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유인우주선 선저우 14호 발사 성공에 中네티즌 "대단하다! 나의 조국이야!"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톈궁(天宮) 건설을 지원하기 위한 세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神舟) 14호가 성공적으로 우주에 안착했다.

5일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선저우 14호는 현지시간 이날 오전 10시 44분(한국시간 11시 44분) 중국 서북부 간쑤(甘肅)성 주취안(酒泉) 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長征)-2F 야오(遼)-14호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연합뉴스가 전한 중국 소식이다. 

중국의 우주 굴기가 지속되고 있다. 우주 산업에서 중국은 미국을 바짝 뒤쫓으며 선두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 

"선저우 14호 유인우주선이 로켓과 성공적으로 분리돼 예정된 궤도에 진입했고, 우주비행사들의 상태가 양호하다" 발사 577초 뒤에 나온 중국 유인항천공정 판공실의 선언은 한국에게도 참 뼈아픈 소리다. 

한국은 최근 미사일 발사에 성공했지만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실패하고 말았다. 

중국은 그 궤도 진입 단계를 가볍게 성공한 것은 물론 우주정거장 핵심 모듈인 톈허(天和)와 도킹에도 무사히 성공했다. 

중국이 가장 공을 들이는 우주 연구 분야다. 우주 정거장에서도의 다양한 실험이다. 

이번에 발사된 선저우 14호는 중국의  세번째 유인 우주선이다. 중국은 앞서 선저우 12호와 13호를 발사해 연이어 우주 항해에 성공한 바 있다. 선저우 12호는 지난해 6월 우주비행사 3명을 태우고 우주로 갔다가 90일 만에 복귀했고, 선저우 13호는 지난해 10월 발사돼 183일 만에 임무를 마치고 무사 귀환했다.

이번 선저우 14호에는 천둥(44), 류양(44), 차이쉬저(46) 등 3명의 우주비행사가 탑승했다고 중국 당국은 밝혔다. 이들은 약 6개월간 톈궁에 머물며 우주 정거장 조립 및 건설에 대한 핵심적 기술과 다양한 과학 실험을 시행한 뒤 12월 귀환한다. 

중국은 올 해말까지 우주정거장 건설을 마무리 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4월 우주정거장 핵심 모듈 텐허를 쏘아 올린 이후 화물우주선과 유인 우주선을 잇달아 발사해 우주 상공에서의 조립 작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현재 인류가 만든 우주 정거장은 미국과 소련이 공동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이 있다. 톈허는 길이 37m, 무게 90t으로 이 정거장 크기의 3분의 1 수준이지만 중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단일 국가로 우주정거장을 가진 나라인 것이다. 

여기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과 갈등이 심화하면서 우주정거장 공동 운영도 삐걱거리고 있어 자칫 중국의 톈궁 우주정거장이 인류의 유일한 우주정거장이 될 수도 있어 주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이 우주굴기가 자랑스럽기만 하다.  

 

정말 웅장하다! 

 

위대한 조국의 영웅적인 인민이야. 조국의 번영과 창성을 축복해!

 

대단하다, 나의 조국이야!

 

조국의 영광을 우주에 가득히 쓰자! 중국의 우주 비행을 축하해!

 

우리의 목표는 원대해, 목표에 한 걸음 한 걸음 다가가고 있어.

 

텔레비전 앞에 앉아 생방송을 봤어. 중국의 우주정거장이 순조롭게 건설되기를 기원해.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