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1년 중국 10대 식사 대용 브랜드 Top 5...ffit 1위

중국에서 섭생이 되살아 났다

 

 

중국의 섭생 문화가 되살아 나고 있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보양을 중시하는 나라다. 무엇을 먹고 어떻게 움직이느냐가 바로 보양과 섭생이다. 중국은 이미 춘추전국시대 체질에 따라 먹는 것도 달리했을 정도로 섭생에 대한 연구가 깊은 나라다.

이 같은 전통은 청나라 말기 나라가 어려워지고 공산당이 천하를 통일하면서 한동안 생활무대에서 사라졌었다.

하지만 최근 중국 경제가 다시 부흥하면서 섭생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다만 역사 속 과거와 다른 것은 오늘날의 섭생은 과학적이고 대중적이라는 점이다. 과거 동양의학의 경험에 의존한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요즘은 철저한 성분 분석과 체질 검증을 통해 섭생이 이뤄지고 있다. 

또 역사 속 과거에서 섭생은 일부 지도층의 이야기였지만, 오늘날은 더욱 많은 일반 대중이 동참하고 있다. 

저탄소·패션을 상징하면서도 가벼운 몸매로 무장한 식사 대용으로 각광받고 있다.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식사 대용 식품 시장은 2017년 571억1000만 위안에서 2022년 1200억 위안으로 급성장했다. 향후 시장 전망도 밝다.

지난 2021년은 외식사업이 고속성장에 접어든 해로, 중국 식품공업협회는 중국 브랜드 넷과 공동으로 '2021 10대 식사 대용 브랜드 순위'를 발표했다.

 

1위: ffit8

2위: 원더랩WonderLab

3위: 초급령超级零

4위: 위허밍玉鹤鸣

5위: 왕바오바오王饱饱

 

http://www.ceh.com.cn/syzx/1484689.shtml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