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하이 푸둥신구 문화관광 활성화에 150억 위안 투자

 

'100개 프로젝트, 150억 위안'

상하이 푸동 지역 문화발전 사업 항목이다. 150억 위안이 투자됐다. 

상하이 봉쇄가 풀린 직후 시 정부가 문화 사업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이다. 마치 소비자들의 못했던 소비를 갑자기 다 하고 나서듯 '보복 정책집행'이 이뤄진 것이다. 

중국 매체들은 상하이 '재가동' 첫날, 푸동 신구의 대규모 문화 산업은 거의 100개 프로젝트에 서명함으로써 문화 활성화에 강력한 자극을 줬다고 평했다. 

상하이시 푸동신구 정부에 따르면 이번 프로제트에는 슨디 그룹, 상하이 스포츠 산업 투자 펀드, 알리 링시 엔터테인먼트, 소더비, 차이나모바일 미구, 패들테니스 등 66개 기업이 참여했다.

예상 투자액은 약 150억 위안이다.

신구 정부는 이번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 지원에 나선다. 구 정부는 '푸동 신구의 통합 예방 및 통제와 문화, 스포츠 및 발전을 위한 10대 조치'도 마련했다. 

우선 재정 지원 정책을 펼친다. 구 정부는 직접 지원, 정부 투자 및 자금 활용의 세 가지 영역에서 수백억 개의 재정 지원 및 보안 시스템을 구성할 예정이다.

구 정부는 이미 전염병 기간 중 심각한 피해를 입은 문화, 스포츠, 관광 단체에 1,500만 위안의 정부 구호 지원 기금을 직접 제공했다.

이들 자금은 푸동의 영화관, 극장, 체인 서점, 문화 및 창조 공원(건축 공간)을 지원하는 데 중점적으로 쓰인다. A급 관광 명소, 상징적인 명소 및 대형 스포츠 경기장. 또한 문화창의(영화·텔레비전) 개발 특별기금과 푸동신구 홍보문화발전기금을 통해 총 12억5000만 위안을 '14세기 문화체육관광사업 지원에 직접 사용할 예정이다.

5개년 계획' 기간. 정부 투자 측면에서 문화, 스포츠 및 관광에 대한 정부 건설 자본 투자는 해마다 증가했습니다."14차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지역의 문화, 스포츠 및 관광에 대한 정부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총 투자 100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밖에 다양한 행정 지원도 펼쳐진다. 회사가 사업자등록증을 취득하는 데 평균 0.5일이 소요되도록 지원키로 했다. 원래 수개월이 걸렸던 영화관을 설립도 이번 조치로 12일 안에 결정되도록 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