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네티즌 10억3200만명...주당 28시간 인터넷 이용

'10억3200만명,'

지난 2021년 12월 기준 중국 네티즌 수다. 이들은 매주 28.5시간을 인터넷에서 보내고 있다.

최근 발표된 49차 '중국 인터넷 발전에 관한 통계 보고서'(이하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12월 기준 중국 네티즌 수는 10억 3200만 명, 인터넷 보급률은 73.0%, 중국 네티즌의 1인당 인터넷 사용 시간은 주당 28.5시간에 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12월 기준으로 기본 네트워크 리소스 측면에서 중국의 전체 도메인 수는 3593만 개, IPv6 주소 수는 63052블록/32개에 달했다. 연간 9.4% 증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IPv6 트래픽 비율은 35.15%에 도달했다.

정보통신 산업의 경우, 2021년 12월 기준 총 142만 5000개의 5G 기지국이 건설 및 개방되었으며, 1년 동안 654,000개의 새로운 5G 기지국이 추가되었으며, 150개 이상의 산업용 인터넷 플랫폼이 있다. 국가 영향력이 있는 수입 장비의 총 수가 7600만 세트를 초과하고 전국에 2,000개 이상의 "5G+산업 인터넷" 프로젝트가 건설 중이다. 국가 핵심 산업에서 산업 인터넷과 5G의 통합 및 혁신 경제가 가속화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네티즌의 전체 규모는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도시와 농촌의 인터넷 접속 격차도 계속 좁혀졌다. 중국 농촌 네티즌 수는 2억 8,400만 명에 이르렀고 농촌 인터넷 보급률은 57.6%로 2020년 12월보다 1.7%포인트 높아졌다.

또한, 2021년 12월 기준 60세 이상 노인 네티즌 수는 1억 1900만명, 인터넷 보급률은 43.2%에 달했다. 고령층은 정보화 발전의 성과를 다른 연령대와 공유하고 있으며, 건강코드/여행카드 제시, 생필품 구매, 정보 검색 등 온라인 활동을 독립적으로 완료할 수 있는 노인 네티즌의 비율은 각각 69.7%, 52.1%, 46.2%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네티즌의 인터넷 사용 행태는 새로운 특징을 나타낸다. 1인당 온라인 시간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21년 12월 기준 중국 네티즌의 1인당 온라인 사용 시간은 주당 28.5시간으로 2020년 12월에 비해 2.3시간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