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32선 철도에 중국 첫 2층 차고...베이징에 아시아 최대 철도 터미널 개통

평타이 역 개관 및 개통

32선 철로에 2층 차고

중국 베이징 펑타이역의 규모다. 아시아 최대 크기다. 

3년 반 동안의 공사 끝에, 베이징 남서부의 제3순환도로 외곽에 이 새로운 랜드마크가 우뚝 세워졌다.

중국 국내 최초로 2층 차고로 설계한 초대형 역이자 아시아 최대 철도 허브 터미널로, 베이징 펑타이(台臺)역 건물은 지상 4층, 지하 3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철도는 32선이며 열차는 17대다.

입 딱 벌어지는 규모다. 역시 크기는 중국을 당할 곳이 없다. 

이번엔 디자인도 많이 신경을 썼다. 고공에서 내려다본 역 전체는 독특한 '중(中)'자 모양이다. 중은 중국에서 의미가 좋다. 중국의 중이 바로 가운데 중이다. 가운데, 세계의 기준이라는 의미다. 그런 중국의 가운데는 역시 베이징이다. 지리적 가운데가 아니라 심리적 가운데를 말한다.

 

역내 장식은 보리 이삭이 있는 도자기 패널로 '풍년, 경사, 휘황찬란'을 의미한다. 실내 인테리어는 현대 공업 풍격이 뚜렷했고, 대합장의 조정 천장, 종고루(鼓楼造型) 모양은 여객이 대기할 때 베이징 문화 요소를 짙게 느낄 수 있도록 했다.

1895년, 청나라 정부는 금루철도를 건설하여 연말까지 펑타이까지 건설하여 펑타이역은 베이징에서 가장 오래된 기차역이 되었다. 1897년에는 펑타이역이 루한철도와 연결되었다.

1909년에는 베이징-장자커우 철도가 완성되었고 출발역도 펑타이역이었다. 지금까지 펑타이역은 3개의 주요 철도 노선이 만나는 지점이자 합동 기차역이 되었다.

신중국 건국 후 수도의 중요한 관문인 펑타이역은 징한, 징산, 징바오 등 여러 주요 철도 노선이 만나는 지점이자 화북의 중요한 교통 허브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