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실리콘밸리 선전시, 코로나19 확산으로 봉쇄

 

중국이 코로나19가 확산을 막기 위해 인구 1700만 명의 광둥성 선전시를 봉쇄했다.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정 등 이른바 1선 도시가 봉쇄되는 최초 사례다.

중국의 코로나 19 감염이 다시 팬데믹 수준으로 확산될 지 주목된다.

선전시 방역 당국은 13일 코로나19 확산을 통제하기 위해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3차례 핵산(PCR) 검사를 할 예정이라며 주민들에게 외출금지령을 내렸다.

이번 조치는 선전시에서 12일 하루 동안 확진자 60명과 무증상 감염자 6명 등 모두 66명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하자 곧바로 결정됐다.

14일부터 20일까지 시행되는 도시 봉쇄로 선전시 전체 버스와 지하철 운행이 중단되며 물, 전기, 연료, 통신 등의 업종을 제외한 모든 기업은 가동을 중지한다. 또 약국, 의료기관, 슈퍼마켓을 제외한 모든 업소는 문을 닫고, 음식점의 경우에도 배달 서비스만 가능하다.

화웨이, 텐센트 등 대형 IT 기업들이 많아 '중국판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선전시의 봉쇄로 중국 경제는 물론 세계 공급망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선전시 봉쇄 첫날인 14일 중국 본토 증시의 양대 지수인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성분지수는 각각 2.60%, 3.08% 급락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