하는 청소년들에게 침술만 가르쳐 시골로 내려보내 봉사하는 삶을 살도록 했다.
청년들은 침통 하나만 들고 산골 마을들을 돌아다니며 의술을 펼쳤다.
의술이라고 할 것도 없었다. 그저 아프다면 혈을 짚어 침을 놓는 게 전부였다. 그 청년 의사들이 정부에게 받은 것은 침통 하나와 침술 교본 정도였다.
신발이 없어 산골 마을들을 맨발로 다녀야 했다. 그래서 나온 별명이 '맨발의 의사'다.
그러던 중국이 개혁개방과 함께 산골 빈촌을 몰아내기 시작했다.
아담 스미스가 말한 국부만이 가난을 내쫓는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증명되는 순간이다. 그리고 중국 사람들은 맨발의 청춘이 억울이라도 한 듯 자신들의 아이에게 각종 고급 신발을 사다 신키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은 과거에 진행된 한 자녀 정책의 영향으로 '소황제'라는 말이 생겨날 만큼 자식을 황제처럼 키우는 경향이 있다.
많은 중국 부모들이 자녀의 의식주 및 교육에 굉장히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에서는 어떤 아동 신발 브랜드를 선호하는지 살펴보자.
1. Dr.kong 닥터콩
Dr.kong는고객의 니즈를 잘 파악하는 브랜드이다. Dr.kong는 아동 나이에 따라 발 모양이 빠르게 달라지고, 이 때문에 신발 구매에 있어서 니즈가 다양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잘 파악했다. Dr.kong는 처음으로 Check & Fit 서비스를 시작했다. Check 서비스는 전문적인 방법으로 발 모양을 측정하는 것이고 Fit서비스는 이에 따라 자신과 맞는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다.

2. Ginoble 지노블
0-18개월 유아, 1-5세 아동, 5-10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신발 브랜드이다. 기능성 신발을 중심으로 판매하고 있다.
3. TARANIS
TARANIS는 "건강, 편안함, 트렌드"를 브랜드 이념으로 많은 고객을 창출하고 있는 브랜드이다. 0-16세 아동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4. Katetu 카태투
Katetu는 "어린이의 모든 걸음과 함께"를 사명으로 두고 있다. "산업-연구-의학"의 융합을 기반으로 고품질, 고성능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과학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아동 신발을 생산하는 것을 강조하는 브랜드이다.
5. NIKE 나이키
NIKE는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브랜드이다. 의류, 신발, 운동기구 등 스포츠 용품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