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푸젠성, 찻잎으로 40억 위안 생산액 달성

 

 

'40억 위안'

한화로 7,580억 8,000만 원 가량이다. 중국 푸젠성 정화(政和)현이 차잎으로만 만들어낸 산업 가치다. 

정화현은 중국에서도 차로 유명한 100대 마을로 꼽히는 곳이다. 

이 곳 지방정부의 꾸준한 노력으로 정화현이 작고 작은 차잎으로 차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 냈고, 그 가치가 40억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시진핑 정권 출범이래 중국은 '잘 사는 농촌' 건설을 국정 지표로 삼고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지역별로 부가가치가 높은 농산물을 만들어 내도록 지원했다.

많은 지역에서 정부 예산을 타기 위해 엉뚱한 실험을 해 예산을 낭비하기도 했지만, 정화현 같은 곳은 차를 그 답으로 제시했고, 성공했다.

중국 매체들은 "지역에 따라 발전의 길을 잘 선택하여, 지속적으로 차 산업을 육성 발전시키고 있다"고 평했다.

신화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푸젠성의 정화현 차 산업의 생산액이 40억 위안을 돌파했다. 정화현은 이미 3년 연속 '중국 100대 차 마을'로 선정되고 있다.  현 전체 13만3800여 차 농가의 수확을 늘렸다.

이는 시진핑 정권이 장려하는 '잘사는 농촌' 국정 지표에 부합하는 것이다. 

정화현 철산진(鐵山)진 다홍(大紅)마을 '백로보금자리' 생태차원 시범단지의 한 가정은 6무의 차밭이 있는데, 백차를 재배함으로써 연간 순수입이 5년 전 1만5천 위안에서 현재 5만 위안으로 증가하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