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9월 항저우아시안게임에서 디지털 위안화 사용

 

중국은 디지털 위안화(e-CNY) 선점을 통해 글로벌 기축통화화에 성큼 다가서고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자리매김하려는 의지가 더 분명해졌다는 게 중국 안팎의 분석이다.

중국이 지난 2월 베이징동계올림픽에 이어 오는 9월 열리는 항저우아시안게임에서도 디지털 위안화를 적극 홍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민은행은 2일 홈페이지에 올린 성명에서 항저우아시안게임 개최지인 항저우, 닝보 등 저장성의 도시군(群)을 디지털 위안화 시범 지역에 추가한다고 밝혔다.

또 저장성 도시군 이외에 톈진, 충칭, 광저우, 푸저우, 샤먼 등 5개 지역도 시범 지역에 새로 포함시켰다.

이에 따라 디지털 위안화 시범 지역은 베이징, 상하이, 선전, 쑤저우, 청두, 시안, 칭다오, 다롄 등 기존 11개 지역에서 17개 지역으로 확대됐다.

중국은 현재 시범 단계이지만 세계 최초로 법정 디지털화폐를 국민들에게 보급해 사용 중이다. 앞서 베이징동계올림픽에서는 외국인 선수단과 취재진 등 모든 참가자가 디지털 위안화를 쓸 수 있게 허용하면서 국제사회에 디지털 위안화를 정식으로 선보였다. 올림픽 기간에 경기장뿐만 아니라 교통, 숙박, 쇼핑, 관광, 의료,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위안화 사용이 가능했다.

인민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디지털 위안화 전자지갑은 2억6000만 개, 사용 가능 장소는 800만 곳, 누적 거래액은 875억 위안(약 17조 원)에 달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