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농민공 2.4% 늘어 3억 명 육박

 

농민공(農民工)은 중국의 농촌 출신 도시 노동자를 일컫는다. 1980년대 이후 개혁·개방 과정에서 중국이 세계의 공장으로 자리 잡고 가파른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데는 제조업체의 생산조립 공정과 건설현장의 단순 노무직에 뛰어든 이들 농민공들의 저임금 노동력이 큰 몫을 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29일 발표한 '농민공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전국 농민공은 2억9251만 명으로 전년 대비 2.4% 늘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50세 이상이 27.3%, 41~49세가 24.5%, 40세 이하가 48.2%를 각각 차지했다. 평균 연령은 41.7세로 2008년 조사 당시 34세 조사 때와 비교하면 8세 가까이 높아졌다.

또한 대부분 제조업체와 건설현장에서 일했던 과거 농민공과 달리 최근 20~30대 농민공은 상대적으로 임금이 높고 근무 시간이 유연한 배달 업종이나 서비스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농민공 월평균 임금 4432위안(약 85만 원)에 비해 중국 대도시 배달기사 월급은 두세 배 많은 1만~1만5천 위안(190만∼185만 원)에 달한다.

젊은 농민공의 생산직 기피와 지방 정부들의 건설현장 근로자 연령 상한제에 따라 제조업체와 건설업체의 인력난은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