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해발 9032m 대기과학 관측 세계 기록 수립

 

중국이 벌룬형 비행체 개발에서도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중국의 우주 개발이 갈수록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우주 개발'은 최근 가장 주목받는 분야다. 대기권 밖의 새로운 영역에 대한 개척을 독점하기 위해 미국 등 각국은 막대한 경비를 쏟으며 투자하고 있다.

21세기 우주 식민지 개척은 향후 100년간 국가의 미래를 결정할 주요 분야가 된 지 오래다.

최근 중국 매체들은 '극목1호' Ⅲ형 비행정의 성공적인 발사가 있었다고 전했다.

이 비행정은 중국이 자체 개발한 계류부공기다. 

길이 55m, 높이 19m, 부피 9060m²에 달하는 부피로, 가스의 부력을 이용해 하늘로 올라간다. 목적은 계류하며 대기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발사가 이뤄진 것은 지난 5월 15일이다.

이날 오전 1시쯤 해발 4270m의 중과원 주펑역 인근 발포장에서 비행정은 하늘로 치솟았다. 

신화통신은 이날 라싸발(發)로 비행정의 성공적인 발사 소식을 타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비행정은 당일 4시40분에는 고도 4762m를 이륙해 해발 9032m의 대기과학 관측 세계 기록을 세웠다.

이 같은 시도는 이미 구글이 실시해왔다. 문제는 장기적인 계류다. 이 같은 계류에 성공하게 되면 중국은 언제든 특정 고도에 이와 같은 비행체를 띄워 지구상의 모든 통신을 관장할 수 있게 된다. 대기 측정보다 이 같은 통신 설비 기술로서 더욱 가치가 있는 기술이다.

중국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관측 임무에 사용된 비행정은 중국이 자체 개발했다. 중국이 다시 한 번 우주 개발 공정에서 앞서가는 모습이다.

미국이야 그렇다고 해도 한국의 투자는 이 분야에서 너무 미미하다.

당장 성과에 목을 매는 5년짜리 정부로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국민들 모두가 알아야 하는 게 이 분야에 대한 주도권을 갖느냐 못 갖느냐하는 것은 국가의 100년 선진국이 되느냐, 마느냐의 문제와 같다는 점이다.

한국은 이제 겨우 나로호를 6월 중에 발사한다고 한다. 겨우 이제서야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는 자체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다.

우주 개발, 더 이상 늦춰서는 나라의 미래가 어두워진다.

칭짱고원 종합과학시찰연구대 대장은 "부공정에 탑재된 과학기구는 서풍에 실려 있는 수기의 함량과 해발 9000m 이상의 대기성분을 3차원 시각으로 수직변화와 전송과정을 관측한다"고 말했다.

중국 매체들이 전하는 이 소식에는 중국 미래에 대한 강한 믿음이 담겨 있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