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올해 총부채, GDP의 275%로 역대 최고 전망

 

중국 당국이 신용을 늘리며 경기 부양에 나섬에 따라 올해 중국 정부·기업·가계의 전체 부채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세계가 인플레이션에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유독 중국만 교묘하게 그 파고를 피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이다. 그 덕이 재정을 통한 경기 부양이 가능한 것이다. 

6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 산하 국가금융발전실험실(NIFD)은 올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 총부채(정부·기업·가계부채) 비율이 작년보다 11.3%포인트 오른 275%가량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

중국의 국가 총부채 비율은 중국 정부의 부채 확대 억제 노력으로 2017년 이후부터 하향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한 부양 정책으로 재차 급등했다. 당시 그 해에만 부채비율이 23.6%포인트나 올랐다.

올해엔 상하이와 베이징 등 주요 도시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장기간 봉쇄돼 경제 성장에 적신호가 켜졌다. 부동산 시장은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정부는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함에 따라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정부 목표치(5.5%)에 미달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이에 경기부양으로 정책 방향을 선회하면서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대신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대상 대출을 늘리는 등 신용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인민은행은 최근 분기별 회의를 마치고 발표한 성명에서 부채비율을 "기본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는 문구를 삭제, 이런 정책 주안점의 전환을 강조했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대차대조표를 여전히 확대해야 하고 경제의 부채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게 인민은행의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의 생활물가 역시 상승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주목된다. 중국 당국이 강하게 물가를 통제하고 있지만 생활물가를 중심으로 슬금슬금 오르는 것은 어쩌지 못하고 있다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중국은 워낙 인구가 많고 이들이 이루는 경제활동의 규모가 커 웬만한 작은 변화는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하지만 한 번 그 변화가 추세로 굳어지면 누구도 막지 못하는 거대한 태평양의 파도같은 위력을 발휘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