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32명 탄 중국 동방항공 여객기 추락에 中네티즌 "또 보잉 737 계열이야"

"132명이 탑승한 중국 민항기 추락사고로 승객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22일 AP뉴스는 전일 중국 광시 지역에서 발생한 보잉 737 항공기 추락사고로 승객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파이낸셜뉴스가 최근 전한 중국 소식이다. 중국에서 민항기 추락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21일 승객 132명이 탑승한 중국 동방항공 소속 보잉 737-800NG(MU5735)는 중국 남부 광시장족자치구 우저우 텅현에 있는 산에 추락했다.

소식을 빠르게 전세계로 퍼졌다. 이번 사고 비행기가 말 많은 보잉 기종이라는 점도 부각됐다.

기종 문제 등을 포함해 추락 사고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현재 탑승객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당국이 수색작업을 펼쳤지만 생존자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번 사고는 지난 10년간 발생한 중국 최악의 항공사고가 될 전망이다.
이 여객기가 추락 직전 8.8㎞(2만9000ft)를 급강했다. 독특한 사고 형식에 일반인은 물론 전문가들도 특이한 사례라며 주목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보잉 기종을 강조하며 기존에 발생 했던 보잉기종의 사고에 대해 이야기하는 분위기다. 

희생자 수가 많다는 점도 이번 사고가 주목받는 이유다. 너무나 많은 희생자 수에 중국 네티즌들이 일제히 애도하고 나섰다.

 

평안하길 빌어요.

 

나의 격리 마을에서 산꼭대기가 다 불타고 생존자가 없어 참 비참하네. 꿈이었으면 좋겠고 깨어났을 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거였으면 좋겠어.

 

또 보잉 737 계열이야.

 

나는 비행기 추락 원인에 대해 비교적 관심이 가네. 빠르게 조사되었으면 좋겠어!

 

8000m를 3분 동안 수직으로 떨어지다니, 도저히 상상할 수 없어.

 

하늘이여 보우해주세요.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