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분기 中소비재 소매판매액 10조 8700억 위안, 전년 대비 3.3% 증가

 

'10조 8659억 위안'

2066조 원 가량이다. 중국의 올해 1분기 소비재 총 판매액이다.

중국 경제가 기울고 있지만, 기본적인 성장세는 유지하고 있다. 특히 소비 시장의 성장은 주목할만 하다. 

중국의 최대 장점은 소비재 시장이 크다는 것이다. 

그동안 중국 경제는 투자와 생산이 주도했지만, 앞으로는 소비가 주도할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2022년 1분기 소비재 총 소매판매액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전체 시장 매출은 기초 생활 및 온라인 소매 판매의 빠른 성장으로 꾸준한 성장을 유지했으며 이는 소비자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1분기 소비재 총 소매 판매액은 10조 865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다. 이 중 자동차를 제외한 소비재 소매판매액은 9조7920억 위안으로 3.6% 증가했다. 가격 요인을 뺀 1분기 소비재 총 소매판매액은 실제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3월 소비재 총 소매판매액은 3조 423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했다. 그 중 자동차를 제외한 소비재 소매판매액은 30억5600만 위안으로 3.0% 감소했다.

소매 형태별로 보면 1분기 슈퍼마켓, 편의점, 전문점 및 지정 크기 이상의 소매 단위의 전문점 소매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3.2%, 10.1%, 6.6% 및 1.0% 증가했으며, 반면 백화점은 전년 동기 대비 3.3% 감소했다.

1분기 전국 온라인 소매 매출은 3조 12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다. 그 중 실물 상품의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2조 5257억 위안으로 8.8% 증가하여 사회적 소비재 총 소매 판매액의 23.2%를 차지했다.

국가통계국은 1분기에 주민 국민 소득이 꾸준히 증가하고 주민 소비 지출이 계속 회복될 것이며 기본 생활 보장이 보장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분기 전국 1인당 가처분 소득은 1만345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명목상 6.3% 증가했으며 가격 요인을 뺀 실제 증가율은 5.1%였다. 가계소득의 꾸준한 성장에 힘입어 가계소비지출은 1분기에 회복세를 이어갔고 식품, 의복, 주택 등 기초생활 소비도 꾸준히 성장했다. 1분기 국민 1인당 소비지출액은 6393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명목 6.9% 증가했고 물가를 뺀 실제 증가량은 5.7%였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